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한강의 기적의 관점에서)  
대한민국경제 60여년의 성과
주요국의 인당 국민소득 추이
                                  (1954-2003)
건국과 경제체제
건국직후의 경제상황


 일본인들의 철수에 따른 생산 단절; 남북한간 경제적 보완성
       (南輕北重) 단절; 대규모의 인구 유입



 인플레(생산자물가 기준) : 1946, 47년 각 531%, 89%  → 
                                                  1948~49년 연평균43%


6.25 발발에서 60년대 초반의 경제상황



  생산자 물가 상승률 : 1950~52년간 연평균 168%


  물가안정에 크게 기여 : 생산 및 외환부족 완화, 재정적자 및 통화증발 축소 
  소비재 중심의 외국원조로 산업재건에 한계
  미국 잉여 농산물의 도입 및 저미가 정책으로 농업생산과 농가경제에 타격 
건국초기의 경제재건 노력(1)
• 자유민주주의 경제체제 출범
 참고자료 참조
 2.  토지개혁의 단행
 식민지하에서 양산된 수많은 소작농을 자작농화 함으로써 
      영농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함 (소작농비율 : 65%->8%)
 농지의 자작농화와 소득분배의 개선에는 기여하였으나 경제적인 성과는 미흡
 경지의 규모를 영세화 하여 농업의 기계화를 저해

3. 소비재산업 중심의 수입대체적 산업정책 추진
 수입쿼터와 높은 관세를 통한 국내산업의 보호
 비교적 쉬운 방법으로 소비재산업을 재건하였으나 국내시장의 협소로 인해 저성장과 비효율의 악순환자초
   1953-62년간 경제성장률은 년 3.7%에 불과, 이 기간 중 
      수출은 GNP의 1%  
농지개혁(1)
농지개혁(2)
건국초기의  경제재건 노력(2)
4. 개발자금 조달에 있어 외국의 원조에 의존
 한미경제조정협정(1952)
 식량과 소비재중심의 미국원조는 당시 경제안정과 
     양적 성장을 가능케 한 직접적인 원동력
 미국의 잉여농산물 도입은 국내농업생산을 위축시켰고 손쉬운 원조자금의 공급은 한국정부의 자립 노력을 저해
    
5. 높은 교육열로 인한 인적자원의 급속한 축적
 1945-1960 기간 중 국민학교 입학은 265%증가
 대학 입학은 12배로 확대, 문맹률은 78%에서 28%로 감소 
원조수입 비중 추이: 1948-1962 (%)
1950년대의 주요경제지표
1960년대 :
수출주도 공업화 정책
수출주도 공업화를  통한 경제개발
 공업화 발전전략
 Outward Looking Industrialization
 노동집약적 수출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
 전세계 신생독립국가와 저개발 국가들의 수입대체 대내지향 
   공업화 전략에서 일탈
  나일론 vs. 비날론(이승기)
  1963년부터 경제정책의 대전환
 1964년 원화를 100%평가절하하고 신축적 변동환율제 채택
 수출산업에 대해 각종 감세혜택을 부여하고 저금리의 자금지원
 수입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관세도 인하
 국내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1965년에는 은행금리 대폭 인상
  유치산업육성
  포항제철, 경부고속도로 건설

 2. 공업화 정책을 위한  행정개혁 

 경제개발계획의 수립을 정례화하고 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1961년 경제기획원 신설 및 경제부총리제 도입
 국세징수의 효율을 위해 1966년 국세청 신설
 대통령이 주제하는 수출진흥회의 운영
 수출성과의 정기적 모니터링과 장애요인제거




 3. 경제정책의 대전환과 제도적 개선에 힘입어 경제는 
      ‘도약의 단계’에 진입

 년 평균 9.5%의 고도성장
 수출은 년 평균 40%씩 증가하여 성장의 원동력 역할 수행
 투자에서 국내저축의 비중도 1962년의 25%에서 1971년에는  60%로 증가
 FDI대신 외자도입으로 토착능력배양에 역점
  “ Stick and Carrot Policy”의 적정구사


60년대 경제개발 실적





 고금리 기간인 1966~69년간 빠른 통화 증가에 불구, 인플레는 평균11.4%로 안정 : 생산 증대, 고금리에 따른 수요 둔화, 환율 안정 등에 기인

급속한 도시화 진행
수도권 인구 집중 
1970년대 : 
중화학 공업 육성
1. 중화학 공업육성
  중화학 공업육성 추진 배경
 저임추발국의 추격 의식
 남북 군사대치에 따른 방위산업 육성
  전통적 산업정책수단가동
  정부의 특별 지원법 제정을 통한 전략산업선정
 섬유, 석유화학, 전자, 철강, 조선 기계 등 자본 • 에너지 집약형 산업
  관치금융을 통한 “무한우대” 금융지원
  산업클러스터링을 위한 공업단지 육성
  높은 무역장벽과 진입제한으로 기 투자된 기업의 활동을 정부가 보호
  사업다각화와 시장점유율 확대 주력



  중화학 공업육성 정책의 부작용
 기업집단의 급속한 확대와 경제력 집중
 중화학의 전략적 육성을 위한 팽창형 재정 • 금융정책으로 과잉 중복투자와 함께 만성 인플레 촉진
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 추진으로 1,2차 오일쇼크에 취약
  『산업우위 금융종속』의 억압형 금융체제로 금융의 자율 중개기능 저해
  정경유착과 장기집권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 심화
 중화학공업분야를 중심으로 임금상승 및 임금격차 확대
- 과잉시설 및 부실채권 문제 발생
  중소기업의 상대적 위축으로 산업간, 지역간 격차 二重構造 심화
 금융시장 구조와 금융관행의 왜곡
 정책금융 → 도덕적 해이 유발

2. 농어촌 개발

 1971년부터 ‘새마을사업’의 대대적 실시

  1960년대 고도성장의 결과로 도시인구집중과  
    도농간 소득격차 발생
  농촌가구의 소득증대를 위한 경제사업 추진
  2중곡가제의 추진으로 농가의 미곡생산 보조
  농촌지역의 사회간접자본 확충

3. 70년대 경제개발실적


 대기업의 외채 의존 및 부채비율 증가 : 중복 • 과잉투자로 투자효율성 저하
 경제력집중 심화 및 부와 소득의 분배 악화 



 석유파동에 따른 수입 인플레 및 경기침체를 완화하기 위한 팽창적 거시정책
  높은 임금 상승 : 중화학공업 육성으로 고급인력 수요 증가 및 중동 건설 붐에 따른 인력 유출

1980년대 전반 :
물가안정화 시책의 추진 
1. 안정화 시책의 추진






        
   이러한 안정화 노력의 결과 인플레는 1979~81년간 
    평균 23%에서 1983~87년 기간에는 2.8%로 하락
자동차․디젤엔진․중전기기 부문의 투자조정 및 산업합리화
3저 호황 : 저환율, 저유가, 저금리 
 

  1986~88년간 명목수출은 연평균 31% 증가
   국제유가 및 국제금리의 하락까지 겹쳐 1986~89년간 경상수지는 346억불 (GDP대비 5.2%) 흑자기록

2. 무역자유화 정책 추진
  무역자유화의 지속적 추진
  수입자유화 계획(’ 84-’ 88년)에 따라 1988년 수입 자유화율 95%



  관세율 개편 계획(’ 84-’ 88년)에 따라 관레율 전반적 인하,  공산품간 세율격차 완화
•  평균세율 : 1983년 23.7% → 1988년 18.1%
•  20% 중심세율 구조 도입
  수입자유화 추진에 따라 기존의 수출지원제도 대부분 폐지
3. 안정화시책 추진의 결과

 안정화 정책의 결과는 매우 성공적

 1970년대 15%수준의 인프레가 2-3%수준으로 안정
 경제성장률도 1983년부터 8%대 유지
 국제수지도 크게 개선되어 1987년에는 100억 달러의 무역흑자 기록

1980년대 후반에서 
외환위기 까지 
3저의 퇴조 및 민주화 진전

  제조업의 명목임금은 1988~91년간 연평균 22% 상승


  큰 폭의 원화절상과 임금상승으로 달러표시 노임단가는 1987~89 3년간 누계로 약 100% 상승
  1988~89년 중 실질실효환율 (제조업 노임단가 기준) 39% 절상

노사분규 건수
건설 위주 내수과열, 진정 및 경제회복


  9%대의 성장; 인플레 가속화 (9%); 경상수지의 적자 반전


  성장 6% 수준으로 둔화



 건설 및 설비투자의 회복, 엔화강세와 선진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 호조로 8~9%대 경제성장 


  반도체 가격 하락 등으로 교역조건 대폭 악화; 외환 • 자본 자유화에 따라 금융기관 등의 대외차입 급증 

금융개방 추진
  금융국제화
  자본 시장 국제화의 단계적 추진
  외환 및 자본자유화
  OECD 가입 • 세계화
  외환시장의 자유화 : 외환거래의 자유화
  금융시장 개방
  한 • 미 통상마찰 및 OECD 가입 
    → 국내 금융 • 자본시장 개방요구 수용 
외채 및 외환보유액 추이

한국경제의 성공 요인
한강기적의 요인 1: 
강력한 정치적 지도력
 박정희 군사정부는 정치적으로는 독재를 구사하면서 경제발전에 대한 강한 집념과 추진
 정부주도 경제운용방식
 국영화된 은행을 통한 자금배정
 국세청의 행정력 등을 동원하여 민간부분의 투자결정과정에     깊숙이 관여
 강한 정부의 장점
 정치적으로 어려운 정책결정을 비교적 빠르게 할 수 있음
 정부의 공권력을 동원하여 노사분규를 진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손쉬운 방법으로 산업평화 유지
 정부정책의 우선순위를 정책금융의 배분을 통해 민간기업의 투자결정에 반영
한강기적의 요인 2 :
수출중시의 경제정책
  국내시장의 협소에 기인하는 결함을 무한한 수출시장의 개척을 통해 보완
 환율 등 주요가격체계를 수출산업에 유리하도록 조정, 유지
 필요 시, 세제 및 금융상의 특혜 부여
 정부와 대통령이 각종 행정력을 동원하여 수출활동을 지원, 격려
 1960대와 1970년대에 지속된 전세계적 자유무역분위기는 한국과 같은 신흥공업국의 수출시장 진출을 용이하게 함
 이러한 국제환경은 1980년대 초부터 달라지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한국도 각종 수출보조제도를 폐지하는 한편 수입자유화를 통해 국내시장을 개방
 이에 더하여, 중국 등 여타 개도국이 수출진흥정책을 추구함에 따라 국제시장에서 우리의 상대적 입지는 점차 어렵게 되었음 
한강기적의 요인 3: 
경제개발계획의 효율적 수립과 집행
  제도상의 장점
 경제기획원에 예산기능 부여와 경제부총리제의 신설로 각 부처에 대한 통제권 제고
 한국개발연구원 등 정부부처의 정책수립을 보좌하는 연구기관 설립, 운영
 계획수립 및 집행과정에서 국내외의 유능한 인재 동원 가능 (미국 원조기관 및 국제기구의 긍정적인 역할)

 경제관료의 긍정적인 역할
 대통령이 경제정책 분야에서 정치권으로부터의 간섭 차단
 유교적 전통 때문에 우수한 인재가 정부관료 희망
 특히, 경제부처는 이 중 가장 유능한 인재의 집결지
경제정책 사상
경제정책 사상의 발전
 경제정책의 사상은 크게 두 가지의 유형으로 대별 
    
 경제불간섭주의

 시장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믿음
 어떠한 외부의 간섭도 경제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안정구조를 왜곡시킨다고 주장

 경제간섭주의: 정부개입 주장

 시장경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주기적인 불황과 
        공항 발생
 부익부 빈익빈의 폐해 

  중상주의 (Mercantilism)
 16-18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지배적으로 유행되었던 경제사상

 국가를 부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역수지의 흑자를  통해 금의   보유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궁극적으로 무역전쟁 야기 

  무역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정부는 자국산업의 진흥과 보호를 위해 수출에 대한 보조금, 수입관세장벽, 유망한 산업에 대한 집중지원 등의 강력한 통제권행사

  17세기 프랑스 루이 (Louis) 14세의 재상인 콜베르 (Colbert) :    강력한 중앙집권적 감독과 지원을 통해 사회간접자본을 확충하고 상공업의 진흥을 꾀하여 당시 ‘세계의 제국’인 영국을 따라잡으려 노력
  중농주의 (Phisiocracy) 
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중상주의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등장한 케네 (Quesnay)
   를 중심으로 형성

 중상주의 희생물인 농업을 재건하려는 노력
  으로 농업우위론을 전개

 중상주의에 비해 자유방임적인 노선 견지

  
 고전파 자유주의 (Laissez-faire) 
 Adam Smith로 대표되는 고전파 경제학의 정책사상

  인간을 국가나 사회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앞세우는 이기적 측면에서 파악하지만, 이러한 이기적 인간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사회는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인 가격기구의 기능에 의해 자율적이고도 효율적인 질서체계를 유지
 
 따라서 정부는 국방, 치안 등의 공공사업과 시장질서를 유지하는데 그 역할을 한정

 국제무역관계에서 국제분업으로 상호이익을 증진시키는 자유무역 (free trade)주의 표방

  영국은 18세기 후반에 시작된 산업혁명으로 상품의 국제경쟁력이 높아지고 19세기 후반에는 본격적인 자유방임의 원리에 가장 충실한 경제정책을 전개 
  공리주의 (Utilitarianism)
 단순히 경제적 자유를 이유로 시장제도를 창출 유지시키기보다는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을 위해서 정부가 직접 정책목적을 추구해야 한다는 주장

