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53D04D54A025080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52D14D54A0250C05)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7E24D54A0250F3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D904D54A02511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ADA4D54A025141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451B4D54A02517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4024D54A0251B1F)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9214754A0251E04)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A564754A025223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6B14754A025252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461B4754A025280A)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C214754A0252C1C)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80E4754A0252F2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ED84754A02532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A364D54A02535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33BB4D54A025393E)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39534D54A0253C3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FF64D54A0253F2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43EE4D54A025432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56B04D54A0254601)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4ADA4D54A0254913)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47C4F54A0254C16)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37664F54A0254F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3D24F54A0255317)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37C4F54A0255618)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39754F54A025590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25374F54A0255C3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30C54F54A0255D1D)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261A4754A0255F4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43944754A0256210)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3ED84754A0256518)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1)경제학의
정의
(2) 경제이론
(모형)의
개요
(3)경제학의
기본원리
(4)경제학의
모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고
무엇을
배우는가
?
(1)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가
?
(2)거시경제학에서
다루는
내용
(3) 거시경제학의
특징
(4)거시경제정책의
한계
(5)거시경제학에서의
미시경제학의
한계
3.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와
분석방법
(1)경제모형
: 장난감경제학
-경제학자는
어떻게
경제를
보는가
?
(2)AD-AS 모형
: 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
(3)거시경제학의
분석방법
: 비교정태분석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1) 경제학의
정의
*경제학
: 인간의
경제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사고의
체계
-물질주의적
정의
: 인간의
경제활동
(생산, 분배, 소비)과
관련된
현
상과
문제를
파악하고
해명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학문
자원을
관리하는
문제를
다루는
학문
,
자원관리와
관련한
인간의
행동에
관한
학문
.
경제학은
부
(wealth) 에
관한
연구이지만
다른
중요한
측면에서는
인간에
관한
연구분야
ex) Alfred Marshall 은
“경제학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인간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 개인적
, 사회적
행동에서
물질의
획득과
그
사
용에
매우
밀접하게
관련된
측면을
다루는
학문”이라고
서술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1) 경제학의
정의
-방법론적
정의
: 희소한
자원의
활용과
관련된
선택의
문제를
다루
는
학문
-인생은
B(birth) to D(death) 이다.
*경제학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
(비용에
대해
매우
엄격
-기회비용
)
=>합리적
사고
+공정한
판단력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2) 경제학의
이론
(모형)은
무엇인가
?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3) 경제학의
기본원리
1)모든
선택에는
비용
(기회비용)이
따른다
-자유재가
존재하는가
?
-희소성의
원리
(scarcity principle) = no free lunch principle
= 기회비용
발생
=> 경제문제
(선택문제
=상충문제
)발생
-기회
비용을
고려해
의사결정
: 기회비용을
고려함에
있어
가장
중
요한
것은
한
행동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하여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
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
ex) 대학교육의
기회비용
: 화폐비용이
기회비용의
좋은
척도가
되
지
못하는
중요한
예가
대학교육
(진학)의
기회비용
=수업료
+집세+취업포기에
따른
비용
장학생은
공짜인가
?
Tiger Woods 는
기회비용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음
: 대학진학의
기회비용이
너무
큼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대안선택
*합리적
개인을
가정하고
합리적
개인의
선택문제
(최적선택
) 다룸
-주류경제학이
가정하는
인간은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경제인
(homo economicus): 잘
정의된
목표가
있고
이것의
달성에
최선
-합리성
: 자신의
선호가
명확하고
모순이
없고
(일관성
있는
행동을
함) 항상
불변이며
이
선호를
토대로
만족이
가장
큰
선택을
함
-이기적
행동
: 자신의
이익만을
최대화하려는
행동
①경제적
인간의
최적선택에
대한
옹호론
i)M. Friedman 의
옹호
: 당구
게임에
비유=‘마치
-인
것처럼’
행동
한다는
이론
, 마치
합리적으로
계산하여
행동하는
것처럼
선택
-가정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가정으로부터
도출된
결과가
합당하냐
가
중요
. 문제는
경제적
인간을
가정한
이론의
예측이
정확한가
?
