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당뇨병은못먹어서걸린다당뇨병은못먹어서걸린다
1. 당뇨병에 대해 흔히 ‘서구병’, ‘부자병’이라고 오인하고 있다 .
2. 이러한 인식은 진실과 다르다 . 못 먹어서 인슐린 분비 능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갑자기 잘 먹게 되면 인슐린 처리 범위를 넘어서는 영양과다가 돼
혈당이 높아지는 이치다 . 예컨대 ,2 만5000 년 전부터 사냥과 절식생활을
해온 미국 애리조나 주의 피마 인디언은 알래스카 , 캐나다 지역을 지나 남
하한 뒤 농경생활을 거쳐 서구 식 생활에 노출된 지금 , 인구의 절반 이상이
당뇨병에 걸려있다 .
3. 당뇨병은 서양이 아닌 동양에 더 위협적이다 . 저개발과 절대 빈곤에 시
달리던 아시아 지역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패스트푸드의 확산 , 앉아있는 시
간의 증가 등으로 비만이 확산되고 있고 이것이 당뇨대란을 불러올 수 있다
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
4. 세계보건기구 (WT0) 는 아시아 지역 당뇨병 환자가 앞으로 5-6 년 사이
50%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
5. 체질상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당뇨병에 더 취약하다’는 이론도 있다 . 상
대적으로 덩치가 작은 동양인의 경우 서양인에 비해 췌장 세포 수가 적어
인슐린 분비가 떨어진다는 것 .
6. 당뇨병은 ‘서구병,’부자병‘이 아닐뿐더러 ’도시병‘도 아니다 . 오히려 도
시 거주자보다 농촌 거주자가 당뇨병에 더 취약하다 .
당뇨병은비전염성질환이다당뇨병은비전염성질환이다
1.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
(혈당)이
정상인보다
높은
병으로
소변에
당
이
나온다
. 또한,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고혈당증은
다음·다뇨·갈증
·체중
감소
등을
동반하며
, 인체
내
당질
대사장애
외에도
단백질·지방질·비타민
과
수분·전해질의
대사장애를
보인다
.
2. 발생
원인은
췌장
베타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의
부족과
인슐린
작
용에
대한
말초조직의
저항성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3. 인슐린은
몸
속의
영양소가
원활히
대사하는데
필요한
호르몬으로
, 이
호르몬이
부족하면
체내에
섭취된
영양소가
원활하게
이용되지
못해서
식
사를
통해
섭취된
당분
(포도당)이
간장이나
근육
,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
장되지
못하고
혈액
중에
축적된다
. 따라서
혈당이
높아져
소변으로
배설
이
되던가
, 혈액
중에
축적되어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으로
변한다
.
4.당뇨병은
에너지원인
당분이
혈액
속에
많은
데도
몸
속
세포에
이용되
지
않기
때문에
온몸은
힘이
없고
나른해진다
. 당분은
세균이
아주
좋아하
는
먹이로
몸
속에
세균이
증식해
폐렴
, 결핵, 방광염, 피부염
등에도
잘
걸
린다. 또한,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눈
망막의
혈관
, 신장혈관
, 신경을
형
성시키는
혈관이
손상을
입어
망막증에서
실명으로
, 당뇨병성
신증에서
신
부전으로
, 신부전에서
투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 때로는
지각이상이나
운동
마비
등이
일어나기도
한다
.
당뇨병의발생원인.스트레스가주요인당뇨병의발생원인.스트레스가주요인
1. 당이
몸
세포
안에서
연소되려면
비타민
B1, B2, B6, 니코틴산
, 판토텐산과
같
은
비타민과
인
, 마그네슘
, 철, 아연과
같은
미네랄이
필요하다
. 또
인슐린
합성에
는
망간과
아연이
관여한다
. 따라서
당뇨병의
원인에는
단순히
당분을
지나치게
섭취한것
뿐
아니라이
같은
비타민
, 미네랄이
부족한
점도
큰
영향을
미친다
.
게다가
체온이
낮으면
당분이
잘
연소되지
않는다
.
2. 당뇨병은
유전요인과
환경요인이
합해져
나타난다
.
3. 당뇨의
가장
큰
위험인자는
비만과
가족력이다
. 가족
중에
당뇨병이
있으면
주기적인
혈당검사가
필요하다
. 그리고
비만한
경우
정상체중인
경우보다
당뇨가
발생할
위험이
많으므로
체중을
조절하여
표준체중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
4. 이밖에
세균의
감염이나
임신
,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강하게
받았을
경우
발병률이
높지만
, 이러한
소질을
갖고
있어도
사람에
따라
발병이
쉽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
5. 서양인은
당뇨병의
원인이
비만이지만
동양인은
당뇨병의
원인이
너
무
열심히
일해서
생긴
스트레스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 스트레스로
굑마
신경이
긴장하면
카테콜아민
(노르아드레날인
, 아드레날인
등
)이
분비되
어
포도당의
생성을
촉진하게
된다
. 따라서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혈당치
가
올라가고
, 부교감신경의
억제로
인슐린
분비가
감소된다
.
당뇨병은미네랄의부족으로온다당뇨병은미네랄의부족으로온다
1.
몸의
냉증도
당뇨병과
큰
관련이
있다
. 몸읁
따뜻하게
해야
한다
. 몸
읁
따뜻하게
하는
차는
생강차가
매우
좋다
.
2.
당뇨병
환자들은
상반신은
비만
, 하반신은
비정상적으로
마른
사람이
대부분이다. 당뇨병은
다리
저림
, 부종, 임포텐츠, 당뇨병성
신증처럼
하반신에
증상이
집중되어
있다
. 이는
부실한
하반신이
당뇨병의
원인
이
된다고
핝
수
있다
. 따라서
뿌리
채소륹
많이
섭취하고
자주
걸어서
하반신읁
단련해야
한다
.
3.
당뇨병에는
해조류
, 콩류, 감자류, 현미, 굴, 생강, 양파, 호박, 참마주,
당근, 사과주스가
좋다
. 또한
과식읁
금지하고
체중읁
감량해야
한다
.
3.3운동(허리
3cm 줄이기, 몸무게
3kg 줄이기) 권장.
4.
크로뮴(Cr;24 번)과
바나듐
(V;23 번)의
부족은
혈당문제의
원인이
됙
다. 저혈당읁
한
동안
방치해두면
당뇨병읁
일으킨다
. 크로뮴과
바
나듐의부족
즉, 주석결핍의
초기
증상은
남성형
대머리로
나타난다
.
주석결핍증
환자륹
오래
방치하면
귀머거리가
됚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