 벤담 (Bentham), 마셜 (Marshall)이 대표적인 경제학지로 이는 피구 (Pigou)의 후생경제학으로 발전 
 
 현대에 와서 정책시행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비용편익분석 (cost-benefit analysis)와 사회적 편익 (social benefit)계산의 이론적 근거    
  공산주의 (Communism)
 Marx-Engels 에서 유래한 정책사상으로 개인적 자유와 효용을 기반으로 하는 자유주의와는 정반대의 전체주의 (Totalitarianism)적 정책사상

 자본주의의 과잉생산과 빈곤의 모순을 무정부주의적 시장생산과 생산수단의 사유, 생산수단을 소유한 자본가계급에 의한 노동자 착취에서 찾아, 이 모순을 생산수단의 사회적 소유와 계획경제로 해결하려는 사상

 생산수단에 대한 사적 소유가 노동자 착취의 근본적인 원인이기 때문에 이의 국유화 주장
 
 자발적 교환질서에 기초한 시장경제는 빈곤과 실업의 원인이므로 정부가 주도하여 경제를 계획할 것을 주장
  사회민주주의 (Social Democracy)
 정부는 시장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빈곤과 실업을 해소하기 위해 완전고용정책과 사회보장제도로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마르크스 사회주의 사상가들의 이념에 기초하며 현대 서유럽형 복지국가 (Welfare State)의 경제정책에 대한 이론적 기반
  케인즈 (Keynes)주의 
 케인즈는 1930년대 대공황을 배경으로 1936년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을 출판하여 고전학파의 견해를 비판

 시장기구의 작동이 반드시 완전고용을 보장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을 새로운 국민소득이론으로 입증하고 완전고용을 위한 정부의 개입을 정당화

 실업을 유효수요의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았던 케인즈는 정부의 개입이 자유에 대한 침해라기보다는 자유의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인식

 이러한 정책이 현실적으로 구현된 것은 루즈벨트 미국대통령이 추진한 뉴딜 (New Deal)정책이었음

 케인즈주의는 2차 세계대전 이래 중심적인 경제정책사상으로 자리잡았으며 국민경제내에서 정부의 역할이 확대된 이론적 기반 구축
  신자유주의 (Neo-liberalism)
 경제활동에서 개인의 자유가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고 정부는 공정한 경쟁질서를 구성, 운영하고 집단적 공공서비스를 공급하는 데 한정해야 한다고 주장

 개인들의 경제적 자유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 정부는 재산권이나 화폐제도 등에서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여야 함

 시장이 불완전하고 외부성이 존재하여 정부의 개입이 정당화되는 경우에도 정부는 경쟁질서를 파괴하는 자유재량적 개입을 피해야 함

 시장경제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마르크스 사회주의는 물론 평등주의를 강조하여 경제효율의 저하를 초래한 사회민주주의에 반대하며 케인즈학파의 자유재량적 재정 및 금융정책에 반대하는 하이예크 (Hayek)와 프리드만 (M. Friedman) 등의 경제학자들이 이론적 기반 정립

 80년대 미국에서는 레이건 (Reagan)대통령, 영국에서는 대처 (Thatcher)수상이 이를 경제정책에 적용함으로써 영국, 미국 등 선진국에서 경제정책의 새로운 중심이론으로 부상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의 패러다임 변화 

Posted by MSNU

























윤리와 사상
Ⅲ. 서양 윤리 사상

       여성주의(페미니즘) 윤리  
1. 대두 배경:여성에 대한 차별과 남성 위주의 사고방식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
2. 주요 내용
  (1) ‘여성다움’에 대한 비판
① 사회적 구조와 모순에 의해 ‘여성성’이 생김 
(남성의 여성 지배 구조, 남성적 주체의 他者로 축소됨)
→ 보부아르: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 본격적인 여성주의 윤리의 시작
② 여성다움은 문화적 산물 → 육체적∙물리적 힘보다 정교한 기술과 창의적 아이디, 법과 권리가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는 의미가 없음






 (2) 울스턴크래프트의 사상
① 여성의 위치 판단 : 개성과 인격을 갖출 기회 상실, 남성들을 위한 부속품으로 전락
② 여성의 교육 기회 중시 : 남녀는 똑같이 이성을 지닌 존재 → 남녀의 차이는 차별적 사회 구조에서 비롯된 것 → 여성에게도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3) 억압으로부터 해방
①역사적으로 항상 남성이 여성을 억압했다고 주장  → 남성의 억압에서 해방되어야 함
②순종, 희생, 겸손, 자기 억제 등의 덕목은 여성에 대한 차별을 암시 → 이러한 덕목은 여성에게만 더 강요되기 때문
③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남성보다 열등하게 대우받는 것은 부당 

3. 여성주의 윤리의 의의:양성 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실현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이바지

※ 여성주의 윤리의 전개


      배려윤리     (배려가 아름답다)
• 대두 배경:남성 중심적•가부장적 권위를 중시하는 사고방식을 비판하면서 대두
2. 남성 중심 도덕의 특징
 (1) 객관적•합리적 이성을 중시하면서 법적 정의의 구현 등 객관적∙보편적 가치와 이상을 중시
 (2) 개개인이 처한 구체적 생활 맥락을 무시하는 경향
3. 배려 윤리의 특징
 (1) 다른 사람을 보살피고 배려하는 공동체적 관계가 중요
 (2) 보살핌, 연민과 동정심, 상호 의존성과 유대감, 인간관계와 도덕적 책임 중시
 (3)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태도: 상대방의 처지를 바꾸어 생각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태도


4. 길리건(Gilligan, C.)의 배려 윤리 사상
•  콜버그 이론 비판 : 도덕성에 있어 여성의 “다른 목소리” 간과
• 여성의 배려 윤리 강조 : 여성 도덕성과 남성 도덕성의 질적인 차이 존재


5. 나딩스(Nodding, N.)의 배려 윤리 사상
(1) 정의 윤리 비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어떤 안내도 제시해 주지 못함
(2) 배려의 성격 규정: 배려는 상호적인 것
① 배려의 원형은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
② 배려를 받는 사람이 배려하는 사람에게 응답할 때 배려 완성 
(3) 배려의 범위 확대: 낯선 타인, 동식물과 지구 환경 등에까지 배려 확대 주장
6. 배려 윤리의 의의
 (1) 공정성을 중시하는 정의(正義) 중심 윤리를 보완 → 배려 윤리와 정의 중심 윤리는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 관계
 (2) 여성이나 소수자, 외국인 노동자, 이주민 등 소외 계층을 배려
<형성평가>
1.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이 말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여성성은 본질적으로 정해져 있다.
② 여성에게 중요한 것은 정신적 힘이다.
③ 여성의 본질은 선천적으로 만들어져 있다.
④ 여성은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능력이 없다.
⑤ 사회 제도나 문화적 관습을 통해 여성됨을 강요한다.

2. 다음 글에 나타난 윤리가 강조하는 덕목은?
…그러므로 삶의 목표는 근본적으로 쾌락을 충족시키거나 고통과 어려움을 피한다는 의미에서의 행복이 아닌 것이다. 또한, 그것은 내세를 준비한다거나 영혼과 같은 분리된 실체를 완전하게 만든다는 의미에서의 완전함이 아닌 것이다. 오히려 근본적 목적은 인간적 영역에서 따뜻한 배려를 하는 것과 배려를 받는 것, 그리고 비인간적 세계에서 완전한 수용을 약속하는 것이다.
① 순종적이고 온순한 여성상
② 남성 중심적, 가부장적 질서
③ 다수의 행복을 위한 정의 사회
④ 공정하고 객관적인 사회적 정의
⑤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고 배려하는 공동체 관계


3. 다음 중 정의 윤리가 강조하는 덕목은?
① 사회적 조화 및 희생
② 사회적 동정심과 관계
③ 이웃에 대한 따뜻한 배려
④ 사회적 규칙의 합법적 준수
⑤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감


4. 다음은 캐롤 길리건의 주장이다. 이 글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결론으로 타당한 것은?
  여성들은 인간관계의 맥락 안에서 그들 자신들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따뜻하게 배려할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이라는 견지에서 그들 자신을 판단한다. 아울러 여성들에게 있어서 도덕적 문제들은 경쟁적 권리보다는 갈등적 책임감에서 나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생각의 방식도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적이고 화술적(narative)인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남성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도덕적 언어를 지니고 있다. 여성들은 남성과 ‘다른 목소리’로 말한다.
① 도덕성의 핵심은 정의와 공정성이다.
② 인간의 도덕성은 직선적으로 발달한다.
③ 남성과 여성의 도덕적 관점은 동일하다.
④ 여성은 남성보다 배려와 책임감을 중시한다.
⑤ 공정한 권리를 동등하게 누리도록 만드는 것이 사회적 책임이다.


5. 배려 윤리와 정의 윤리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배려 윤리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정의를 중시하는 정의 윤리의 한계를 비판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정의 윤리는 객관적•합리적 이성을 중시하며 법적 정의 구현 등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중시한다. 이에 비해, 배려 윤리는 정의 윤리가 간과하는 타인에 대한 배려, 공동체 정신, 정의적 태도 등을 강조한다. 
배려 윤리와 정의 윤리는 상호 배타적 모순 관계가 아니라 보완적 관계이다. 이 둘은 여성이나 소수자, 청소년 문제 등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중단원 마무리
• 삶과 실존, 생명 존중과 책임
01 다음 글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을 쓰시오.
대표적인 생철학자인 쇼펜하우어는 우리의 삶 전체가 체험이고 (       )(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인간은 영원히 충족할 수 없는 욕망 그 자체인 ‘ 삶에의 맹목적인 (      ) ’에서 벗어날 수 없어서 삶을 사는 것 자체가 고통의 연속이라고 보았다.

02. 다음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이다.  관계 깊은 것끼리 바르게 연결하시오.
⑴ 키르케고르 •           •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고 
                                     하여 인간의 자기 결정성을
                                     강조하였다
⑵ 사르트르    •           • ㉡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직접
                                     경험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죽음을 통하여 죽음의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우리가 모두 ‘죽음에 이르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⑶ 하이데거    •            • ㉢ 불안과 죽음의 문제를 극복
                                      하고 참된 실존을 회복하기
                                     위해서‘신(神) 앞에 선 단독자’
                                    로서 인간의 실존을 강조하였다.



03. 슈바이처는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은 존중받아야 한다는 (                  )을(를) 주장하였다.
|여성과 배려 윤리|
04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을 완성하시오.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                        )”(이)라는 말을 통하여 여성성이라는 것이 사회적 구조와 모순에 의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말한 바로는‘남성’이라는 본질이 존재하지 않듯이 ‘여성’이라는 본질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05 배려 윤리는 정의나 공정성을 강조하는 (㉠      )중심 윤리가 간과할 수 있는 도덕적 덕목을 보완할 수 있다. 배려 윤리와 정의 중심윤리는 대립적 관계가 아니라 (㉡                 )관계이다.


|실용주의, 계약과 담론 윤리|
06 현대의 다양한 윤리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틀린 것은 ×표를 하시오.
⑴ 실용주의는 유용성과 진리성을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상적인 욕구를 만족하게 해 주는 것을 모두 참이라고 여긴다. (    )
⑵ 실용주의를 발전시킨 대표적인 학자인 듀이는 실용주의를 교육•윤리•정치 등 사회 전반에 적용시켰다. (    ) 
⑶ 근대의 계약론 사상에서 전제하는 인간 능력의 평등은 현실과 잘 연계되어 있다.(    )
⑷ 담론 윤리는 윤리적 행위 기반을 사람들의 언어 공동체, 즉 의사소통 공동체에서 찾는다. (     ) 


주관식 • 서술형
1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⑴ ㉠에 들어갈 윤리 사상을 쓰시오.
실존주의 
⑵ ㉠에 들어갈 윤리 사상의 특징을 서술하시오.
      실존주의는 본질보다는 인간의 실존을 중시하여 개인의 개별성이나 개성을 존중하였고, 인간의 자율적인 결단과 주체적인 선택,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였다.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⑴ ㉠에 들어갈 개념을 쓰시오.
아힘사 
⑵ 현대 평화 사상에서 ㉠이 주목받는 이유를 서술하시오.
      현대 사상은 소외받은 계층들에게 폭력을 가하지만, 아힘사 사상은 현대 사회의 구조적이고 문화적인 폭력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하는 지침을 마련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12. 배려 윤리에 대해 밑줄 친 부분과 같은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근거를 서술하시오.
배려 윤리에서는 타인에 대한 보살핌, 연민과 동정심, 상호 의존성과 유대감, 인간관계와 도덕적 책임 등을 중시하기 때문에 배려적 사고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Posted by MSNU

