이상현상
(anomalies) 이
많이
발생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①경제적
인간에
대한
옹호론
ii)시장에서의
도태론
: 비합리적으로
행동하면
시장에서
도태되므로
경제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합리적
행동뿐
-특히
금융시장에서는
최적선택의
유인이
강하기
때문에
비합리성
이나
이타성은
무시되어도
됨
iii)무대안론
: 합리적
인간의
가정이
다소
강하지만
적당한
다른
대
안이
없으므로
잠정적으로
경제적
인간의
가설을
옹호
iv) 경제이론은
규범이론
(normative theory) 이지
서술이론
(descriptive theory) 이
아니라는
옹호론
:
-경제이론이
나타내는
것은
사람들의
실제행동이
아니라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규범적
이론
)를
나타내는
것
-문제는
사람들이
합리적이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말할
때
와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묘사할
때
모두
동일한
모형을
사용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②
합리적
인간의
최적선택에
대한
비판
-이에
대한
다양한
비판이
존재
-Herbert Simon(1978 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 인간은
완전히
합
리적일
수
없다는
제한된
합리성
(bounded rationality) 을
제시
현실에서
인간의
선택은
최적화의
기준이
아니라
만족이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선택한다는
만족화의
원리
(satisficing principle) 제시
-최근의
행동경제학
(behavioral economics): 인간행동의
실제
, 원
인,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
, 사람들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한
정책
에
관해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학
Daniel Kahneman(2002 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 and Amos
Tversky 의
기여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③어느
대안을
얼마나
선택하나
?
a)선택의
기준
: 효율성을
강조
개인(기업)의
경우
: 비용
대비
만족
(편익)의
극대화
, 이윤의
극대
화
가정
가정: 목표가
분명하다
. 필수적인
정보가
다
알려져
있다
-비용·편익의
원리
(cost · benefit principle)
=이것은
규범경제학적
원리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지침
. 사람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가의
설명은
아님
)의예
=편익이
비용을
초과하는
대안을
모두
선택하되
(A이냐,B 이냐의
선
택에서는
편익
>비용이면
선택
)
경제적
잉여
(편익-비용)가
큰
것부터
선택
편익과
비용의
추정이
어려움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최적선택)
③어느
대안을
얼마나
선택하나
?
a)선택의
기준
: 효율성을
강조
=‘얼마나
선택하나’의
문제에서는
한계적
접근
=> 한계편익
>한계
비용인
경우
계속
1단위씩
증가하여
선택
ex) 경제원론
3시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한
시간씩
선택
ex) 서울-LA 간
평균비용
=$1000, 평균수익
=$1200 인
경우
$500 에
태워주면
손해인가
? 이익인가
?
-유인의
원리
(incentive principle)
=실증경제학적
원리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행동하는가의
설명
)
=관련
비용과
편익을
알면
사람들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편익이
증가하면
그
행동을
더
선택하고
비용이
증가하면
그
행동
을
덜
선택한다
.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최적선택)
③어느
대안을
얼마나
선택하나
?
a)선택의
기준
: 효율성을
강조
ex) 자동차의
안전성증가와
사고율
:
-안전성이
증가하면
교통사고는
증가한다
? 왜냐하면
교통사고의
가격(비용)이
하락하기
때문
=유인에
반응
, A. Alchian 교수
*의사결정시
범하기
쉬운
네
가지
오류
(B. Bernanke and R. Frank
의
경제학
(3판)1 장): 행동경제학은
사람들의
이런
실제적
행동연구
-비용과
편익을
절대금액이
아닌
비율로
측정하는
오류
-기회비용을
무시하는
오류
-매몰비용을
무시하지
않는
오류
-평균과
한계의
차이를
혼동하는
오류
*경제학을
배우면
이기적이
되나
?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비용이
따르므로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최적선택)
③어느
대안을
얼마나
선택하나
?
a)선택의
기준
: 효율성을
강조
-여러
개인이
관계되는
경우
: Pareto efficiency( 파레토
효율성
)
=다른
사람의
효용을
감소시키지
않고는
누군가의
효용
(후생)을증
가시킬
수
없는
상태
ex) 좁은
강의실과
넓은
강의실의
두
강의실이
있는
경우
-만약
넓은
강의실이
비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좁은
강의실이
배정
된
경우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
-반면
넓은
강의실이
이미
사용
중이라면
자원은
효율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것이며
파레토
효율적임
b)선택의
기준
: 자원배분의
형평성
-공정성(공평성)
-약자에
대한
배려
ex) 장애인
주차공간
=비효율적
사용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최적선택)
④경제학의
분류
*규범경제학
(normative economics)
-주어진
상황에서
합리적이고
이기적인
경제주체라면
어떻게
행동
해야
하는가를
제시해주는
연구
ex) 기름값이
올라가면
비용
-편익의
원리를
원용하여
사람들에게
집안온도를
낮추어야
한다고
권고
-이것은
규범경제학의
명제
*실증경제학
(positive economics): 모든
명제를
현실
자료로
증명
-주어진
상황에서
경제주체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예측하고
또
실제로도
그렇게
행동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실증경제학의
연구
ex) 기름값이
올라가면
유인의
원리를
이용하여
많은
경우
집안의
평균온도가
내려갈
것이라고
예측
-이것은
실증경제학의
명제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2)비용이
따르므로
누구나
자신에게
가장
유리하게
선택
(최적선택)
④경제학의
분류
Ex) 자동차의
안전규정을
강화하면
사고가
덜
난다
?
