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주의(페미니즘) 윤리 & 길리건(Gilligan, C.)나딩스(Nodding, N.)의 배려 윤리 사상





















윤리와 사상
Ⅲ. 서양 윤리 사상
여성주의(페미니즘) 윤리
1. 대두 배경:여성에 대한 차별과 남성 위주의 사고방식을 극복하기 위해 대두
2. 주요 내용
(1) ‘여성다움’에 대한 비판
① 사회적 구조와 모순에 의해 ‘여성성’이 생김
(남성의 여성 지배 구조, 남성적 주체의 他者로 축소됨)
→ 보부아르: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 ⇒ 본격적인 여성주의 윤리의 시작
② 여성다움은 문화적 산물 → 육체적∙물리적 힘보다 정교한 기술과 창의적 아이디, 법과 권리가 중시되는 현대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는 의미가 없음
(2) 울스턴크래프트의 사상
① 여성의 위치 판단 : 개성과 인격을 갖출 기회 상실, 남성들을 위한 부속품으로 전락
② 여성의 교육 기회 중시 : 남녀는 똑같이 이성을 지닌 존재 → 남녀의 차이는 차별적 사회 구조에서 비롯된 것 → 여성에게도 교육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3) 억압으로부터 해방
①역사적으로 항상 남성이 여성을 억압했다고 주장 → 남성의 억압에서 해방되어야 함
②순종, 희생, 겸손, 자기 억제 등의 덕목은 여성에 대한 차별을 암시 → 이러한 덕목은 여성에게만 더 강요되기 때문
③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남성보다 열등하게 대우받는 것은 부당
3. 여성주의 윤리의 의의:양성 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를 실현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데 이바지
※ 여성주의 윤리의 전개
배려윤리 (배려가 아름답다)
• 대두 배경:남성 중심적•가부장적 권위를 중시하는 사고방식을 비판하면서 대두
2. 남성 중심 도덕의 특징
(1) 객관적•합리적 이성을 중시하면서 법적 정의의 구현 등 객관적∙보편적 가치와 이상을 중시
(2) 개개인이 처한 구체적 생활 맥락을 무시하는 경향
3. 배려 윤리의 특징
(1) 다른 사람을 보살피고 배려하는 공동체적 관계가 중요
(2) 보살핌, 연민과 동정심, 상호 의존성과 유대감, 인간관계와 도덕적 책임 중시
(3) 도덕적으로 바람직한 태도: 상대방의 처지를 바꾸어 생각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의 태도
4. 길리건(Gilligan, C.)의 배려 윤리 사상
• 콜버그 이론 비판 : 도덕성에 있어 여성의 “다른 목소리” 간과
• 여성의 배려 윤리 강조 : 여성 도덕성과 남성 도덕성의 질적인 차이 존재
5. 나딩스(Nodding, N.)의 배려 윤리 사상
(1) 정의 윤리 비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어떤 안내도 제시해 주지 못함
(2) 배려의 성격 규정: 배려는 상호적인 것
① 배려의 원형은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
② 배려를 받는 사람이 배려하는 사람에게 응답할 때 배려 완성
(3) 배려의 범위 확대: 낯선 타인, 동식물과 지구 환경 등에까지 배려 확대 주장
6. 배려 윤리의 의의
(1) 공정성을 중시하는 정의(正義) 중심 윤리를 보완 → 배려 윤리와 정의 중심 윤리는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 보완 관계
(2) 여성이나 소수자, 외국인 노동자, 이주민 등 소외 계층을 배려
<형성평가>
1.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이 말이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여성성은 본질적으로 정해져 있다.
② 여성에게 중요한 것은 정신적 힘이다.
③ 여성의 본질은 선천적으로 만들어져 있다.
④ 여성은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능력이 없다.
⑤ 사회 제도나 문화적 관습을 통해 여성됨을 강요한다.
2. 다음 글에 나타난 윤리가 강조하는 덕목은?
…그러므로 삶의 목표는 근본적으로 쾌락을 충족시키거나 고통과 어려움을 피한다는 의미에서의 행복이 아닌 것이다. 또한, 그것은 내세를 준비한다거나 영혼과 같은 분리된 실체를 완전하게 만든다는 의미에서의 완전함이 아닌 것이다. 오히려 근본적 목적은 인간적 영역에서 따뜻한 배려를 하는 것과 배려를 받는 것, 그리고 비인간적 세계에서 완전한 수용을 약속하는 것이다.
① 순종적이고 온순한 여성상
② 남성 중심적, 가부장적 질서
③ 다수의 행복을 위한 정의 사회
④ 공정하고 객관적인 사회적 정의
⑤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고 배려하는 공동체 관계
3. 다음 중 정의 윤리가 강조하는 덕목은?
① 사회적 조화 및 희생
② 사회적 동정심과 관계
③ 이웃에 대한 따뜻한 배려
④ 사회적 규칙의 합법적 준수
⑤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한 책임감
4. 다음은 캐롤 길리건의 주장이다. 이 글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결론으로 타당한 것은?