국내의 HFC망 현황과 발전 방향 목차 1. 케이블 TV와 HFC 망의 국내 도입 과정 2. HFC 망 개요 3. HFC 망의 현황 4. HFC 망의 개방 5. HFC 망을 이용한 복합서비스 6. HFC 망의 발전방향 첨부 : HFC 망 시연회 참고자료 Ⅰ. 케이. 케이블 TV와 HFC 망의 국내 도입 과정 가. CATV 역사 ○ CATV/MATV(Community Antenna/Master Antenna TV) -공중파 수신이 곤란한 지역에서 공동안테나 시설을 통해 공중파를 중계하는 공동수신 시스템 ○ CATV(Cable Television) -공중파 중계 및 지역 특성에 맞는 자주방송과 부가서비스를 수용하여 복합 전송 -공중망과의 연결을 통한 방송과 통신의 융합의 기반이 되는 가능성 내재 나. 한국형 CATV ○ CATV( 중계유선방송) -유선방송관리법이 근간 ○ Cable TV( 종합유선방송) -종합유선방송법이 근간 ○ 2000년 통합방송법으로 통합 운영 -유선방송관리법, 종합유선방송법, 방송법을 통합하여 하나의 관리체제로 통합 Ⅰ. 케이. 케이블 TV와 HFC 망의 국내 도입 과정 다. 케이블TV사업 연혁 ○ 93. 5 : 전국 116개 종합유선 방송구역으로 고시 ○ 93. 12 : 전송망사업자 지정(KT, KEPCO) ○ 94. 1 : 6개광역시 및 각도에 총 54개의 종합유선방송국을 1차 허가 ○ 97. 2 : 미허가 지역을 광역화, 전국을 77개구역으로 재고시 ○ 97. 9 : 미허가 24개 지역에 대하여 2차 방송국사업자 선정 ○ 01. 5 : 1차지역을 대상으로 3차 SO 33 개소 복수 허가 (중계유선을 종합유선방송화) 라. 케이블TV 추진 배경 ○ 다양한 정보채널로 문화수준 향상 및 지역격차 해소 ○ 지상파 방송의 주파수가 포화상태로 다양한 전문정보 욕구 충족 ○ 미래 대량 정보전달 수단으로 종합정보통신망 구축 필요 Ⅰ. 케이. 케이블 TV와 HFC 망의 국내 도입 과정 마. 국내 HFC 망 관련 주요사업 변천사 □ 1995 : 종합유선방송 (케이블TV) 상업방송 시작으로 HFC 망 시설 -사업형태 : 투자 수익을 고려 3분할 구도로 사업권 부여(PP, SO, NO) -전송망사업자(HFC망) : 한국전력, 한국통신 -전국 광역시 및 대도시 중심 : 54 개 SO 허가 □ 1998 : 케이블모뎀을 이용한 고속 인터넷 사업 추진 -한국전력의 양방향 서비스 및 케이블모뎀 시범서비스 성공 -두루넷의 케이블모뎀 사업 개시로 고속 인터넷 가입자망 견인차 -’99년 하나로, ’00년 온세 등 다수 사업자 사업 참여 □ 2000-2002 : HFC 망 사업자 변화 및 고속 가입자망 사업 활성화 -한국통신 시설분 SO 매각 및 중계유선의 SO 전환 -한국전력은 자회사 ㈜파워콤을 발족 HFC망을 포함한 통신분야 분리 -인터넷 가입자의 폭발적 증가로 데이터전용 HFC 망 시설 폭증 (하나로, 두루넷 등 HFC 자가망 구축) □ 2002 : 디지털유선방송 상업방송 추진 Ⅰ. 케이. 케이블 TV와 HFC 망의 국내 도입 과정 바. 케이블TV 전송망 활용 ○ 종합유선방송사업은 프로그램공급자(PP), 방송국사업자(SO), 전송망사업자(NO) 로 구분 ○ 전송망사업은 PP에서부터 SO까지 프로그램을 전송해주는 프로그램전송망과, SO에서 부터 가입자까지의 가입자전송망으로 분리 ○ 개념도 ○HFC(Hybrid Fiber Coaxial) 망은광케이블과동축케이블이결합된망으로써한전의케이블TV 가입자전송망으로최초시설 ○광대역, 양방향통신이가능한네트웍으로시설되어유선가입자망인프라의한축으로급성장프로그램공급자(54개) 방송국운영자(110 개) 가입자(가정,아파트등) 전송망사업자광프로공급망HFC(광+동축) 가입자망(PP) (SO) (NO) 2. HFC 망 개요 가. HFC망 개요 및 특징 증폭기 PP ISP 분배센터 (SO) 옥외형광송수신기(ONU) (TBA) 분배기분기기(Tap-off) CM PC TV Converter Cell #1 Cell # N (Splitter) 광케이블동축케이블 ○ 광동축 복합망(Hybrid Fiber Coaxial) -SO∼Cell ONU 간 광케이블(Star 형), ONU∼가입자간 동축케이블(Tree & Branch 형) -능동소자(TBA) 와 수동소자(Splitter, Tap-off 등)의 조합으로 구성 ○ 서비스 구역을 여러개의 Cell 로 구분 시설 -Cell 별 독립된 망 -가입자 증가에 따라 Cell 분할 ○ 전화선보다 광대역 전송로인 동축전송로 이용함 ○ 투자비와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되고 전문기술인력이 요구됨 2. HFC망 개요 □ HFC 망 구성 요소 구 분 종 류 용 도 광전송장치 광송신기 분배센터의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 ONU 로 송신 광수신기 분배센터에서 ONU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 수신 옥외광송수신기 (ONU) Cell 의 중심으로써 상·하향 광과 RF신호간 변환 -Optical Network Unit 광케이블(Optical Cable) SO 에서 ONU 까지의 전송로(10Core/Cell 당) 동축전송장치 증폭기(TBA) 동축케이블의 선로 신호손실을 보상 분배기(Splitter) 하나의 RF신호를 둘이상으로 균등분배 분기기(Tap-off) 가입자 단말로 신호를 균등분배하기 위한 전송망의 최종 소자 동축케이블(Coaxial Cable) ONU 에서 가입자까지의 전송로(17C, 12C 등) 2. HFC망 개요 나. 주파수 대역 & 전송 속도 ○ 주파수 대역 . 하향 : 54 MHz ~ 750 MHz 54 MHz ~ 500 MHz : 아나로그(케이블TV) 방송 500 MHz ~ 552 MHz : 인터넷 대역 552 MHz ~ 750 MHz : 디지털TV 등 부가서비스 대역 - 상향 : 5MHz ~ 42MHz 0 5 42 54 500 552 750Mhz 디지탈방송, 아나로그방송용 인터넷 상향 신호용 부가서비스 ○ 변복조 전송 속도(DOCSIS 표준) 구 분 하 향 상 향 대역폭 6Mhz 1.6Mhz 변조방식 64QAM 256QAM QPSK 16QAM 전송속도 27Mbps 40Mbps 2.5Mbps 5Mbps 2. HFC망 개요 □ HFC 망을 통한 상하향 주파수 경로 가입자측 PP 하향 하향 상향 Internet IP Router Headend(SO) TV channels Data channel Data channel 54 ~ 500MHz 552 ~ 750MHz 500 ~ 552MHz 5 ~ 42MHz r 케이블Modem Converter 케이블Modem Converte 케이블TV 인터넷접속HFC 망 2. HFC망 개요 다. HFC망 인터넷 활용 ○ HFC망의 전송대역중 상향 5∼42MHz와 하향 500∼552MHz의 대역을 이용하여 초고속인터넷등 부가서비스 시행 -97년 영등포구 50가입자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 성공 -하나로, 두루넷, 온세, 드림라인, SO 등 서비스중 ○ 구성도 CMTS Router ISP STB 동축케이블Splitter TBA ONU Tap-Off Optical Unit HFC 망광케이블 3. HFCHFC망 현황 가. 국내 고속 인터넷 가입자 변화 추이 “전체 약 926만중 HFC 망 이용 34.9% 점유 “ 총가입자수 926만 HFC 망 324만 구분 ’00.12 ’01.2 ’02.4 ’02.12 예상 ’03.12 예상 가입자수 398만 780만 926만 984만 1,100만 HFC망 139만 262만 324만 336만 378만 나. 국내네트웍별인터넷가입자현황 ¾ÆÆAÆ®LAN11.3% xDSL52.4% ±aA¸(A§¼º) 1.3%HFC34.9% HFCxDSL¾ÆÆAÆ®LAN±aA¸(A§¼º) 3. HFC망현황. 국내네트웍별인터넷가입자현황 ¾ÆÆAÆ®LAN11.3% xDSL52.4% ±aA¸(A§¼º) 1.3%HFC34.9% HFCxDSL¾ÆÆAÆ®LAN±aA¸(A§¼º) 3. HFC망현황 구 분 HFC xDSL 아파트LAN 기타(위성) 계 가입자수 324만 485만 105만 12만 926만 점유율(%) 34.9 52.4 11.3 1.3 100 14 0102030405060CN±¹¹I±¹E≪Aa½I°¡Æ÷¸£´e¸¸CA¶u½ºμ§¸¶Aⓒμ¶AIHFCADSL°e국가HFC ADSL 기타계한국18.6 38.6 0.1 57.3 미국7.6 2.8 0.7 11.1 홍콩7.6 1.2 0.9 8.1 싱가포르6.6 0.5 0 7.1 대만3.5 2.6 0.1 6.2 프랑스4.0 1.7 0.3 6.0 덴마크3.4 2.4 0 5.8 독일2.7 2.2 0.1 5.0 다. 국가별광대역인터넷보급률2000 년12 ~ 2001 년2(3 개월평균) 정통부자료(%) 3. HFC망현황“한국이인터넷보급율세계1위” “외국은HFC 우세, 한국은ADSL 우세” 0102030405060CN±¹¹I±¹E≪Aa½I°¡Æ÷¸£´e¸¸CA¶u½ºμ§¸¶Aⓒμ¶AIHFCADSL°e국가HFC ADSL 기타계한국18.6 38.6 0.1 57.3 미국7.6 2.8 0.7 11.1 홍콩7.6 1.2 0.9 8.1 싱가포르6.6 0.5 0 7.1 대만3.5 2.6 0.1 6.2 프랑스4.0 1.7 0.3 6.0 덴마크3.4 2.4 0 5.8 독일2.7 2.2 0.1 5.0 다. 국가별광대역인터넷보급률2000 년12 ~ 2001 년2(3 개월평균) 정통부자료(%) 3. HFC망현황“한국이인터넷보급율세계1위” “외국은HFC 우세, 한국은ADSL 우세” 3. HFCHFC망 현황 라. ISP 별 서비스 현황 -“ 하나로, 두루넷, 온세 등이 HFC 이용 주도 ” KT,드림라인,기타 : ’02. 3 하나로,두루넷,온세 : ’02. 4 구분 KT 하나로 두루넷 온세 드림라인 기타 합 계 HFC 0 1,392,413 1,407,333 294,717 81,749 65,341 3,241,553 ADSL 3,549,177 1,197,752 0 0 97,311 0 4,844,240 아파트LAN 등 527,622 549,837 11,908 8,574 0 72,961 1,170,902 3. HFCHFC망 현황 마. ISP별 HFC망 가입 현황(‘02.3) “ HFC 인터넷 가입자중 파워콤망 사용율은 59.8% ” 구분 두루넷 하나로 온세 기타 계 총가입자 1,407,333 1,392,413 294,717 147,090 3,241,553 파워콤망 672,450 956,797 286,143 25,797 1,939,044 파워콤망 점유율 48% 68.7% 96.3% 17.5% 59.8% 바. HFC 망홈패스율사례 2005년64% 85% 2002년1998년45% 3. HFC망현황“기존HFC 망에별도구축없이신규가입할수있는홈패스율은현재약64% 보유“ . HFC 망홈패스율사례 2005년64% 85% 2002년1998년45% 3. HFC망현황“기존HFC 망에별도구축없이신규가입할수있는홈패스율은현재약64% 보유“ (2002. 