거시경제를이해하려면-GDP 개념을중심으로-
거시경제를이해하려면-GDP 개념을중심으로-
1
국내총생산의측정국내총생산의측정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어떤
경제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과거에
생산된
상품
과
금융
거래
무시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
한
국가의
국민이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중간재의
존재
.
이중
계산의
문제
야기
방법
1) 중간재
무시하고
최종재
생산액만
계산
농부
제분회사
제과점
밀
.
밀가루
.
빵
100 140 200
방법
2) 각
생산단계에서
창출한
부가가치
(VA) 의
합으로
계산
부가가치
= 총판매액
.
중간재
비용
농부
제분회사
제과점
밀
.
밀가루
.
빵
100 140 200
VA: 100 + 40 + 60 = 200
2
국내총생산의측정국내총생산의측정
방법
1)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재에
대한
총지출
Y = C + G + I + X .
M
Y: 국내총생산
C: 민간소비
(민간의
소비재에
대한
지출
)
G: 정부소비
(정부서비스
생산액
, 비용으로
파악
)
I: 투자
(민간과
정부의
투자재에
대한
지출
)
X: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
M: 상품과
서비스의
수.
3
국내총생산의측정국내총생산의측정
1991 2000 2008 2009 2010
국내총생산
(단위
10억) 231,428 603,236 1,026,452 1,065,037 1,172,803
C 민간최종소비지출
50.6% 54.8% 54.7% 54.1% 52.5%
G 정부최종소비지출
11.6% 12.0% 15.3% 16.0% 15.4%
I 총고정자본형성
38.0% 30.0% 29.3% 29.1% 28.6%
I 재고증가
2.0% 0.6% 1.9% -2.8% 0.5%
X 재화와서비스의수출
26.0% 38.6% 53.0% 49.7% 52.4%
M (공제)재화와서비스의수
.
28.3% 35.7% 54.2% 46.0% 49.6%
4
과소투자? 과소투자?
.91년39%에이르던투자비중이28% 대로떨어진것이성장률하락의주범
.우파-반기업정서와좌파적경제정책이기업의투자의욕저하
.민족주의-외환위기이후대기업구조조정이한국의경제체질변화시킴
.산업공동화-대기업의해외공장건설로국내투자감소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민간소비와투자비중
1980198119821983198419851986198719881989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
민간소비/국내총생산
고정자본형성/국내총생산
5
과소투자? 과소투자?
반론
.
90년대의
높은
투자는
비정상적
과잉투자
. 외환위기의
주범
.
현재의
투자
비중
70년대와
80년대에
비해
낮지
않음
.
.
투자의
내용이
IT화되고,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투자
비중이
감소하
는
경향
.
선진국에
비해
아직
투자
비중
높다
.OECD 평균
22%
.
이는
설비투자에
국한해서
보아도
마찬가지
.
(총고정자본형성
= 설비투자
+ 건설투자)
국가
연도
고정자본형성
(% of GDP)
1인당
GDP
(2005 PPP)
제조업
비중
Korea 2009 29 25,525 28
Germany 1990 23 25,672 28
Ireland 1998 22 27,276 33
Japan 1990 32 26,129 27
United States 1980 20 25,531 23
6
정부지출과무역의존도( ( 수출+수입)/GDP )
CANDEUDNKESPFINFRAGBRGRCIRLITAJPNKORLUXNLDNORNZLPRTSWEUSA51015202530Public 1990050100150200Trade Openness 1990
AUSAUTBELCANCZEDEUDNKESPFINFRAGBRGRCHUNIRLITAKORLUXNLDNORNZLPOLPRTSVKSWEUSA1020304050Government 20050100200300Trade Openness 2001 - 2005정부지출과무역의존도( ( 수출+수입)/GDP )
CANDEUDNKESPFINFRAGBRGRCIRLITAJPNKORLUXNLDNORNZLPRTSWEUSA51015202530Public 1990050100150200Trade Openness 1990
AUSAUTBELCANCZEDEUDNKESPFINFRAGBRGRCHUNIRLITAKORLUXNLDNORNZLPOLPRTSVKSWEUSA1020304050Government 20050100200300Trade Openness 2001 - 2005
.
