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 시작과 발달
목 차
Ⅰ.조사동기 및 목적
우리가 살아가는데 사용하는 숫자는 많다. 예를 들어 시계에도 사용되고, 휴대전화 다이얼, 돈 계산, 수학문제 등 여러 군데 사용된다. 그래서 수가 어떻게 사용되어 왔고, 발전해 왔는지 궁금하고, 또 다른 나라의 고대 숫자와 발전과정도 궁금해서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Ⅱ.조사과제 및 방법
2-1 조사과제
여러 나라들의 고대숫자를 알아본다.
수가 만들어지기 전시대도 알아본다.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본다.
2-2 조사방법
문헌조사
Ⅲ.조사 내용
[조사과제1] 수의 시작
수는 인류가 한곳에 정착해 살면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한곳에 정착한 사람들은 농사를 짓고, 동물을 키우면서 먹을 것을 해결했다. 사람들은 동물에게 먹이를 주기 위해 밖으로 데리고 나가기 전에 동물의 수만큼 작은 돌을 진흙 판 위에 올려 놓았다. 그리고 돌아와서 나가기 전 수와 맞는 지 확인하였다. 바로 이 때부터 수는 시작되었다.
[조사과제2] 이집트에서 쓴 수
이집트는 자연의 모양을 본떠서 숫자를 만들었다. 그리고, 실제 모습을 간단한 모양으로 표현하였다 .
<예 1.> 나일강에는 연꽃이 많이 피는 데 이집트인들은 그 연꽃들을 보고 ‘많다’고 느꼈다. 그래서 연꽃을 ‘많은 수’인 1000으로 하였다.
<예 2.> 1,000,000은 너무나 큰 수여서 사람이 놀라 손을 번쩍 들어올린 모양이다.
[조사과제3] 인도의 수 체계
아라비아숫자는 인도에서 처음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아라비아인들이 널리 알렸기 때문에 인도수라 불리지 않고 아라비아 숫자로 불린다.
[조사과제4] 손가락을 본떠 만든 로마숫자
로마숫자는 손가락을 본떠서 만든 숫자이다. 5는 손바닥을 펼쳤을 때 엄지와 중지를 V로 이어져서 만든 것 이다. 또 10을 나타내는 X는 두 손을 합친 모양이다. 그리고 숫자 앞에 1이오면 1만큼 빼는 것이다.
[조사과제5] 그리스 숫자
그리스 숫자는 이집트 사람들처럼 수를 더하는 방식의 표기법을 사용했다. 기원전 아테네 근처에 살던 그리스 사람들은 로마 숫자의 할아버지뻘이 되는 숫자를 만들어냈다. 그리스 사람들은 5, 50, 500, 5000 등의 수를 나타내는 새로운 기호를 만들었고 로마 사람들이 발전 시켰다. <예> HHH=300
[조사과제6] 쐐기문자를 사용한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인들은 숫자를 딱 두 가지만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1부터 9까지는 을 하나씩 늘려가며쓰고 10은 를썼다. 그리고, 100은 를썼다.
[조사과제7] 매듭 하나에도 수학을 적용한 잉카
잉카는 퀴푸에 수와 여러 가지를 표현했다. 퀴푸로 수를 나타내기도 하고 때론 글자가 되기도 했다. 잉카는 묶는 방법에 따라 숫자가 달라졌다. 1은 묶는 방법이 두가지 이다. 나머지는 1가지씩 인데 묶는 수에 따라 방법이 다르다.
퀴푸 : 양털로 꼰 긴 끈에 매듭을 만들어 수나 말을 나타내던 글자
[조사과제8] 두 가지 숫자를 사용한 마야
[조사과제9] 숫자를 한자로 사용하는 중국
중국은 숫자를 한자로 표기한다. 중국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같은 한자로 숫자를 표기했다. 이 한자들은 중국뿐만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사용한다.
Ⅳ.종합결론
Ⅴ. 탐구소감
우리는 이 조사를 통해서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숫자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알게 되었고 여러 나라의 고대 숫자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지금 사용하는 아라비아숫자가 인도에서부터 시작된 숫자인 것을 알게 되었다.
조사를 처음 시작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지만 함께 공부하며 조금씩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번 조사를 하며 가장 아쉬웠던 점은 우리나라만의 숫자가 없어서 옛날에는 중국의 숫자를 사용하였고, 지금은 인도 숫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Ⅵ.도움받은책
1. 사쿤탈라 데비, 2006, 자녀를 수학천재로 키우는 인도 수학, 물병자리
2. 제프 스트레이, 2010, 마야력과 고대의 역법, 시스테마
3. 육인선외 2명, 1990, 수학은 아름다워, 동녘
4. 이영민, 2010, 왜 0등은 없을까?, 아르볼
5. 미하일 일리인, 2003, 백지 위에 검은 것, 아이 세움
6. 박은정, 2008, 천재들이 만든 수학퍼즐 23권, 자음과 모음
7. 옌스 라이랜더, 2010, 수학 왕 막스와 숫자도둑, 담푸스
8. 안나 체라 솔리, 2005, 수의 모험, 북로드
9. 앙드레 들레디크, 2008, 수의 세계, 문학동네
10. 계영희 • 강호, 2007, 정말 쉬운 수학책, 살림math
11. 신학수외 6명, 2008, 상위 5%로 가는 수학교실, 스콜라
12. 김리나, 2008, 주니어 수학사, 휴머니스트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베디드 SW 시스템 (0) | 2015.01.12 |
---|---|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0) | 2015.01.06 |
마케팅관리 - 브랜드관리 (0) | 2014.12.31 |
주요에너지 가격세제의 문제과 수급 전망 (0) | 2014.12.29 |
산과 염기의 반응 (0) | 201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