3 현재 파워콤망) 구분 SO권역 지역수 (시군구) 대상가구 (A) 시설단자 (B) 홈패스율 (B/A) 가입자 (C) 가입율 (C/A) 수용율 (C/B) 전국지역 77 232 1,608만 709만 44% 193만 12% 27% 사업지역 63 134 1,112만 709만 64% 193만 17% 27% 3. HFCHFC망 현황 사. HFC 망 사업 매출 현황(파워콤) “ HFC 인터넷 매출 350%로 급증 “ (억원) 3,886억 HFC 인터넷 2,565억 350% 케이블TV 전력통신망 900% 1,469 억 회선임대 31% 33% 19 78132119757471686560181166146130107976141241030507090110130150170190'00.1/4'00.2/4'00.3/4'00.4/4'01.1/4'01.2/4'01.3/4'01.4/4'02.1/4 ¸¸ °¡±¸/ID아. HFC 망가입자추이(파워콤) HFC 인터넷케이블TV 3. HFC망현황“2000년¾ 분기부터HFC 인터넷가입자가케이블TV 가입자를상회” 78132119757471686560181166146130107976141241030507090110130150170190'00.1/4'00.2/4'00.3/4'00.4/4'01.1/4'01.2/4'01.3/4'01.4/4'02.1/4 ¸¸ °¡±¸/ID아. HFC 망가입자추이(파워콤) HFC 인터넷케이블TV 3. HFC망현황“2000년¾ 분기부터HFC 인터넷가입자가케이블TV 가입자를상회” 3. HFCHFC망 현황 자. HFC 망 관련 사업자 및 서비스 제공 현황 “ 다양한 형태의 망이 구축되어 이용되고 있음 “ 파워콤망보유사업자망서비스형태서비스유형별사업자하나로두루넷SO 중계유선중계유선+인터넷SO온세하나로중계유선두루넷인터넷전용인터넷전용인터넷전용케이블TV+ 인터넷케이블TV전용 3. HFCHFC망 현황 □ HFC 망 관련 사업자 및 서비스 제공 현황 사업자 망보유 서비스 제공사업자 비고 서비스 사업자 방송 인터넷 케이블TV 파워콤 각 SO의 두루넷, 온세통신, 하나로통신 초기 한국전력 시설분 (망개방) 및 인터넷 SO(자가망) 종합유선 방송 SO, ISP 사업자 초기 한국통신 시설분 또는 중계유선 전환 인터넷 파워콤 수용불가 (NO 두루넷, 온세통신, 하나로통신(망개방) 시스템 개방 두루넷 두루넷 망독점 사용 하나로통신 미허가) 하나로통신 망독점 사용 중계유선방송 및 인터넷 일부 중계유선 중계유선 방송 ISP와 연합 또는 중계유선 독자 일부지역만 사업 22 ○ HFC망을 방송구역당 1개 ISP에게만 제공(SISP)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 여 기술발전에 따라 여러 ISP가 공동사용함으로써 중복투자 방지 및 사용율 증대 (M-ISP : Multi Internet Service Provider) ○ 구성도 가. M-ISP(Multi-ISP) 서비스 추진 사례(파워콤) 4. HFC망의 개방 Router CMTS ONU 증폭기 탭 케이블모뎀 PC M-ISP ISP접속망 분배센타 설비 광동축결합망 (HFC) 전송망 설비 인입선 가입자 광케이블 기타 ISP . . 기타 ISP . DHCP . 두루넷 하나로 온세 나. S-ISP 와M-ISP 비교 DHCP Cable Modem @ 온세(f1) Cable Modem @ 하나로(f2) Cable Modem @ 두루넷(f3) HFC망 CMTS(f3) CMTS(f1) Router(GBS) TCP/IP CMTS(f2) Router_ 온세Router_ 하나로Router_ 두루넷Internet Cable Modem @ 온세(f1) Cable Modem @ 하나로(f2) Cable Modem @ 두루넷(f3) HFC 망 온세하나로두루넷 DHCP@파워콤CMTS@ 파워콤Router(GBS)@ 파워콤TCP/IP 전용선(광케이블) IP Group 1 (온세) IP Group 2 (하나로) IP Group 3 (두루넷) 4. HFC 망의개방 HFC 망HFC 망나. S-ISP 와M-ISP 비교 DHCP Cable Modem @ 온세(f1) Cable Modem @ 하나로(f2) Cable Modem @ 두루넷(f3) HFC망 CMTS(f3) CMTS(f1) Router(GBS) TCP/IP CMTS(f2) Router_ 온세Router_ 하나로Router_ 두루넷Internet Cable Modem @ 온세(f1) Cable Modem @ 하나로(f2) Cable Modem @ 두루넷(f3) HFC 망 온세하나로두루넷 DHCP@파워콤CMTS@ 파워콤Router(GBS)@ 파워콤TCP/IP 전용선(광케이블) IP Group 1 (온세) IP Group 2 (하나로) IP Group 3 (두루넷) 4. HFC 망의개방 HFC 망HFC 망 Multiple-ISP Single-ISP CM STB CMTS GBS DHCP Router(GBS) SISP 회선 TV 파워콤HFC망두루넷HFC망하나로HFC망 MISP 회선MISP 회선MISP 회선SISP 회선온세두루넷하나로인터넷다. HFC 망의MISP 운영사례 CMTS CMTS DHCP 4. HFC 망의개방 CM STB CMTS GBS DHCP Router(GBS) SISP 회선 TV 파워콤HFC망두루넷HFC망하나로HFC망 MISP 회선MISP 회선MISP 회선SISP 회선온세두루넷하나로인터넷다. HFC 망의MISP 운영사례 CMTS CMTS DHCP 4. HFC 망의개방 온세가입자 두루넷 하나로 두루넷 하나로 < 파워콤 HFC망> < ISP 자가망 > 4. HFC 망HFC 망의 개방 □ MISP 구성 요소 구분 종류 용도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케이블 모뎀 종단장치로서 케이블 모뎀이 집중화 되는 장비 MISP 운용장 비 Router/GBS (Giga Bit Switch) 라우팅 기능과 스위칭 기능을 제공하며, Giga 광포트와 100Mbps Ehternet 포트 제공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구성 프로토콜로서 가입자에게 유동IP 부여기능 및 QoS 옵션 설정 MIOS Multi-ISP Operating System 웹상으로 MISP시스템 설비의 장애를 등록하고 진행상황을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장애 및 가입자 정보 Database 를 구축 가. . Digotal 유선방송 인터넷 서비스 비지니스 서비스 원격 경보 26 전자상거래 Home Auto VPNs - 원격검침 HFC망 멀티미디어컨텐츠 VoIP HFC망을이용한다양한광대역서비스사례5. HFC망을이용한복합서비스“초고속인터넷서비스무한수용“ P/P PSTN ISP Contents Library Application Server ◈ 서비스 용어 설명 아날로그TV PC 컨버터Cable Modem 무선랜Telephone DAS 단말기AMR 단말기 STB GateWay 가입자서비스제공자CableTV H/E Gatekeeper Router CMTS VOD Server HFC Networks 나. HFC 망복합서비스구성예디지털TV PDA 방범,방재5. HFC망을이용한복합서비스 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IP 기반에서 음성 전송하는기술 AMR : Automatic Meter Reading, 전기·가스 등의 사용량 검침을 원격 처리하는 시스템 DAS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계통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및 계측 시스템 5. HFC망HFC망을 이용한 복합서비스 다. HFC망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유형 ○ 디지털 유선방송 -수백개의 채널 수용, 고화질TV -방송과 통신의 융합 : 양방향 부가서비스 제공 . On Demand Service(VOD, 실시간게임 , 홈쇼핑 등) ○ IP전화(Internet Protocol Telephony) -음성, 데이터, 영상신호를 IP 기술을 이용한 동시 전송 -Cablelabs 가 케이블망을 이용한 VoIP 표준 제정 . AT&T, Cox, Adelphia, Cablevision 등 다수회사가 서비스중 ○ 무선LAN 연계 서비스 -고정 가입자 : 아파트 -이동 가입자 : 노트북, PDA 등 ○ 저속 전용 서비스 -배전자동화, 원격검침, 방범/방재, 홈오토메이션 등 6. HFC 망HFC 망의 발전방향 가. 국내 고속 인터넷가입자 분석 및 대책 ○ HFC 망 점유율은 유지될 전망 -국내 1600만가구중 58%가 인터넷 사용 -2001 년 상반기중 가입자 증가율은 둔화되나 지속적인 증가 예상 -HFC망의 34.9% 점유율은 유지될 전망 ○ 전환가입자가 인터넷 가입시장 주도 -예상가입자 : 2003 까지 1100만 목표 -신규가입자 및 방식별 사업자별 전환하는 가입자가 시장변화 주도 예상 ○ 주거형태에 따른 안터넷가입자 확보 대책 요구 -아파트 가입률은 60-70%수준으로 추정(ADSL 우세) -단독주택 가입률은 50% 수준으로 추정(HFC망 우세) -아파트 가구수 증가, 단독주택 가구수 감소 추세 -아파트 가구를 위한 HFC망의 무선LAN 등 활용 시도 ○ 복합서비스 제공에 대비한 망안정화 대책 요구 -차세대 HFC망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 -품질 향상을 위한 운영 능력 개발 나. . 차세대 HFC망 발전 방향 6. HFC망의 발전방향 5 42 54 ○ 주파수 대역 전망 864Mhz 1.5Ghz 상향 하향 상향 신호용 하향신호 (27Mbps) (100Mbps) (100Mbps) ○ 발전 방향 -속도 향상 (4배) : 27Mbps 100Mbps( 대칭형) -전국권역 HFC망 구축을 통해 고속인터넷시장 점유 50% 확보 -주파수 대역폭 확장 : 864MHz 1.5Ghz -Cell 규모 축소 : 광케이블구간 확대로 Microcell 화 추진 및 고신뢰도 보장 -고신뢰 이중화 케이블 구성 : 간선계통 Loop 무체감방식 -상향 노이즈 대책, 망감시시스템 개발 적극 추진 6. HFC망HFC망의 발전방향 다. 결론 ○ ADSL 과 HFC망의 경쟁으로 인터넷 정보 선진국 이룩 ○ 광대역 광동축케이블이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로 각광 ○ 방송, 통신 융합과 무선CATV 기술의 연계 기대 ○ M-ISP 확대로 HFC망의 이용율 증대 필요 ○ 초고속 전송 잠재력의 HFC 기술 활용 중요 HFC망 상세 구성도 32 케이블TV 프로그램공급사(PP) 한국통신: 37 개社 파워콤: 10 개社 파워콤광網 인터넷국내망ISP 사업자(MISP) 무궁화위성ISP 사업자(단독ISP) 광송신기CATV 광수신기1Gbit Ethernet CMTS DHCP 광송수신기CMTS 분기기케이블모뎀하나로통신, 두루넷, 온세통신옥외광장치(ONU) 분배센터(67개) 인입선(동축5C) 동축간선(17C) DC 전력공급기TBA KT위성지구국인터넷海外網 PCTV 가입자 HFC 망 시연회 참고자료 부스 구성도 Multi-ISP 시스템디지털케이블시스템HFC 전송시스템디지털CATV 일반CATV 디지털음악인터넷구현화면 HFC 망 시연회 참고자료 HFC 망 구조 34 광케이블전송S/P ISP N/O S/O 동축케이블전송분배센타TBA DC T/O PIONU CMTS 광송수신기 TV CM PC UPS HFC(Hybrid Fiber Coaxial) 망광대역의고품질의특성을기반으로우수한양방향특성과다양한부가서비스의제공이가능하며, 대용량의멀티미디어컨텐츠전송적합HFC(Hybrid Fiber Coaxial) 의특징.양방향전송: 상향5~42/65MHz , 하향54 ~ 750/860MHz .Network Topology : 광구간Star형, 동축구간Tree&Branch 형 아날로그TV PC Telephone DAS 단말기AMR 단말기 가입자디지털TV 방범,방재PDA HFC 망시연회참고자료TV PC Telephone DAS 단말기AMR 단말기 가입자디지털TV 방범,방재PDA HFC 망시연회참고자료 HFC 망 응용서비스 서비스제공자 컨버터 P/P CableTV H/E PSTN ISP Contents Library Router GateWay Cable Modem 무선랜STB Gatekeeper CMTS VOD Server HFC Networks Application Server ◈ 서비스 용어 설명 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IP 기반에서 음성 전송하는기술 AMR : Automatic Meter Reading, 전기·가스 등의 사용량 검침을 원격 처리하는 시스템 DAS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계통 설비의 원격 감시,제어및 계측 시스템 ◈ 시스템 용어 설명 CMTS :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 인터넷망과 HFC 전송망간 인터페이스를 제공 Multi-ISP ISP A ISP B ISP C Router CMTS CM 케이블모뎀PC두루넷가입자하나로가입자온세가입자CM CM HFC전송망HFC 망시연회참고자료Multi-ISP ISP A ISP B ISP C Router CMTS CM 케이블모뎀PC두루넷가입자하나로가입자온세가입자CM CM HFC전송망HFC 망시연회참고자료 . . ISP 전송영역 구내설비 . MISP 단일 HFC 망을 다수의 ISP 가 공동으로 이용해, 망의 중복투자를 줄이고 망의 이용효율은 높인 시스템 . MISP 구축 현황 HFC 전송망을 이용, 전국 77개 지역에 망구축 및 서비스 중







