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A734C540A09BA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B964C540A09BA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2A264C540A09BB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2BBE4C540A09BC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B1C4C540A09BD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2B9D4C540A09BE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B2A4C540A09C1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224950540A09C2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25750540A09C4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225E50540A09C4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27550540A09C516)
-ZARA 및
APPLE의
SCM 읁
통한
시사젇
Ⅰ. 서론
SPA & FAST 패션
산업의
대두
Ⅱ. 본론
ⅰ. 일반적인 패션 산업의 Process
-패션
산업의
Process
-SWOT 분석
ⅱ. SPA/FAST 패션 “ZARA”의 생산 , 유통 구조
-SPA/FAST 패션의
Process
-SWOT 분석
ⅲ. ZARA의 SCM
-개요
-수요관리
-IT
-물류시스템
ⅳ. SCM 전략적 측면에서의 “ZARA”와 “ APPLE”
Ⅲ. 결론
ZARA 및
APPLE 의
SCM 읁
통한
시사.
-SPA(Special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제조직매의류전문점)
업체가직접제품을기획하고생산-판매에이르는모든과정을일체화하여운영하는매장1980년대GAP에서처음도입(소비자의반응에대응하여신속생산하는방식)
-FAST Fashion
Fast Food 와같이빠르게제작되어빠르게유통
소수만이누리는패션에대한불만소비생활패턴의변화(다양성, 신속성, 일회성등)
예측기획생산의오류로인한재고부담증가
최신유행의옷을값싸게1~2 주단위로신제품출시신속한소비자반응에대응하여재고최소화
ⅰ. 일반적인 패션 산업의 Process 및 SWOT 분석
Process
회수, 재고부담
시즌 off
판매(피동적)
생산(수동적)
상품 기획 디자인
시즌별 트렌드 분석
재고 비용 증가 및 소비자 판매 성향 분석
지연으로 향후 생산 판매 계획 재 수립
=> 재무 상황 등 악화 우려
Strength( 강점)
디자인/기획
등에
많은
시
간과
인력이
투여
되므로
트
렌드륹
선도
소재
개발
및
상품
구성의
질이
높음
대량
생산
및
유통
체제로
원가
절감
아웃
소싱읁
통한
원가
절감
가능
디자인과
기능에
집중핝
수
있음
Weakness( 약점)
하이
브랜드륹
제외한
중저
가
브랜드의
경욪
고정됙
제
품
라인으로
인해
독창성
결
여
브랜드에
대한
싫증
유발
조달, 생산, 유통
단계의
심
화로
인해
리드타임
증가
재고
관리
비용
증가
.
미
판매
재고
관리
비용
증
가
및
반품
재고의
처리
비용
증가
Opportunity( 기회)
-글로벌 전자 상거래 활성화
-상품 라인의 다양화 및 대량
생산 체제를 통한 소비자 구
매 기회 확대
-직영 매장, 자사 브랜드의
런칭으로 부가가치 창출
-기능성 소재의 연구 개발
-충성도 높은 고객
Threat( 위협)
-SPA & FAST 패션 브랜드의
급성장
-상품 출시에 많은 리드타임
이 소요
-고객의 즉각적인 반응에 대
응하지 못함
-아웃소싱, OEM, ODM 등
품질 관리가 미흡할 가능성
있음
-신제품 출시 리드타임이 길
어 고객의 재방문율 저하
ⅱ. SPA/FAST 패션 “ZARA”의 생산 , 유통 구조 및 SWOT 분석
Process
소비자
(TREND)
생산담당자
매장관리자
시장전문가물류담당자
디자이너하청계약자
Strength( 강점)
글로벌
브랜드
제품의
빠른
회전율
명품
못지않은
디자인과
비
교적
저렴한
가격
유니크한
디자인
+ 한정됙
수량
.
트랜디한
소비자
수요
및
니즈륹
신속히
반영
.
축적됙
마케팅
노하욪
.
프리미엄
이미지
부각
Weakness( 약점)
너무
많은
제품으로
인한
브
랜드
이미지
불명확
빠른
회전율로
인해
재생산
되지
않아
재구매
불가
상품
퀄리티
낮음
젊은층에
한정
넓은
매장에
비해
서비스륹
처리하는
직원수
부족
국내
인지도
부족
Opportunity( 기회)
-꾸준히 성장중인 한국 시장
-한국 소비자들의 다양한 수
요와 유행 추구
-집중 유통 시스템으로 리드
타임 최소화
-기존 유통망 적극 활용 가능
-다양한 인종, 문화, 세대에
어울리는 제품
-프라브 족(PRAV, 저렴하고
희소성이 있는 제품을 선호)
의 열광
Threat( 위협)
-후발 경쟁사들의 등장
-디자인 카피의 한계성
-트렌드의 빠른 회전과 낮은
퀄리티로 인해 쉽게 사서 쉽
게 버리게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
-한번 유통한 상품은 재 유통
하지 않고 폐기/소각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
=> 환경에 대한 위험요소 내
제
ⅲ. ZARA의 SCM -개요
ⅲ. ZARA의 SCM -수요관리
-경쟁사제품정보파악-전세계패션동향분석-타깃마켓층에대한분석-세계매장의반응, 트랜드-구매, 디자인, 생산부서로-정보전달및업데이트
ⅲ. ZARA의 SCM -IT
-실제니즈반영-시장적중률향상등-위험요소최소화-생산시간단축-생산원가절감-적시에소비자에게전달-고객만족도증가
ⅲ. ZARA의 SCM -물류시스템
ⅲ. SCM 전략적 측면에서의 “ZARA”와 “ APPLE”
구분ZARA APPLE
공급망 형태
.공급망의 수직적 통합
-주요 프로세스를 기업이 모두 소유
.공급망의 수직적 통합
-주요 프로세스를 기업이 모두 통제
조달/구매
.고전적인 대량 구매를 통한 원가 절감
-급작스런 주문량 변화와 트렌드 변화에 반응
.고전적인 대량 구매를 통한 원가 절감
-소수의 제품 라인으로 부품의 대량 구매 가능
조립/생산
.기업 내 공장에서 직접 생산
-아웃소싱 비율 30% 미만
.지적 재산권만 보유
-모든 물리적 제조 과정 아웃소싱
판매/마케팅
.자사 매장을 통한 SPA
-86%에 달하는 직영 매장의 POS 시스템을 통한
즉각적 반응 전달
.전 세계 직영 매장 및 제휴 통신사 판매
-기기 판매에 그치지 않는 무형의 상품 판매
=>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개발 아웃소싱
문제점
.패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변화에 따른 자원 낭비
-가치&소유 => 소모품&트렌드
.회수 제품의 소각 등으로 인한 환경 문제
.아웃소싱 업체에 대한 비용을 고정비로 인식
하여 노동 환경 악화 등의 문제 발생
.신비주의, 폐쇄주의로 인한 공급망 스트레스
증가
경쟁우위에절대적인요소는없다혁신하는기업의관리대상은무한하다경영의효율성과고객에대한대응성을갖춘기업만이살아남는다선점하는기업이성공하는것이아니라리드하는기업이성공한다환경오염과노동환경개선등기업윤리개선이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