정부크기
= ( 총지출
.
이자
)/GDP, IMF
.
무역의존도
= ( 수출+수입)/GDP, IMF
.
한국, 평균적인
개방도와
작은
정부
GDP와실질GDP GDP와실질GDP
2010녂
2010녂
물가가
증가하면
생산량의
증가
없이도
2010녂
국내총생산이
증가
.
실질(2005 녂
불변가격
) GDD = 기준년도
(2005 년) 불변가격으로
평가한
2010녂
생산량의
가치
2010녂
실질
GDP = 2005 녂
가격
X 2010 녂
생산량
2009녂
실질
GDP = 2005 녂
가격
X 2009 녂
생산량
경제성장률
= 실질
GDP의
연간
상승률
명목GDP = 2010 녂
가격
X 2010 녂
생산량
문제:
.
상품의
품질개선이
잘
고려되지
않는다
. (정부
통계
경제성장
과소평가
)
.
지하경제
(이
비율이
줄고
있다면
정부
통계
경제성장
과대평가
)
.
반도체
수출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출량이
불변이면
실질
GDP 감소하지
않는다
.
8
교역조건과국민소득교역조건과국민소득
교역조건
= 수출물가/수입물가
= 수출품
1단위를
팔면
살
수
있는
수입품의
양
사과
생산
바나나
수입
.
사과
1원, 바나나
1원, 교역조건
= 1
국내생산
국내소비
사과
100개
사과
50개
바나나
50개
.
사과
1원
바나나
2원, 교역조건
= 0.5
국내
생산
국내
소비
국민소득
25% 감소
사과
100개
사과
50개
사과
75개
생산하고
바나나
25개
교역조건
1일
경우
와
동일
교역조건과국민소득교역조건과국민소득
실질GDI (Gross Domestic Income)
= C + I + G +
(수출물가/수출입물가평균)*X.
(수입물가/수출입물가평균)*M
실질
GNI = 실질
GDI + 실질소득수지
생산량결정에서수요와공급생산량결정에서수요와공급
.
생산의
수요
측면
:
국내총생산
= 민간소비지출
+ 정부소비지출
+ 투자
+ 수출
-수입
.
생산의
공급
측면
국내총생산
= 총요소생산성
* F( 노동투입량
, 자본투입량)
.
둘
사이의
관계
?
1.
소비(투자, 수출)가
증가해도
생산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국내총생산
증가
불
가능
2.
총요소생산성(노동, 자본)이
증가해서
생산능력이
증가해도
가계와
기업이
사주지
않으면
공급
증가
불가
11
성장회계
신석하
(2013)
12
잠재GDP (Potential GDP) 잠재GDP (Potential GDP)
13
산출GAP = 잠재GDP .실제GDP 산출GAP = 잠재GDP .실제GDP
현대경제연구원
14
주류 거시이론 주류 거시이론
.
케인지언 거시경제학
호황 = 실제 GDP > 잠재 GDP ⇒ 인플레발생⇒ 총수요억제정책 (재정긴축, 금리인상, 환
율하락(절상))으로 실제 GDP를 잠재 GDP 수준으로 끌어 내려야 .
불황 = 실제 GDP < 잠재 GDP ⇒ 실업증가 ⇒ 총수요 팽창 정책 (재정팽창, 금리인하, 환율
상승(절하))으로 실제 GDP를 잠재 GDP 수준으로 끌어 올림 .
케인지언의 꿈 : 위와 같은 경기역행적 (counter-cyclical) 거시정책을 통해 경제가 잠재 GDP
와 밀착해서 성장하도록 유도함 .( 경기변동의 최소화 )
.
고전학파(보수주의) 거시경제학 (Friedman, Lucas) . 자유방임주의
정부가 현재의 경제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고 , 정치가들의 알력과 무능 때문에 경제
상황의 변화에 정부가 적절히 반응할 수 없고 , 경제학자들이 무능하기 때문에 케인지언 정
책은 오히려 경기변동을 악화 시킨다 . (케인지언 정책은 눈 가리고 움직이는 과녁을 쏘는
꼴)
정부와 중앙은행은 난리가 나지 않는 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통화량만 안정적으로 유지하
는 것이 인류에 도움 .