여성들은 인간관계의 맥락 안에서 그들 자신들을 정의할 뿐만 아니라 따뜻하게 배려할 수 있는 그들의 능력이라는 견지에서 그들 자신을 판단한다. 아울러 여성들에게 있어서 도덕적 문제들은 경쟁적 권리보다는 갈등적 책임감에서 나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생각의 방식도 추상적이고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적이고 화술적(narative)인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남성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도덕적 언어를 지니고 있다. 여성들은 남성과 ‘다른 목소리’로 말한다.
① 도덕성의 핵심은 정의와 공정성이다.
② 인간의 도덕성은 직선적으로 발달한다.
③ 남성과 여성의 도덕적 관점은 동일하다.
④ 여성은 남성보다 배려와 책임감을 중시한다.
⑤ 공정한 권리를 동등하게 누리도록 만드는 것이 사회적 책임이다.
5. 배려 윤리와 정의 윤리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배려 윤리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정의를 중시하는 정의 윤리의 한계를 비판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정의 윤리는 객관적•합리적 이성을 중시하며 법적 정의 구현 등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중시한다. 이에 비해, 배려 윤리는 정의 윤리가 간과하는 타인에 대한 배려, 공동체 정신, 정의적 태도 등을 강조한다.
배려 윤리와 정의 윤리는 상호 배타적 모순 관계가 아니라 보완적 관계이다. 이 둘은 여성이나 소수자, 청소년 문제 등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중단원 마무리
• 삶과 실존, 생명 존중과 책임
01 다음 글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을 쓰시오.
대표적인 생철학자인 쇼펜하우어는 우리의 삶 전체가 체험이고 ( )(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인간은 영원히 충족할 수 없는 욕망 그 자체인 ‘ 삶에의 맹목적인 ( ) ’에서 벗어날 수 없어서 삶을 사는 것 자체가 고통의 연속이라고 보았다.
02. 다음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이다. 관계 깊은 것끼리 바르게 연결하시오.
⑴ 키르케고르 • •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라고
하여 인간의 자기 결정성을
강조하였다
⑵ 사르트르 • • ㉡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직접
경험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죽음을 통하여 죽음의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우리가 모두 ‘죽음에 이르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⑶ 하이데거 • • ㉢ 불안과 죽음의 문제를 극복
하고 참된 실존을 회복하기
위해서‘신(神) 앞에 선 단독자’
로서 인간의 실존을 강조하였다.
03. 슈바이처는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은 존중받아야 한다는 ( )을(를) 주장하였다.
|여성과 배려 윤리|
04 다음의 밑줄 친 부분을 완성하시오.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 )”(이)라는 말을 통하여 여성성이라는 것이 사회적 구조와 모순에 의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그들이 말한 바로는‘남성’이라는 본질이 존재하지 않듯이 ‘여성’이라는 본질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05 배려 윤리는 정의나 공정성을 강조하는 (㉠ )중심 윤리가 간과할 수 있는 도덕적 덕목을 보완할 수 있다. 배려 윤리와 정의 중심윤리는 대립적 관계가 아니라 (㉡ )관계이다.
|실용주의, 계약과 담론 윤리|
06 현대의 다양한 윤리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틀린 것은 ×표를 하시오.
⑴ 실용주의는 유용성과 진리성을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며, 일상적인 욕구를 만족하게 해 주는 것을 모두 참이라고 여긴다. ( )
⑵ 실용주의를 발전시킨 대표적인 학자인 듀이는 실용주의를 교육•윤리•정치 등 사회 전반에 적용시켰다. ( )
⑶ 근대의 계약론 사상에서 전제하는 인간 능력의 평등은 현실과 잘 연계되어 있다.( )
⑷ 담론 윤리는 윤리적 행위 기반을 사람들의 언어 공동체, 즉 의사소통 공동체에서 찾는다. ( )
주관식 • 서술형
11.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⑴ ㉠에 들어갈 윤리 사상을 쓰시오.
실존주의
⑵ ㉠에 들어갈 윤리 사상의 특징을 서술하시오.
실존주의는 본질보다는 인간의 실존을 중시하여 개인의 개별성이나 개성을 존중하였고, 인간의 자율적인 결단과 주체적인 선택, 그리고 결과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였다.
1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⑴ ㉠에 들어갈 개념을 쓰시오.
아힘사
⑵ 현대 평화 사상에서 ㉠이 주목받는 이유를 서술하시오.
현대 사상은 소외받은 계층들에게 폭력을 가하지만, 아힘사 사상은 현대 사회의 구조적이고 문화적인 폭력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하는 지침을 마련하는 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12. 배려 윤리에 대해 밑줄 친 부분과 같은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근거를 서술하시오.
배려 윤리에서는 타인에 대한 보살핌, 연민과 동정심, 상호 의존성과 유대감, 인간관계와 도덕적 책임 등을 중시하기 때문에 배려적 사고를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한강의 기적의 관점에서) (0) | 2023.04.10 |
---|---|
한국 HFC망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18 |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 및 학습권 보장 (0) | 2022.10.21 |
HTTP 보안 문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9.24 |
회전굽힘 피로시험 (Rotary Bending Fatigue Test) (0) | 202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