Posted by MSNU

1. 필요성및목적미래사회가요구하는다양한분야의인재육성을위한교육과정운영지원체제구축필요교육과정운영의다양화·특성화를통한학생의과목선택권확대및학습권보장1. 필요성및목적미래사회가요구하는다양한분야의인재육성을위한교육과정운영지원체제구축필요교육과정운영의다양화·특성화를통한학생의과목선택권확대및학습권보장 미래사회‘국가인재육성책임교육’구현추진전략맞춤형교육과정실현과학교육강화이공계학급저변확대지원집중형운영지원제2외국어다양화, 활성화확대형, 연계형교육과정운영지원예술교육강화과정개설형, 이동수업형교육과정특성화운영지원2. 비전및추진전략교육과정클러스터운영1단계:평준화지역고교부터시작미래사회‘국가인재육성책임교육’구현추진전략맞춤형교육과정실현과학교육강화이공계학급저변확대지원집중형운영지원제2외국어다양화, 활성화확대형, 연계형교육과정운영지원예술교육강화과정개설형, 이동수업형교육과정특성화운영지원2. 비전및추진전략교육과정클러스터운영1단계:평준화지역고교부터시작 .빌게이츠(Bill gates) 의의문.빌게이츠(Bill gates) 의의문 .학업성취와교사경력과는왜상관관계가없는가? .학업성취와학급당인원수는왜상관관계가없는가? 3. 현황및문제점: 수학, 과학문과중심의학급편성이공계저변확대정책필요(고등학교단계부터) 수학, 과학교육활성화정책필요현황/문제점대책20124 대입수능시험수리A/B 수준별출제=>이공계기피현상기초과학교육강화필요과학탐구과목축소=> 과학교육약화우려3. 현황및문제점: 수학, 과학문과중심의학급편성이공계저변확대정책필요(고등학교단계부터) 수학, 과학교육활성화정책필요현황/문제점대책20124 대입수능시험수리A/B 수준별출제=>이공계기피현상기초과학교육강화필요과학탐구과목축소=> 과학교육약화우려 3. 현황및문제점: 예술, 제2외국어(고) 예술교과이수율=> 고2, 3 학년17% ’09개정예술교과군도입=> 음악/미술선택과목화제2외국어교육과정단절=> 학교급, 학년간단절2009 개정교육과정=> 제2외국어선택과목화.음악/미술예술교과교육활성화정책필요서양어확대개설확대지원현황/ 문제점대책일어, 중어동양어편중=> 고97.5%, 중98% 교육과정연계운영교지원=> 제2외국어특성화운영지원(행재정지원및교원인센티브정책) 예술제2 외국어3. 현황및문제점: 예술, 제2외국어(고) 예술교과이수율=> 고2, 3 학년17% ’09개정예술교과군도입=> 음악/미술선택과목화제2외국어교육과정단절=> 학교급, 학년간단절2009 개정교육과정=> 제2외국어선택과목화.음악/미술예술교과교육활성화정책필요서양어확대개설확대지원현황/ 문제점대책일어, 중어동양어편중=> 고97.5%, 중98% 교육과정연계운영교지원=> 제2외국어특성화운영지원(행재정지원및교원인센티브정책) 예술제2 외국어 4. 추진 방안 가. 과학교육강화방안 「과학교육과정특성화교」확대운영 .’확대형’: 문과: 이과학급비율: 자연계열확대권고2012학년도특성화교지정에서제외 .’집중형’: 과학전공코스제운영교( 물.화.생.지중택1 => 전공] 과학교과최소이수단위지정: 집중형44단위이상과학계열전문교과편성/ 대학과목선이수제(UP) 운영권장예산지원: 교당8,000 천원, 교원인센티브: 교당5명 집중형과학특성화교란? 진방안지정조건확대형확대형집중형집중형과학특성화교란? 진방안지정조건확대형확대형집중형 .① 물리 , 화학, 생명과학 , 지구과학 전공 코스제를 운영하는 학교 .② 과학 관련 교과를 3년간 44단위 이상편성 => ①, ② 조건 모두 충족하는 학교 선정 .* 집중형은 기한 제한없이 계속 지정 예정 과학I (3~4 과목)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물리II 화학실험생명과학실험지구과학실험물리실험고급화학고급생명과학고급지구과학고급물리워크숍워크숍워크숍워크숍집중형교육과정운영모형전공선택과학I (3~4 과목)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물리II 화학실험생명과학실험지구과학실험물리실험고급화학고급생명과학고급지구과학고급물리워크숍워크숍워크숍워크숍집중형교육과정운영모형전공선택 나. 예술교과확대개설 「예술교육과정특성화교」지정운영: 15 교[중·고] ‘과정개설형: 음악/ 미술과정1학급이상개설운영교’이동수업형: 미술/ 미술전공(실기) 이동수업운영교보통교과+ 예술계열전문교과= 35단위내외이수예산지원: 교당9,000 천원~12,000 천원지원교원인센티브: 교당5명나. 예술교과확대개설 「예술교육과정특성화교」지정운영: 15 교[중·고] ‘과정개설형: 음악/ 미술과정1학급이상개설운영교’이동수업형: 미술/ 미술전공(실기) 이동수업운영교보통교과+ 예술계열전문교과= 35단위내외이수예산지원: 교당9,000 천원~12,000 천원지원교원인센티브: 교당5명 .* 운영 방향 : 이동수업형 => 과정개설형 음악미술공통시수이수[1-4 반] 공통과정[5반] 음악강화과정[6반] 미술강화과정음악/미술공통이수미술교과만이수 .고교진학계열에따른학생선택모형예시중1,2 과정선택중3 (중) 과정개설형운영모형음악교과만이수음악미술공통시수이수[1-4 반] 공통과정[5반] 음악강화과정[6반] 미술강화과정음악/미술공통이수미술교과만이수 .고교진학계열에따른학생선택모형예시중1,2 과정선택중3 (중) 과정개설형운영모형음악교과만이수 + 음대지망생12명 + 이동수업형운영모형예시학급편성= 40 명일반학생26명미대지망생12명음악계열대학지망생> 음악실이동> 음악전공실기수업미술계열대학지망생> 미술실이동> 미술전공실기수업사회B 시간사회B 수업이동수업 「외국어교육과정거점학교」지정운영: 20 교(중·고) ‘확대형’ : (중)’생활외국어’/(고)’제2외국어서양어1개국어이상개설교’연계형’: (고) 학년별연계교육과정운영교: 고1-고2-고3 연계운영예산지원: 서양어개설수에따라교당차등지원5,000~12,000 천원서양어2개이상개설교및연계형교육과정운영교=>교육과정특성화교지정: 교당5명다. 제2외국어다양화활성화 「외국어교육과정거점학교」지정운영: 20 교(중·고) ‘확대형’ : (중)’생활외국어’/(고)’제2외국어서양어1개국어이상개설교’연계형’: (고) 학년별연계교육과정운영교: 고1-고2-고3 연계운영예산지원: 서양어개설수에따라교당차등지원5,000~12,000 천원서양어2개이상개설교및연계형교육과정운영교=>교육과정특성화교지정: 교당5명다. 제2외국어다양화활성화 .* 운영 방향 : 확대형 => 연계형 연계형(제2외국어) 중학교생활일본어생활프랑스어생활스페인어일어I 프어I 스어I 고1 일어II 프어II 스어II 고2 일어회화프어청해스어독해고3 동일계학과진학대학연계형(제2외국어) 중학교생활일본어생활프랑스어생활스페인어일어I 프어I 스어I 고1 일어II 프어II 스어II 고2 일어회화프어청해스어독해고3 동일계학과진학대학 과100 교/ 예60교/ 외90교과80교/ 예50교/ 외70교과60교/예40교/ 외50교과40교/ 예30교/ 외30교15년14년13년12년추진목표경기도교육청지정규모연도별확대계획과100 교/ 예60교/ 외90교과80교/ 예50교/ 외70교과60교/예40교/ 외50교과40교/ 예30교/ 외30교15년14년13년12년추진목표경기도교육청지정규모연도별확대계획 최종선정공모(운영신청서) 운영계획서심사1차대상자선정교육과정편제확인9월초9월말10월중순11월초11중순이전추진절차:교육과정클러스터연계최종선정공모(운영신청서) 운영계획서심사1차대상자선정교육과정편제확인9월초9월말10월중순11월초11중순이전추진절차:교육과정클러스터연계 5. 기대효과현행학생의과목선택권과학습권이보장되지못함 .이공계기피, 과학교육약화 .예술교육위축현상 .제2외국어동양어편중현상혁신과목선택권확대와학습권보장기여 .학교교육과정의다양화, 특성화 .미래사회국가인재육성 .경기교육위상제고에기여5. 기대효과현행학생의과목선택권과학습권이보장되지못함 .이공계기피, 과학교육약화 .예술교육위축현상 .제2외국어동양어편중현상혁신과목선택권확대와학습권보장기여 .학교교육과정의다양화, 특성화 .미래사회국가인재육성 .경기교육위상제고에기여

Posted by MSNU

























HTTP란? HTTP 보안Dsniff 란? SSL Reference dnsspoof 사용예Dsniff 사용예HTTP란? HTTP 보안Dsniff 란? SSL Reference dnsspoof 사용예Dsniff 사용예 HTTP란? HTTP란? . WWW(World Wide Web.) 에서 쓰이는 프로토콜 -1989 년 3월, 스위스의 CERN 연구소(입자물리 연구소 )에서 처음 시작한 프로젝트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대신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만들었다. -Client/Sever 구조로 동작 (웹브라우저/웹서버) -비연결 프로토콜 : 요청할 때마다 매번 서버에 접속했다가 연결을 끊는 과정 반복 -Client : Ms 익스플로러, netscape, Lynx -Server: Apache, IIS Web Application 의구조HTTP란? Web Application 의구조HTTP란? . 전형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구성 요소 N-tiers SQL Query Request DB Response HTTP Response DB Connector Connector Web app Web client Web Server Transport HTTP란? HTTP란? . URL의 형식 프로토콜:// 서버_주소[:포트번호]/파일_경로 ex> 야후 사이트의 index.html 파일에 접근하고자 할 때 http://www.yahoo.co.kr/index.html . 포트를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TCP 80 번 포트 사용 특정포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포트번호를 지정 http://www.yahoo.co.kr:9000/index.html HTTP란? HTTP란? . 웹브라우저가 URL요청을 보낼 때 1. Client 는 서버에 접속한 뒤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낸다 . : GET /index.html HTTP/1.0 \r\n \r\n GET : 자료요청 (ex>POST,PUT,HEAD) /index.html : 자료의 경로 HTTP/1.0 : HTTP 프로토콜의 버전 모든 메시지는 헤더+본문으로 구성 \r\n : 헤더와 본문을 구분 HTTP란? HTTP란? 2. Sever 응답( 헤더+본문) : 본문 내용을 화면에 보여줌 : HTTP/1.1 200 OK \r\n Server: Apache/1.3.26 (Unix) PHP/4.2.3 \r\n Last-Modified: Tue, 07 Jan 2003 12:57:38 GMT \r\n Connection: Close \r\n Content-Type: text/html \r\n \r\n\r\n Hello, Web Browser! \r\n\r\n HTTP 보안HTTP 보안 . HTTP보안 문제 -CGI 문제 -DDoS 문제 -쿠키 -웹 스푸핑 -입력 검증 HTTP 보안문제.HTTP쿠키HTTP 보안문제.HTTP쿠키 . HTTP쿠키 -Sever가 Client 에게 저장하는 어떤 정보 -처음 로그인할때사용한 정보를 계속유지하기 위한해결책 ( 로그인 후 , 재인증 필요 없음 ) -비연결 프로토콜에서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의 효과 문제 . HTTP 쿠키의 문제점 -Client 에서 변경 가능 HTTP 보안문제.HTTP쿠키HTTP 보안문제.HTTP쿠키 EX> 웹브라우저를 통해 http://www.google.co.kr 에 접속 새로 생성된 쿠키파일 HTTP 보안문제.HTTP쿠키HTTP 보안문제.HTTP쿠키 쿠키파일의 내용은 -두번째 줄에 있는 것이 쿠키이며 , 사용자가 내용을 고친후 , 다시 www.google.co.kr 을 요청하면 -웹브라우저는 사용자가 변경한 쿠키를 웹서버로 보낸다 . HTTP 보안문제.Web spoofing HTTP 보안문제.Web spoofing . Web spoofing -Client 에게 가짜 웹페이지를 보내는 공격 1. 가짜 웹페이지를 보내주는 방법 2. 가짜 서버 (공격자의 서버 )를 진짜 서버로 믿게 하는 방법 -DNS spoofing -ARP spoofing ※ MITM(man-in-the-middle) 공격 HTTP 보안문제.Web spoofing HTTP 보안문제.Web spoofing . MITM(man-in-the-middle) 공격을 이용한 웹 스푸핑 4.내용을 바꿔서 전송 1.웹페이지 요청 2.중간에서 가로챈 뒤 , 3.요청한 내용 전송 실제 웹서버에 요청 HTTP 보안문제.Input validation HTTP 보안문제.Input validation . 입력검증 (Input validation) -Client 가 보낸 입력을 제대로 검사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 ex) 버퍼오버플로우, 포맷스트링 버그등 . 검사 방법 1. Sever 측 검사 -클라이언트가 보낸 입력을 일일이 검사 (데이터 포맷 검사 ) -장점: 가장 안전함 -단점: 서버측에서 많은 검사코드를 작성하여야 함 . 2. Client 측 검사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입력을 제한 단점: 클라이언트측 스크립트는 완벽하지 않다 .(소스를 읽기 쉬움 ) HTTP 보안문제.Input validation HTTP 보안문제.Input validation .웹 페이지 소스저장 방법 -Window 에서 : 익스플로러의 저장기능 이용 -Unix 에서 : wget, lynx 를 사용 UNIX에서 구글페이지를 읽어오고 싶다면 [bastion]$ wget http://www.google.co.kr/ --17:55:05--http://www.google.co.kr/ => ‘index.html’ Connectiong to www.google.co.kr:80... Connected! HTTP request sent, awaiting response… 200 OK Length: 3,111 [text/html] OK -> ··· [100%] 17:55:07 (506.35 KB/s) . ‘index.html’saved[3111/3111] lynx 에서 구글페이지를 읽어오고 싶다면 [bastion]$ lynx -source http://www.google.co.kr< title>Google