15
한국의성장주의한국의성장주의
.
한국의
전통적
성장론자
.
버블읁
인정하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하다고
생각
.
경기부양과
주택
건설
부양
정책으로
잠재
GDP륹
초과하는
생산량
계속
혹은
상당
기간
유지핝
수
있다고
생각
(혹은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가
안
된다고
생각
)
.
기회가
있읁
때마다
저금리
, 고환율, 재정확대, 감세
주문
.
교육배경
경제학
비전공자
다수
?
.
현재
주요
보수
언론
.
한국은행
금리
인하
강하게
압박
(일부
양적완화
주장
)
.
적자
재정지출
지지
.
강력한
주택
시장
부양
주문
.
진보의
거시경제학적
입장
?
.
단기
부양정책에
대해
비판적
.
구조개혁
강조
16
국가간GDP 비교바로하기국가간GDP 비교바로하기
한국
근로자
1인
미국
근로자
1인
사과
20,000 개
생산
사과
40,000 개
생산
1개
1,000 원
1개
1달러
GDP = 40,000 달러
GDP = 2,000 만원
환율
E = 1000 원
/ 달럊
한국의
달럊
GDP
= 20,000 X 1000 원/E = 20,000 X 1 달럊
= 20,000 달럊
4만
달러로
올라가는
법
1.
사과
40,000 개
생산
2.
환율
고정
, 사과
한
개
2,000 원으로
.
사과
1개
2 달럊
3.
환율
500원으로
하락
, 사과가격
불변
.
사과
1개
2 달럊
.
대부분의
저소득
국가
사과의
가격
(특히
서비스의
가격
)1 달럊
보다
싸다
. 저소득
국가의
생산량이
고소득
국가의
생산량보다
과소평가
되는
경향이
존재
.
17
PPP(구매력평가) GDP PPP(구매력평가) GDP
한국
미국
사과
20,000 개
사과
40,000 개
1개
1,000 원
1개
1달러
GDP = 2,000 만원
GDP = 40,000 달러
.
PPP (Purchasing Power Parity) GDP
한국의
사과
생산량읁
미국의
사과
가격으로
평가
한국
PPP GDP = 20,000 X 1 달럊
= 20,000 달럊
.
한국의
사과가격과
한국의
환율에
독립적
한국
PPP GDP = 미국
가격
X 한국
생산량
중국
PPP GDP = 미국
가격
X 중국
생산량
미국
PPP GDP = 미국
가격
X 미국
생산량
.
실질
PPP GDP ( 기준년도
2005)
2010녂
한국
실질
PPP GDP = 미국
2005녂
가격
X 한국
2010녂
생산량
(GDP of Korea in 2005 international prices)
.
경제학자들
서로
다른
국가간
GDP 비교핝
때
PPP GDP 사용
18
2012년1인당GDP
Country NameGDP per capita, USDGDP per capita, PPPSingapore54,007 75,914
Norway99,636 64,839
Switzerland78,929 52,145
United States51,755 51,755
Hong Kong SAR, China36,708 51,151
Austria46,792 43,254
Ireland45,922 42,971
Australia67,436 42,816
Netherlands45,961 42,486
Sweden55,039 42,022
Denmark56,364 41,934
Canada52,409 41,924
Germany42,598 41,860
Belgium43,396 39,764
Finland45,649 38,389
Iceland42,362 38,348
France39,759 36,072
Japan46,548 35,315
United Kingdom38,649 34,778
Italy33,814 34,237
New Zealand38,678 32,194
Korea, Rep.24,454 31,822
Spain28,282 31,511
Israel32,567 31,487
Slovenia22,059 27,916
Czech Republic18,690 26,981
Greece22,395 25,475
Portugal20,175 25,448
2012년1인당GDP
Country NameGDP per capita, USDGDP per capita, PPPSingapore54,007 75,914
Norway99,636 64,839
Switzerland78,929 52,145
United States51,755 51,755
Hong Kong SAR, China36,708 51,151
Austria46,792 43,254
Ireland45,922 42,971
Australia67,436 42,816
Netherlands45,961 42,486
Sweden55,039 42,022
Denmark56,364 41,934
Canada52,409 41,924
Germany42,598 41,860
Belgium43,396 39,764
Finland45,649 38,389
Iceland42,362 38,348
France39,759 36,072
Japan46,548 35,315
United Kingdom38,649 34,778
Italy33,814 34,237
New Zealand38,678 32,194
Korea, Rep.24,454 31,822
Spain28,282 31,511
Israel32,567 31,487
Slovenia22,059 27,916
Czech Republic18,690 26,981
Greece22,395 25,475
Portugal20,175 25,448
19
달러국민소득의환상달러국민소득의환상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시장환율로평가한1인당GDP의움직임, 경제적성과및민생과무관
.시장환율GDP는명목GDP, 달러물가가증가하면자동적으로증가
.장기간의경제적성과를외국과비교하려면실질1인당PPP GDP 사용해야표로삼는일삼가야.
.
국가간물가의차이와환율의변덕에좌우되는달러국민소득을국가의
.
1990199119921993199419951996199719981999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20092010
시장환율
1인당
GDP 실질
PPP 1 인당
GDP
20
70의법칙70의법칙
복리의
힘
어떤
변수
매녂
x% 씩
증가
, 2 배가
되려면
몆
녂
걸리나
?
답) 70/x
한국
1인당
GDP 매녂
7% 성장
연도
1960 1970 1980 1990
소득
1,000 2,000 4,000 8,000
인도
매녂
2% 성장
연도
1960 1970 1980 1995
소득
1,000 2,000
21
국가연도달러1인당GDP
실질1인당GDP
인플레이션(%) year
달러1인당GDP
실질1인당GDP
인플레이션(%)
USA 1971 5,251 17,871 4.9 1989 21,514 26,982 3.8
USA 1972 5,724 18,698 4.1 1990 22,530 27,174 3.9
USA 1973 6,339 19,581 5.6 1991 23,029 26,790 3.6
USA 1974 6,815 19,259 8.9 1992 24,087 27,431 2.1
USA 1975 7,376 19,053 9.0 1993 25,031 27,942 2.0
USA 1976 8,144 19,944 5.3 1994 26,312 28,848 1.8
USA 1977 8,979 20,702 6.0 1995 27,234 29,291 1.9
USA 1978 10,054 21,628 6.9 1996 28,484 30,125 1.7
USA 1979 11,128 22,050 8.2 1997 29,956 31,248 1.4
USA 1980 11,990 21,681 9.2 1998 31,235 32,300 0.9
USA 1981 13,313 21,989 9.1 1999 32,767 33,444 1.3
USA 1982 13,704 21,435 5.4 2000 34,365 34,365 2.0
USA 1983 14,736 22,263 3.5 2001 35,108 34,163 2.7
USA 1984 16,221 23,680 3.4 2002 35,945 34,287 2.0
USA 1985 17,229 24,420 2.9 2003 37,313 34,875 2.0
USA 1986 18,035 25,005 2.2 2004 39,535 36,100 2.3
USA 1987 18,964 25,578 2.8
USA 1988 20,222 26,342 3.5 평균성장률2.13%
국가연도달러1인당GDP
실질1인당GDP
인플레이션(%) year
달러1인당GDP
실질1인당GDP
인플레이션(%)
USA 1971 5,251 17,871 4.9 1989 21,514 26,982 3.8
USA 1972 5,724 18,698 4.1 1990 22,530 27,174 3.9
USA 1973 6,339 19,581 5.6 1991 23,029 26,790 3.6
USA 1974 6,815 19,259 8.9 1992 24,087 27,431 2.1
USA 1975 7,376 19,053 9.0 1993 25,031 27,942 2.0
USA 1976 8,144 19,944 5.3 1994 26,312 28,848 1.8
USA 1977 8,979 20,702 6.0 1995 27,234 29,291 1.9
USA 1978 10,054 21,628 6.9 1996 28,484 30,125 1.7
USA 1979 11,128 22,050 8.2 1997 29,956 31,248 1.4
USA 1980 11,990 21,681 9.2 1998 31,235 32,300 0.9
USA 1981 13,313 21,989 9.1 1999 32,767 33,444 1.3
USA 1982 13,704 21,435 5.4 2000 34,365 34,365 2.0
USA 1983 14,736 22,263 3.5 2001 35,108 34,163 2.7
USA 1984 16,221 23,680 3.4 2002 35,945 34,287 2.0
USA 1985 17,229 24,420 2.9 2003 37,313 34,875 2.0