Posted by MSNU

























회전굽힘피로시험 (Rotary Bending Fatigue Test) 目次 1. 개요 1-1. 피로란? 1-2. 피로시험의 목적 1-3. 용어 설명 1-4. 피로시험의 종류 2. 회전굽힘 피로시험 2-1. 회전굽힘 피로시험 종류 2-2. 회전굽힘 피로시험 데이터 3. Ono‘s 회전굽힘 피로시험기 3-1. 회전굽힘피로시험기 구조 및 명칭 3-2.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의 장점 단점 3-3. 시험편 종류 및 가공방법 3-4. 시험편 장착시 유의사항 3-5. 시험 조건 및 부하방법 1. 개요 1-1. 피로란? ○.피로(fatigue) 는 금속 등의 재료가 반복되는 응력읁 받아 . 강도가 약해지는 현상이다 ○ 고체재료에 반복응력읁 연속으로 가하면 인장강도보다 훨씬 낮은 응력에서 재료가 파괴된다 . 이와 같이 피로에 의한 파괴륹 피로파괴라 한다 . 1-2. 피로시험의 목적 기계나 구조물의 파괴가 대부분 피로파괴라 할 정도로 이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설계 시매우중요한사항중 하나가된다 . 특히 운동 상태에 있는 기계는 사용기간이 경과하 면 재료의 강도가 저하되는데 그 저하 속도는 매우 느린 경우가 많고 , 또 파괴 시점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때가 대부분이다 . 그리고 외형상으로는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진 행되는 피로파괴가 대부분이며 어느 순간 돌발적으로 파괴가 일어나 종종 큰 사고가 일 어나기도 한다 . 이처럼 피로 시험은 재료를 실용 기계부품이나 구조물 등에 적용 시 예 상치 못한 파괴를 미연에 방지하고 부품의 수명이나 교체시기를 예측하여 궁극적으로 안전을 도모하고 물적 인적 피해를 방지키 위하여 수행된다 . -. 재료의 피로 기초특성 (피로 강도 ,피로한도..) 파악 -. 재료의 피로특성에 대한 실험적 자료보충 -. 부품재료에 대한 피로특성 파악 -. 부품 및 구조물에 대한 피로특성 파악 → 많은 제품은 반복 부하를 받기 때문에 피로 강도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 . → 수명 예측의 필요성 . 1-3. 용어 설명 1) 하중 관련 용어 (일정진폭반복하중의 경욪 ) -. 응력비(stress ratio) 또는 하중비 (load ratio) -. 진뤱 (amplitude) -. 평균응력(mean stress) -. 주기:최소점에서 최소점까지 걸린 시간 -. 주파수(Hz) :1 초동안 반복되는 회수 2) S-N 곡선 S-N 선도는 재료가 어떤 응력범위의 반복하중읁 받읁 때 파단되는 반복시험횟수륹 나타내는 선도 . -. 피로한도(fatigue limit) 또는 내구한도 : 피로 시험 결과 , 무한히 반복응력에 대륯 견딜 수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응력의 최대치 . -. 피로강도 (fatigue strength) S-N 곡선상에서 108회륹 지나더라도 아직 꺾임점이 나타나지 않으며 , 꺾임점이 존재한다는데 , 또한 이 앞끝이 평행한 직선이 되는지 앋 수 없는 재 료가 있다 . 이러한 경우엔 , 실용성읁 생각해서 반복회수륹 미리 규정하여 , 그에 견딜 수 있는 응력으로 바꾸는 수가 있다 . 즉, 반릊 회수륹 철합금 에서는 107회, 비철합금에서 는 108회로 하며 , 반복응력읁 1㎏/㎟. 늘리면 , 이 규정의 반복수 이하로써 파단하는 응력읁 채용하며 , 피로강도로 한다 . -피로수명 (NF : Number of Cycles) : 시편의 파단 시 까지 적용됙 하중의 반복횟수 1-4. 피로시험의 종류 1). 축방향 피로실험 축방향으로 인장 또는 압축응력을 작용시키는 시험 -. 인장-인장 피로시험 : 최소응력과 최대응력이 모두 인장일 경우 . -. 압축-압축 피로시험 : 최소응력과 최대응력이 모두 압축일 경우 . -. 완전양진 피로시험 : 최대응력이 인장이고 , 최소응력이 최대응력과 같은 값을 가지는 압축일 경우 , 평균응력값은 영 (zero) 2). 회전굽힘 피로실험 축방향의 수직으로 반복하중을 작용시키며 , 시편의 네곳을 지지시켜 순수굽 힘상태가 되도록 한다 . 시편을 회전시킴으로서 인장 및 압축응력이 시편의 표면에 번갈아 작용하게 된다 . 3). 비틀림 피로시험 비틀림하중을 반복하여 작용시키며 , 회전축 등에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피로시험이다 . 4). 복합응력 피로시험 2개 이상의 응력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를 복합응력 상태라 부르며 , 주로 축 방향과 비틀림응력을 반복적으로 작용시키는 피로시험 5). 기타: 부식피로시험, 열피로실험 2-1. 회전굽힘 피로시험 종류 2-1-1. W.hller 회전굽힘 피로시험기 편지식 (片持式) 회전굽힘피로시험기로 부하는 스프링방식 변위 일정형이며 , 구조는 그림 1과 같다. 2개의 시험편 a는 베어맀 b에 의륯 양단읁 지 지한 축 c에 체결하며 축 c에는 풀리 d가 고정되 어 별개의 모터로부터 밸트륹 통륯 축 c에회전 력이 전달된다 . 시험편의 다른끝은 베어맀 e륹 통륯 계력용 스 프맀 f륹 달아 f의 다른끝에 체결됙 볼트 g를너 트h로서 체결하여 시험편 끝단에 집중하중읁 준다. 이 시험기는 1863년에 발표된것으로 아주 간단 하며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으나 , 굽힘모멘트가 시험편 축에 일정치 못하고 직선으로 변하고 있음이 결점이다 . 그림1 2-1-2 . Ono‘s 회전굽힘 피로시험기 그림2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양단 지지식 4점 굽힘형 Ono 식 회전 굽힘 피로시험기이다 . 시험편 a를축 b에 체결하여 가변연결축 c를통 한 모터 d로부터 구동된다 . 축b는 4개의 볼 베어링 e에 의해 베어링상자 f에 지지되며 f는 그외측에 지지되는 knife edge g 를 통해 시험기의 지지대 h에 고정되고 양측은 같이 지지되는 knife edge i 를 경유하여 중추 j로 서 하중이 부하되며 i-i 간에는일정한 굽힘모멘 트를 받게된다 . K는 적산회전계이며 m은 시험편이 파단시 회 로를 차단하여 전자계폐기를 작동하여 모터 d의 전원회로를 여는 자동정지용 접점이다 . N은 평형추로 중추 j를 걸지 않은 경우에 시험 편에 가하는 굽힘모멘트가 정확히 영이되는위 치를 좌우 조정한다 .시험편을 체결하고 회전시 키면서 목표하중을 걸면 시험편은 회전되면서 공간에 고정된 굽힘모멘트를 받으므로 시험편 표면의 한점에 대해서는양진의 굽힘응력을 받 그림2 는다. 2-2. 회전굽힘피로 데이터 -. 그림2에서 추의 하중읁 P, 편측의 knife edge ( 베어링) 간의 거리륹 L이라 하면 시험편에 가해지는 굽힘모멘트 M은 M = (P*L)/2 이다. 이 굽힘모멘트가 시험편의 전체에 균일하게 가해지며 시험부의 직경읁 d라 하면 굽힘응력 σ는 σ=32M/πd3 으로 구해진다 . 참고: -. 일반적으로 회전굽힘피로시험기의 최대굽힘모멘트는 10kgf.m 이며, 편측의 knife edge ( 베어링) 간의 거리 L은 20cm 이므로 추 받침대에 걸수있는 추의 최대무게는 100kgf 가 된다 . -.4 점 굽힘 시험에서는 하중점 C, D 사이에 일정한 굽힘모멘트가 작용한다 따라서 C와 D 사이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 파괴된다 . -. 굽힘모멘트륹 증가시키는 방법 1) 중추의 무게륹 늘리는 방법 2) 편측 나이프에찌 (베어링) 간 거리륹 길게하는 방법 3-1. 회전굽힘피로시험기 구조 및 명칭 회전구동 모타 적산회전계 평형추 시험편 추추 회전속도 제어기 3-2.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의 장점 단점 ● 회전 굽힘 피로 시험기의 장점 1) 구조가 간단 2) 하중의 조정이 용이하다 3) 초기, 런닝코스트가 비교적 적게든다 … 가장 보편적인 타입의 장치 4) 고온 시험도 가능 … 전기로의 사용도 가능 ● 회전 굽힘피로 시험기의 단점 1) 시험편이 정확히 제작되지않거나 체결에 숙련되지 않으면 시험편이 진동하여 과대한 굽힘모멘트가 걸려 시험결과의 산뤰 원인이된다 . 2) 부하 모드가 한정적이다 . 3-3. 시험편 종류 및 가공방법 -. 시험편의 지름 : 직경18mm,15mm,12mm 10mm, 8mm… -요구되는 응력을 얻기 위해 가해야 하는 하중을 계산하기 위해 서는 시험편의 실제 최소 지름을 0.01mm의 정밀도로 측정해야 하며, 측정시 시험편에 상처가 나서는 안 됨 -일정한 굽힘 모멘트를 받는 원통형 시험편 : 시험부의 평행도는 0.025mm 이내 -. 시험편 표면은 320번 에머리 페이퍼로 연마 다듬질한다 . Fig. 4 Chucking Rod 3-4. 시험편 장착시 유의사륮 ° 시험편 장착 (시험기 제작사의 권장사항이 우선 ) -각 시험편은 적용 하중에 의륯 부가되는 응력 이외에 다른 응력이 걸리지 않아야 한다 . -하중읁 받치는 베어링이 분리형 콜릿으로 시험편에 고정하는 방식 : 비틀림 변형률이 가해지는 것읁 피하기 위하여 시험편읁 시험기에 장착하기 전에 콜릿읁 먼저 시험편에 부착하고 단단하게 조이는 것이 바람직륫 . -시험 기간 중의 진동읁 피하기 위하여 시험편과 시험기 회전축과의 동축성읁 근사한 한계 이내로 유지해야 륫 . ° 시험편 장착후 확인사항 -. 시험편 체결후 손으로 돌려보아 다이얼게이지로 편심읁 측정하여 5/100mm 이내가 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 3-5. 시험 조건 부하 방법 ° 시험 속도 : -시험회전속도는 분당 1500rpm . 6000rpm 정도이나 보통 분당 3000회 정도가 많이 적용된다 . -시험편 선회현상 (Whirling: 기하학적 중심과 질량적 중심이 일치하지 않읁 때 굽음 진동읁 일으 키는 현상 )이 일어나는 속도는 피한다 . ° 시험 하중 부하 : 각 시험편마다 전 시험 하중읁 가하는 순서가 같아야 한다 . -시험 하중읁 가하기 전에 시험기륹 작동시켜 시험 속도에 먼저 도달하도록 한다 . -시험 속도에 도달 후 충격이 없는 범위 안에서 가능한 빠르게 시험 하중에 이륹 때까지 시험 하중읁 단계적으로 , 또는 연속적으로 높인다 . -만약, 특정한 주파수가 요구됚 경우에는 하중 부하가 끝난 다음에 시험 속도륹 소뤱 조정할수 있다 -시험편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의 정확도는 1%이어야 한다 . 참고 시험중 샘플 파단면 시험후







Posted by MSNU

























현대사회 가족 형태의 다양화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사회적요인가치관적요인인구학적요인개인적및가족요인 산업화는 도시화, 핵가족화 촉진 , 집단주의적 또는 가족 주의적 가치 관 퇴색 , 서구적인 개인주의적 가치관읁 확산시킨다 . -> 젊은 사람들의 도시로의 이동 : 농촌지역에 남겨져 있는 가족들의 사회적 긴 장읁 야기 , 주거지와 근무지 간의 원거리에 의한 분거가족의 증가 , 주말부부 가족 발생 . 소비생활의 고급화는 높은 교육열과 함께 여성이 경제활동에 적극적 으로 참가하지 않읁 수 없도록 만드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 들도 하여금 어떤 행동읁 일으키게 하는 심리적 요 인임과 아울러 개인의 행 동읁 구속하는 평가적 표 .가치관이란? .-여러가지인간문제에관준 또는 이념 내지 신념이 다. 하여 바람직한 것과 해야 핝 것에 대한 일반적인 생 각 또는 개념으로서 사람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사회적요인인구학적요인개인적및가족요인가치관적요인 혼인가치관: 결혼가치관, 이혼가치관, 재혼가치관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사회적요인인구학적요인개인적및가족요인가치관적요인 -이혼과 재혼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 확산되고 있어 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출현에 주요 요인으로 작용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사회적요인인구학적요인개인적및가족요인가치관적요인 혼인가치관의 변화는 실제 혼인건수 , 이혼건수, 재혼건수에 영향읁 주 게 되고 , 가족형성, 가족의 지속여부 , 가족원의 변경 , 가족구조의 변화 등읁 초래하여 다양한 가족의 출현에 직접적인 영향읁 줌 . 자녀의 가치는 사회변화에 따라 매우 상이함 . 산업화 이전 사회 : 가계계승, 노동력의 창출 , 노후부양기대 등의 의미 에 서 자녀는 중요시됡 . 산업사회: 많은 수의 자녀가 부부의 부양부담읁 증가시키고 , 부부중 심의 가족생활에 장애물로 간주 자녀가치는 상대적으로 약화 . -> 소가족화 , 무자녀의 DINK(Double, Income, No Kids), SINK(Single Income, No Kids) 가족읁 양상하게 됡 -> 자녀가치의 저하는 남녀의 친밀성의 저하와 상호작용핝 경우 자발적 ‘결 혼기피’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초혼연령의상승: 혼자살기를원하는독신의증가로미혼인구가계속적으로증가함. 특히남성보다결혼에대한반대입장이강한여성에게서매우현저함-> 자발적인미혼독신여성의증가, 비자발적미혼독신남성을발생시키거나제3세계국가여성과의국제결혼을증가시키게되는요인. 사회적요인가치관적요인개인적및가족요인인구학적요인 1.한국사회에서의 다양한 가족의 발생원인 사회적요인가치관적요인개인적및가족요인인구학적요인 소자녀 선호 : 가족원수가 더욱 감소하여 소가족화가 가속화됨읁 의미 평균수명의 연장 : 노인 가족원이 많아짐읁 의미하는 것으로 핵가족화를 감안하면 노인단독기구가 증가하게 될 것임읁 시사한다 .