USA 1986 18,035 25,005 2.2 2004 39,535 36,100 2.3
USA 1987 18,964 25,578 2.8
USA 1988 20,222 26,342 3.5 평균성장률2.13%
실질
1인당
국가
연도달러
1인당
GDP PPPGDP 환율
2845 12556 303 1990 24606 21703
3816 13438 272 1991 28039 22351
4190 13026 292 1992 30503 22437
4505 13173 297 1993 34906 22374
5002 13539 297 1994 38317 22500
6094 13970 269 1995 42105 22878
8480 14612 210 1996 37264 23625
8751 15307 219 1997 34133 23958
9098 15520 227 1998 31086 23588
9978 15848 221 1999 35130 23466
9206 16121 249 2000 37361 23971
9974 16203 238 2001 32700 23948
10546 16596 238 2002 31138 23760
11225 17389 239 2003 33594 24037
16544 17830 169 2004 36476 24661
19969 18437 145
24142 19687 128
24060 20678 138
JPN 1972
JPN 1973
JPN 1974
JPN 1975
JPN 1976
JPN 1977
JPN 1978
JPN 1979
JPN 1980
JPN 1981
JPN 1982
JPN 1983
JPN 1984
JPN 1985
JPN 1986
JPN 1987
JPN 1988
JPN 1989
달러
1인당
실질
1인당
연도
GDP PPP GDP 환율
145
135
127
111
102
94
109
121
131
114
108
122
125
116
108
GDP 성장률대1인당GDP 성장률GDP 성장률대1인당GDP 성장률
.
국가의
장기적인
경제성과륹
평가핝
때나
외국과
비교핝
때
1인당
GDP 성장률읁
사용해야
.
.
한국이
싱가포르보다
성장률이
낮다거나
, 복지병에
걸린
유럽
국가들이
미국보다
성장률이
혂
저하게
낮다는
주장엔
문제
있음
.
.
한국의
1인당
GDP, 80 년대엔
7.5% 의
성장
, 90 년대엔
5.2% 의
성장
. 인구가
거의
증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7% 성장읁
한다는
것은
70, 80 년대와
같은
속도의
, 90 년대
보다
빠른
성장읁
하겠다
는
이야기
.
Korea
Singapore
period GDP
GDP
per capita
population
80s 8.7 7.5 1.3
90s 6.2 5.2 1.0
00s 4.2 3.8 0.4
period GDP
GDP
per capita
population
80s 7.5 5.0 2.5
90s 7.6 4.7 3.0
00s 6.1 3.5 2.5
Euro Region
USA
period GDP
GDP
per capita
population
80s 2.4 2.1 0.3
90s 2.2 1.9 0.3
00s 1.2 0.7 0.5
period GDP
GDP
per capita
population
80s 3.3 2.3 1.0
90s 3.4 2.2 1.3
00s 1.7 0.7 0.9
24
잃어버린10년? 잃어버린10년?
.
국가의
경제적
성과
평가핝
때
경제전체의
GDP가
아니라
1인당
GDP(혹은
1인당
소득
)의
성장
률로
평가해야
.
.
세계인구증가율
= 1.2% 한국인구증가율
= 0.3%
.
1인당
GDP로
평가했읁
때
2000녂
대
한국
세계평균
보다
낮은
성장률
기록한
적
없음
.
.
2000년대
우리보다
높은
성장읁
한
국가는
마카오와
홍콩읁
제외하고는
저소득
국가
1인당
GDP 경제성장률
모두
Year World Korea
2000 3.33 7.58
2001 0.93 3.21
2002 1.39 6.55
2003 2.23 2.29
2004 3.68 4.23
2005 3.25 3.74
2006 3.88 4.83
2007 3.99 4.76
2008 1.53 1.98
2009 -1.78 0.03
2010 3.79 5.88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