Posted by MSNU

























 유비쿼터스 환경의 비즈니스
 Key Point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에 따른 비즈니스의 변화는?
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업경영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 주요 내용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
  유비쿼터스 기술의 응용
  유비쿼터스 환경의 비즈니스 수행
제1절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
 “유비쿼터스” 용어의 등장
 유비쿼터스 기술의 발달과 보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가올 유비쿼터스 사회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정보혁명에 뒤이은 제 4의 혁명으로 일컬을 만큼 우리사회를 변혁시키는 또 하나의 물결이 되고 있음

 "u"로 시작하는 새로운 용어의 등장
 u-City, u-Healthcare, u-Business, u-Commerce, u-Learning 



 “유비쿼터스”의 영향
 급격히 발전하는 새로운 유비쿼터스 기술은 특정영역에서 벗어나 사회생활 전반에 급속히 파급되어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

 기업 경영에도 영향
 기업이미지, 광고 카피 등에서도 ‘유비쿼터스’ 용어를 새로운 컨셉으로 활용하는 추세 
 래미안 U플랜(삼성), Ubiquitous Value Network(Sony) 
 유비쿼터스 마케팅, u-CRM, u-유통, u-Commerce  등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는 새로운 경영 기법도 등장하고 있는 추세

 유비쿼터스  개념 정의
 일반적 의미로서 “유비쿼터스” 
  유비쿼터스는 라틴어의 'ubique'로 ‘언제 어디에서나 존재한다’ 의미
 유비쿼터스의 사전적 의미는 형용사로서 “어디에나 있는“ 이라는 뜻

 유비쿼터스 개념은 지난 1988년 미국 제록스사 팰로알토연구소의 마크와이저(Mark Weiser)가 최초로 제창 
 Mark Weiser가 바라보는 유비쿼터스 환경
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의미
 초기에는 단순히 물리공간에 편재된 컴퓨팅과 네트워킹을 상상했으나, 이후 디지털 컨버전스가 가속화되면서 모바일 컴퓨팅 개념이 추가된 것 


 유비쿼터스  개념의 확산 
 유무선 통합 인터넷, 모바일 컨버전스, RFID 등 유비쿼터스 IT와 결합되어 유비쿼터스는 새로운 미래 정보사회라는 의미로 확대되고 있음
 유비쿼터스사회는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이 융합되어 정보가전은 물론 모든 사물이 지능화. 정보화. 네트워크화되는 단계를 의미

 유비쿼터스  개념의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관점에서의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의 단계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
 유비쿼터스 전략이 LG전자나 삼성전자와 같은 제조업체보다는 KT, SK텔레콤, 삼성 SDS, LG CNS와 같은 통신 및 SI업체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라는 점
 당분간 유비쿼터스에 대한 사업은 통신업체들이 주도적으로 이끌다가 차츰 제조업체쪽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 유비쿼터스 특징
제2절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
 유비쿼터스 기술 분류
 센싱 : RFID, 센서, 상황인지
 네트워크 : WLAN, USN, 홈네트워크, 이동통신
 인터페이스/인터랙선 : 생체인식, 실감형 미디어 콘텐츠
 보안/프라이버시 : RFID 보안기술, 차세대 인증기술
 하드웨터 플랫폼 : SoC, 차세대 PC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 애플리케이션  : 텔레매틱스, LBS, GIS

 유비쿼터스 기술을 응용한 서비스 발전단계
 1단계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 사물의 정보를 담은 태그가 사물에 부착되는 단계
 2단계 : 정보제공 서비스
 사용자 명령에 따라 사물 속의 센서가 수동적으로 상황정보를 주고 받는 단계
 3단계 : 상황인지 서비스
 사물 속의 센서가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단계
 4단계 : 행위제안 서비스
 모든 사물에 능동센서가 부착되는 단계
 5단계 : 지능형 생동 서비스
 주변상황을 인지하여 필요한 행위를 스스로 수행하는 단계
제3절 e-비즈니스와 u-비즈니스
 현재의 e-비즈니스 
 Collaborative e-Business  진행중
 e-비즈니스 진전으로 기업내부 정보화를 넘어 기업간 프로세스의 연계통합을 통한 경쟁력제고의 필요성 대두로 C-Business 등장
 SCM, BPM 등을 이용, 공급망 프로세스개선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등 실질적 협업추구

 e-비즈니스는 진화중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등장
 경영 혁신 : 프로세스, 데이터, 인력, 조직

 u-비즈니스로의 진화
 IT기술은 인터넷 혁명을지나 유비쿼터스 혁명의 시기로 진입하고 있으며 향후 수년 내에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할 전망
 e-비즈니스는 유비쿼터스 인프라를 이용해 기업의 프로세스를 변화시키고 경쟁력을 제고하는 u-비즈니스로 진화할 전망

 e-비즈니스의 연계선상에서 u-비즈니스를 적극 육성, 발전시켜 글로벌 u-비즈니스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선도적 정책수립 및 실천 필요

 국가 정책의 변화, 산업의 노력, 기업의 노력

 e-비즈니스 발전방향




 u-비즈니스 개념 정의
 “u-비즈니스” 개념을 적용하기도 이른 상태
 완성된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발전하고 있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과 경영철학으로 이해 필요
 유비쿼터스 관련기술이 발전하고 있기때문에 u-Business 실행방식도 변화
 그렇지만 개념의 급격하게 변화할 수는 없음

 u-Business 발전가능성을 감안해서 다음과 같은 관점을 고려해서 개념정의
 대상 경영활동
 적용되는 기술
 경영 수행 방식
 기대 목표


 u-Business 개념정의 


기업의 모든 경영활동에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을 적용해서 
언제 어디서나 경영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경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새로운 경영 방식


 대상 경영활동 관점
 U-Business는 특정 분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모든 경영활동을 대상으로 수행경영활동의 주요 대상인 계획, 조직화, 운영, 통제, 평가 등 전 분야에 걸쳐 적용
 인사, 회계, 재고, 제조, 연구개발, 마케팅, 주문, 판매 등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수행

 u-Commerce, u-물류, u-CRM

 실행여부는 기술발전에 따라 진화


 적용되는 기술 관점
 u-Business는 인터넷 기반기술과 디지털 정보기술 모두를 포함할 뿐만 새로운 기술로서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을 모두 적용

 진정한 u-Business는 기존의 정보시스템과 인터넷 기술 및 유비쿼터스 기술이 갖는 공간적, 시간적 탁월성을 반영
 과거에서 발전해온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터넷 기술 및 유비쿼터스 기술을 총괄적으로적용

  경영수행 방식
 기존 경영 방식과 다르게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구애됨 없이 경영활동을 수행

 기존의 비즈니스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으나 유비쿼터스 관련기술을 통해 모든 제약을 극복할
 유무선 통합 인터넷, 모바일 컨버전스, RFID 등 유비쿼터스 IT와 결합되어 유비쿼터스는 새로운 미래 비즈니스를 가능하게 함


 기대 목표 관점
 경영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균형있게 극대화하는 것을 추구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 경영방식의 변화
 적용 영역의 확대



 e-비즈니스와 u-비즈니스
 협의의 e-Business는 m-Business와 u-Business의 일부분만을 포함
 광의의 e-Business는 m-Business나 u-Business의 범위를 포괄하는 보다 진화된 관점


 3차원 아바타를 통한 의류 주문
 맞춤형 디지털 쇼핑을 위한 가상착용, 가상피팅이 가능한 3차원 아바타를 개발
 3차원으로 자신의 신체를 스캐닝 한 후 신체 정보가 든 아이디 카드를 시스템에 접속하면, 직접 옷감과 색상,스타일을 골라 취향에 맞는 옷 주문 가능
 2006년 MIT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에 약 10억 불, 2015년에 약 600억 불 정도의 세계시장 규모 예측


 소비자는 맞춤형 주문을, 업체는 다품종 소량 적기생산 가능


 맞춤형 쇼핑 지원
 삼성 홈플러스 RFID카트를 통한 고객 쇼핑특성 분석
  RFID가 부착된 쇼핑카트가 매장내 안테나 리더기를 통해 쇼핑정보를 자동 수집, 분석
 쇼핑동선, 구매액, 방문율, 좋아하는 품목 등을 파악하여 매장에서 상담원이 맞춤쇼핑 지원
 가정에서도 이메일, 휴대폰 등을 통해 맞춤 쇼핑 정보 전달도 가능
 고객별 쇼핑패턴을 비롯해 요일별 시간대별, 상품코너별 매장 혼잡도와 상품별 매출•방문빈도 호감도 등을 파악하여 유통효율화



 실시간 모니터링 및 지능적 분석을 통한 제품  정보 관리 
 식의약품과 같이 물품의 안전성이 중요한 제품 관리를 위해 RFID도입이 활발히 추진

 Pfizer제약은 비아그라의 유사품이나 복제품의 유통을 막기 위하여 비아그라의 패키지에 RFID Tag를 부착
 유럽의 수퍼마켓 체인 테스코는 우유 유통에 전자태그(RFID)를 도입하여 우유 배송 현황과 운송 수단의 움직임 등을 파악







Posted by MSNU

 































한국사 속의 단군
 단군신화 발생의 시대적 배경
 단군신화와 고조선 사회
 고조선 이후의 단군
일제시대 기독교의 
신사참배 반대
  일제시대 에도 이와 유사한 경험

  일제, 기독교에 신사참배 강요

  강요의 논리 : 신사참배는 종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문제

  기독교계 상당수가 이에 순응

  근본주의자들은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탄압받음

  이는 현재 독립운동사의 일부로 평가됨
단군, 어떻게 볼 것인가 
 단군이라는 현상, 일제 식민지 경험이라는 민족의 수난이 낳은 역사적 산물

 오늘날 단군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역사적 내력을 살펴보아야

 하지만  현재 다종교  다문화 사회에서 ‘단군’의 의미에 대해서는 깊이 성찰할 필요 

 혈통민족주의를 넘어서 시민적 공동체로

1. 단군 신화 발생의 시대적 배경
 원시공동체 사회와 문화
 계급과 국가의 발생
 고조선의 성립
1) 원시공동체의 사회와 문화
선사시대의 시기구분

  현재 남아있는 유물을 기준으로 석기시대-청동기시대-철기시대로 구분

  석기시대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로 다시 나눔

  구석기시대와 신석시시대 사이에 중석기시대를 두기도 함

  이러한 구분은 덴마크의 고고학자 흐리스티안 톰젠(C.J. Thomsen)이 1836년 발표. 이후 통설이 됨


한반도의 
구석기 유적지

  일제시대에는 한반도의 구석기문화의 존재 부정

  그 이유 : 당시 일본에 구석기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

  일본인의 옹졸한 자존심

  1960년대 구석기 유적지 발견: 웅기 굴포리(1963), 공주 석장리(1963)

  이후 전국에 걸쳐서 구석기 유적 발견
일본의 구석기 유물
 
  2차대전 전의 통설: 일본열도에는 구석기 문화는 없다

  1946년 군마현에서 구석기 유물 최초로 발견

  이후 각지에서 구석기 유물 발견

  이 과정에서 후지무라의 조작사건 발생

  구석기에 목을 메는 이유 : 민족사의 프레임
구석기시대의 사람 1

  역포 아이 : 

  평양시 역포 구역에서 발굴, 

  13세 정도의 여자아이, 

  약 10만년 전에 살았던 호모사피엔스

구석기 시대의 사람2

  승리산 사람 : 

  평안북도 덕천군 승리산 동굴에서 발견

  35세 정도의 남자로 추정

  4만~5만년 전에 살았던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구석기 시대의 사람은 우리민족의 조상일까
 네안데르탈인 화석과 함께 다수의 현생인류의 화석 발견

 하지만 현재 우리 민족의 조상인지 여부는 확실치 않음

 우리 민족은 인류의 이동과정에서 역사적으로 형성

 섬나라 일본의 경우도 민족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음

 민족의 프레임으로 구석시시대를 보는 것은 무리
구석기시대의 생활

  뗀석기 사용

  불 사용

  수렵 및 채집생활

  이동생활
신석기 혁명

  신석기 시대, 농경과 목축 시작되다

  인류 생활의 혁명적 변화

  선사시대의 산업혁명이라고 부르기도

  사진은 신석기혁명이란 개념을 만들어낸 영국 고고학자 고든 차일드
신석기시대의 간석기와 빗살무늬토기
암사동 신석기 유적지
- 씨족 단위의 정착생활을 했음을 보여줌
원시적 종교

  샤머니즘 : 무당

  토템이즘  : 자신의 종족을 특정 동물과 동일시

  애니미즘 : 자연물에 혼령이 깃들어 있다는 믿음


  사진은 파푸아 뉴기니의 애니미즘 관련 조각. 오른쪽 위에 일종의 神木이 보임
2) 계급과 국가의 발생
청동기 시대의 도래
비파형 동검(왼쪽)과 세형동검(오른쪽)
한반도의 독자적인 
청동기문화

  기원전 10세기경 중국과 구별되는 독자적인 청동기문화 출현

  비파형 동검(기원전 10세기)과 세형동검(기원전 4세기)으로 대표되는 두 단계의 청동기 문화

  사진은 중국식 동검: 자루 부분까지 청동으로 이루어져 있음
농경생활의 본격화
  농경은 신석기 시대 후기에 시작되었지만 청동기시대에 본격화

  따비, 괭이 등 발달된 경작도구 사용

  청동기가 농경에 사용되지는 않음

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

  왼쪽 사진은 농경 장면이 새겨진  제사도구
청동기 시대의 
전쟁과 평화
  청동기 시대의 주거지는 목책 해자 망루를 갖춘 자그마한 도시

  전쟁이 빈번히 벌어졌음을 보여줌

  잉여생산물 발생이 빈번한 전쟁의 원인

  국가의 출현 : 전쟁에 대비하기 위한 조직

  초기 국가체를 읍락국가 혹은 읍제국가라고 부름
고인돌의 나라 한국
  전 세계 고인돌 가운데 3분의 2가 한국에 있음

 청동기 시대의 유물

  간돌검 ,청동기, 토기 등 출토; 부족장의 무덤으로 추정

  제작을 위해 다수의 인력동원 필요

  원시공동체 해체와 계급 발생의 증거
3) 고조선의 성립
기원전 10세기 이후 동아시아 정세
  서주- 춘추전국시대- 진한의 통합으로 이어짐

  전국시대  획기적인 변화 

  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생산력 격차

  정복전쟁으로 읍제국가에서 영역국가로

  진한의 통합- 영역국가에서 제국으로

  중심과 주변의 문화적 격차
고조선의 성립
  성립시기
삼국유사 : 중국 요임금 50년
동국통감 : 서기전 2333년
고고학적으로는 BC10세기에서 7세기 사이(청동기 문화)

  멸망시기
BC 108년 : 한 무제의 침약으로 위만조선 멸망
고조선의 위치
  평양설
 동국통감의 기록
- 고조선 멸망 후 세워진 낙랑군의 유적지

 요동설
민족주의적 시각
다물사상

  이동설
유물에 근거(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초기 요동, 후기 평양

2. 단군신화와 고조선 사회
 단군신화의 기록
 단군신화의 해석
 고조선 시대의 사회
1) 단군신화의 기록
일연의 삼국유사
  단군신화가 실린 최초의 역사책

  1285년 승려 일연이 지음

  비슷한 시기 이승휴가 지은 제왕운기에도 다른 버전의 단군 신화가 실림

  단군이 재발견된 이유 : 몽골 침략기
•  삼국사기에 단군신화가 빠진 이유
김부식은 동경세력의 리더,  서경세력 묘청과의  정치적 대립 
신채호 ‘한국사 1천년래의 일대 사건’(묘청의 난)
단군신화의 내용
옛날에 환인의 서자인 환웅이 계시어, 천하에 자주 뜻을 두고 인간 세상을 탐내어 구했다. 아버지는 아들의 뜻을 알고, 삼위 태백산(三危太伯山)을 내려다보니, 인간 세계를 널리 이롭게 할 만 했다. 이에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어, 내려 가서 세상을 다스리게 했다. 
환웅은 그 무리 삼천 명을 거느리고 태백산 꼭대기의 신단수(神壇樹) 밑에 내려와서 이 곳을 신시(神市)라 불렀다. 이 분을 환웅 천왕(桓雄天王)이라 한다. 그는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등을 주관하고, 인간의 삼백예순 가지나 되는 일을 주관하여, 인간 세계를 다스려 교화하였다.
이 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서 살았는데, 늘 신웅(神雄, 환웅)에게 사람되기를 빌었다. 때마침 신(神, 환웅)이 신령한 쑥 한 심지[炷]와 마늘 스무 개를 주면서 말했다.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날 동안 햇빛을 보지 않는다면, 곧 사람이 될 것이다.“ 곰과 범은 이것을 받아서 먹었다. 곰은 기(忌)한 지 삼칠일(三七日) 만에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범은 능히 기하지 못했으므로 사람이 되지 못했다. 
여자가 된 곰은 그와 혼인할 상대가 없었으므로, 항상 단수(壇樹) 밑에서 아이 배기를 축원했다. 환웅은 이에 임시로 변하여 그와 결혼해 주었더니, 그는 임신하여 아들을 낳았다. 이름을 단군 왕검(檀君王儉)이라 하였다. 
단군은 요(堯) 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50년인 경인년에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비로소 조선이라 불렀다. 또 다시 도읍을 백악산 아사달에 옮겼다. 그 곳을 또는 궁홀산(忽山) 또는 금미달(今彌達)이라 한다. 그는 일천 오백 년 동안 여기서 나라를 다스렸다.
주의 무왕이 왕위에 오른 기묘년에 기자(箕子)를 조선에 봉하매, 단군은 장당경(藏唐京)으로 옮기었다가 후에 아사달에 돌아와 숨어 산신이 되었는데, 그 때 나이가 1천9백8세였다. <삼국유사(三國遺事)>


2) 단군신화의 해석
단군왕검이란 이름

  단군 – 제사장 
텡그리 : 샤먼을 뜻하는 몽골어

  왕검 – 정치적 군주
임금이란 말을 한자로 음차해서 표현

  자연인이 아니라 제정일치 사회의 우두머리를 지칭하는 일반 명사
(참고 : 동국통감의 치세 해석)
환웅과 곰 
그리고 호랑이

  토템이즘의 흔적

  환웅 : 발달된 문명을 가진 유이민 집단

  곰과 호랑이: 토착집단

   환웅과 곰의 혼인 : 유이민 집단과 토착집단 일부와의 정치적 연합
신단수

  애니미즘의 흔적

  종교학에서 말하는 우주수(宇宙樹)



 사진설명 : 고구려 고분 각저총 벽화의 신단수. 오른편에 그린 모사도를 살펴보면 곰과 호랑이라는 것이 자세히 드러난다. 본래 그림의 신단수에는 검은 새가 날아와 앉아 있는 모습이 확실히 묘사되어 있다.
단군신화, 어떻게 볼 것인가
 애니미즘, 토템이즘, 샤머니즘 등 원시 종교에 바탕

 청동기 시대 국가의 발생이라고 하는 정치적 변화를 표현

 인류의 이동과 문화의 교류가 국가 발생의 촉매가 되었음을 보여줌

 단군은 자연인이 아니라 청동기 시대에 있었던 제정일치의 국가체의 수장을 의미

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 있지만 그것 자체가 역사적 사실은 아님
3. 고조선 멸망 이후의 단군
 삼국시대의 단군
 고려시대의 단군
 무속신앙에서의 단군
 조선시대의 단군과 기자
 대종교 - 단군의 재발견
 환단고기와 규원사화의 진실
 북한의 단군릉
삼국시대의 단군
 
  삼국은 각자 독자적인 건국신화

  정치적 측면에서 단군신화의 효용은 소멸

  민간 전승으로서 단군신화의 내용은 전해진듯

  사진은 고구려고분 장천3호분의 수렵도. 왼쪽에 신단수가 그려져 있음

고려시대의 단군

  강화도에 참성단이 있는 이유

  몽골침략기 피난지

  개경시대의 것을 모두 옮겨감

  원래의 참성단은 개성 근처에 있었을 것

  고려의 三韓一統의식 : 단군이 삼국을 아우르는 한민족의  구심점
조선이라는  나라이름
  조선왕조의 기본설계도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  단군이 중국의 요임금과 같은 시기에 나라를 세움(중국과 대등한 역사)

  기자箕子의  망명 및 건국

  조선왕조는 단군조선과 기자조선의 계승


조선시대의 단군과 기자
 기자(箕子)란 : 중국 고전에 은나라의 신하로 주나라에 복종하지 않고 동방으로 건너갔다고 기록된 인물. 충절의 상징으로 유교에서 높이 평가

 삼국유사에서도 기자가 동쪽으로 왔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사실인지 여부는 불투명.  현재 한국사 서술에서도 기자조선을 채택하고 있지 않음

 유교를 이념으로 한 조선시대에는 평양에 기자묘를 만들어  숭상함

 하지만 동국통감의 서술에서 볼 수 있듯이 단군의 존재도 부정하지 않음

 단군기자계승의식 – 혈통적 정체성과 문화적 정체성

 1900년대 근대민족주의가 대두하면서 기자계승의식이 탈락됨

구월산 삼성사
 일제강점기 황의돈이 지은 중등조선역사의 삽화(구월산 삼성사의 단군 영정)

 삼성사三聖祠를 개수하고 제사 의식을 개정하였다. 삼성사는 환인桓因•환웅桓雄•단군檀君을 제사하는 사당으로 문화현 구월산에 있는데, 본도에 명하여 봉심奉審해 개수하게 하고, 친히 제문을 지어 근시近侍를 보내어 치제致祭하였다. <조선왕조실록>정조13년
조선시대의 기자묘(箕子墓)
무속신앙에서의  단군

  삼신할미 : 임신과 출산을 주관하는 신

  무속신앙에서 섬기는 신, 혹은 三聖이라고 하기도 함 

  삼신은 환인 환웅 단군

  무속신앙에서는 단군이 남성에서 여성으로  바뀜

  무속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여성으로 바뀐 탓인듯
대종교 
단군의 재발견
  대종교 : 1909년 중광된 민족종교. 

  이미 망해버린 왕조 대신에 민족의 정신적 중심으로 단군을 세움

  박은식 신채호 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상당수가 대종교와 관련

  해방 후 대한민국 수립 당시에도 상당한 정신적 영향력 발휘
재야사학의 대표자료환단고기의 진실
  재야사학의 근거자료 : 환단고기 

  1911년 계연수가 <삼성기><단군세기><북부여기><태백일사>를 필사해 한권으로 묶음

  1979년 이유립이 영인본으로 발표

  내용상 많은 의문점(僞書논쟁)

   설사 위서가 아니더라도  이 책의 기록만 가지고 사실로 인정하기 어려움 
북한의 단군릉
  1993년 단군릉 발굴보고

  유골의 연대측정 결과 5011년 전의 것이라 주장

  의문점 : 
 고구려 양식의 고분(굴식돌방무덤)
 연대측정의 신뢰성
 연대측정이 맞더라도 단군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가

  단군을 강조하는 이유 : 사회주의체제의 붕괴
결 론
 단군 신화는 한반도에서의 국가 발생의 정황을 말해주는 자료임

 이후 정치적 변동과 외래문화의 도입에 따라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짐

 하지만 혈통적 정체성의 연원으로서 역사의 이면에서는 면면히 이어짐 

 망국을 겪으면서 독립운동의 지주이자 민족의 수호신으로서 부활함

 이제 민족의 고난기를 벗어났고 다종교 다문화 사회를 맞이한 오늘날  민족의 사당 안에 단군을 모셔놓는 것이 어떨까?







Posted by MSNU

























Index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Ⅱ. 변조와 복조 ⅰ. Modulation ⅱ. Demodulation ⅲ. FDM & TDM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1. Audio Frequency 영역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2. Radio Frequency 영역(전파) 주파수파장 ① Low Frequency 30kHz ~ 300kHz 10km ~ 1km ② Medium Frequency 300kHz ~ 3MHz 1km ~ 100m ③ High Frequency 3MHz ~ 30MHz 100m ~ 10m ④ Very High Frequency (VHF) 30MHz ~ 300MHz 10m ~ 1m ⑤ Ultra High Frequency (UHF) 300MHz ~ 3GHz 1m ~ 0.1m 공중파 라디오 무선통신, TV ☞안테나는 파장의 절반의 길이로 만들기 때문에 주파수가 높읁 수록 길이가 짧아진다 .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3. Microwave (1GHz 이상. UHF 이상. 전자파) 주파수파장 ① Centimeter wave 3GHz ~ 30GHz 10cm ~ 1cm ② Millimeter wave 30GHz ~ 300GHz 10mm ~ 1mm ③ Submillimeter wave 300GHz ~ 3THz 1cm당 wave 의 개수 ( 1cm 에 10개 wave 가 있다는 뜻 ) 주파수 파장 ① Far Infrared ( 원적외선) 3THz ~ 30THz ② (Intermediate) Infrared (적외선) 30THz ~ 300THz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4. Infared ( 적외선. 빛으로 간다 즉 , 빛이 전자파 ) 안테나륹 다룰 필요가 없다 . 광학도구륹 사용해야 하는 Dimension 으로 바뀐다 . =electron Volt 적외선은 원적외선보다 에너지가 많아진다 .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5. Visible light . 빨주노초파남보 red Violet 6. Ultra violet ( 자외선) Ⅰ. Electromagnetic Spectrum 7. X-ray 8. Gamma ray Ⅱ. 변조와 복조 ⅰ. Modulation 20 200000 20 200000 20 200000 사람2 목소리사람1 목소리사람3 목소리 어쨌든 20 ~ 20,000Hz 사이에서 섞이기 때문에 “변조”륹 한다 . Ⅱ. 변조와 복조 ⅰ. Modulation 안테나 carrier Carrier freq. carrier Fourier Transform 0 Ⅱ. 변조와 복조 ⅰ. Modulation ☞Carrier 와 baseband signal 을 convolution 하면 0 1MHz 1.05MHz 1.1MHz 같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지만 다 다른 carrier 와 곱하면 신호가 다른 데로 shift 된다. “AM” Baseband signal 저주파 신호 높은 주파수 신호 진폭에 실린다 .(주파수 변조는 FM) Ⅱ. 변조와 복조 ⅱ. Demodulation LPF Amp carrier 여러개신호가들어온다. 주파수선택“Tuner" fc=20kHz Ⅱ. 변조와 복조 ⅱ. Demodulation 안테나에서 들어온 신호 내가 선택한 방송국 주파수 고주파수방송국과 방송국 사이의 주파수 간격이 50kHz 이 므로 없어진다 (LPF 의 fc = 20kHz 이므로) LPF 하면 없어짐 LPF 하면 없어짐 LPF 하면 없어짐 (LPF 하면 없어짐 ) 원래 주파수 만 나온다 . “복조” Ⅱ. 변조와 복조 ⅲ. FDM & TDM .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입력 정보 파형이 주어진 주파수대역 내에 있을 때 , 이것을 변조하여 조금씩 주파수륹 추이시켜 서로 중복되지 않게 하여 하나의 전송로에서 다수의 통신읁 동시에 행하는 다중화 방식이다 . 이 같은 다중화 는 주파수 영역이 중복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분할 다중 (FDM)이라고 부른다 .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 로의 주파수 대역은 4KHz( 전환 1회선분)을 기본으로 하여 12KHz, 48KHz, 240KHz 등이 쓰여지고 있다 . .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 방법으로 하나의 물리적 중계선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 TDM 의 경우 사용 자들은 순서대로 돌아가며 주기적으로 잠깐씩 전체 대역폭을 쓰게 된다 . 한 전송로의 자료 전송 시간읁 일 정한 시간폭 (time slot) 으로 나누어서 차례로 분배함으로써 몇 개의 저속 서브채널이 1개의 고속 전송선을 나누어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 TDM 에서는 전송 경로의 허용 자료 속도를 넘지 않는 최고 속도로 모뎀에 대하여 시분할한 디지털 신호를 발신한다 . 모뎀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 경로로 보낸다. 수신측에서는 전송되어 온 아날로그신호를 모뎀을 써서 디지털 신호로 복조한 뒤 TDM에 보낸다 . TDM은 여러 음성 데이터 전송 채널의 대역폭을 고정해서 하나로 묶어 고속 디지털 회선으로 중계 전송하 는 장치이다 .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비쿼터스 환경의 비즈니스 수행  (0) 2022.07.02
한국사 속의 단군은 어떤 의미일까?  (0) 2022.05.28
외부효과  (0) 2022.03.19
[ 인물학습] 페스탈로치  (0) 2022.02.07
[ 인물학습 ]신사임당  (0) 2022.01.19
Posted by M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