사형제를
택하면
살인사건이
덜
발생한다
?
*처방적
경제학
(prescriptive economics): 행동경제학의
입장
-완전한
정보를
갖고
주어진
대안들을
일관된
원리에
따라
비교해
서
최선의
대안을
찾아낼
수
있는
경제주체가
아니라
불완전한
정보
를
갖고
정보처리도
미흡하며
선택에서의
일관성도
없는
경제주체
라면
어떻게
선택하고
행동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분야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3) 경제학의
기본원리
3)교환의
중요성
-서로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자발적
교역(교환) 이루어짐
-기본적
경제문제
무엇을
얼마나
(What and How much?): 비교우위론
어떻게
생산
(How to produce?): 비교우위론
누구를
위하여
(For whom?, 분배): 정치적
결정
-수많은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환발생
-> 복잡한
경제현상
-교환의
방법
: 시장, 정부, 선착순
, 추첨
등
-교환은
win-win 전략, 자발적
거래
, 비교우위론
(분업, 전문화
)에
입각
ex) Lone Star 의
외환은행
매입거래는
자발적이
아니었나
?
-교환의
효율성을
위해
화폐등장
, 금융, 국제무역
, 세계화
진행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3)교환의
중요성
-비교우위론
: 분업, 전문화
A가
B보다
모든
면에서
더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
도
비교우위에
따라
생산을
하는
것이
생산
효율적
=국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중국이
모든
제품에서
더
낮은
비용으
로
생산이
가능하여도
교역
(교환)이
유리
ex) 변호사와
문서편집자
.4 할
대
타자가
드물다
. 왜?
-비교우위의
원천
:
개인: 선천적
재능
<교육, 훈련, 경험의
결과
국가: 자연자원
, 문화(기업중시문화
등
), 기후, 제도
등
-비교우위론의
한계
:
현재의
주어진
기술과
자원의
상태에서
적합한
이론이지만
발전
의
관점에서는
한계가
있음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 경제학의
기본원리
4)일반적으로
시장을
통한
교환을
통해
자원이
가장
잘
이용된다
-명령경제
(정부의
결정
)와
시장경제
(가격과
경쟁
)
-시장경제
: 기업의
이윤동기
+ 소비자의
효용증대
=보이지
않는
손
-시장경제의
기능
: 분업(전문화)의
효율성
, 사익의
추구라는
동기
부여(책임감), 정보획득
, 시장기구의
사익조정기능
(자발적
교환기
능), 가격기구의
신호등
기능
, 집권자와
관리의
부패와
이권추구
(정
부의
실패
) 방지
-시장은
균형을
향해
움직인다
. 어떤
변화가
있을
때
언제나
시장은
균형을
향해
움직인다
.=> 균형을
중시
-수요공급법칙을
거스르는
노력은
역효과
발생
ex) 집세
통제
-> 임대주택공급
감소
-> 집세
상승
금리상한제
-> 수요증가, 공급감소
, 자금초과수요
-> 자금
못
구함
-시장실패도
있음
: 독과점
, 외부경제
, 공공재
, 정보비대칭성
등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3) 경제학의
기본원리
5)경제문제를
푸는
데는
정부도
역할이
있다
-시장이
균형을
회복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제약이
있으면
문제가
발생
-시장실패의
경우
(외부효과, 공공재
, 독과점
, 공평한
소득분배
, 거
시경제의
안정성
) 정부
개입
-정부의
역할
중
중요한
것이
거시경제의
안정추구
=>거시경제는
정책이
중요
-정부실패도
발생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1.경제학
이론은
무엇인가
?
(4) 경제학의
모형
(이론)
-경제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교환이
발생하며
그
과정에서
복잡
한
경제현상이
발생
=>현상의
단순화
필요
=>변수간의
관계도출
=경제모형
(이론)
-미시경제학에서의
모형
:
수요공급의
모형
, 주요한
원리
(희소성의
원리
, 비용-편익의
원리
,
유인의
원리
)가
모형이라고
볼
수
있음
-거시경제학의
모형
:
단순화된
현실
: 변수들간의
관계
-모형의
다양성
: 사상, 세계관
, 목적에
따라
단순화
=>완전한
하나의
모형은
없음
=>모형의
선택이
매우
중요
-이론(모형)의
용도
: 경제문제의
해명과
예측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경제학의
구분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 과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
-미시경제학
: 개별경제주체의
행동이나
개별시장의
움직임을
다루
는
분야
: 최적화가
기본도구
-거시경제학
: 국가경제전체의
움직임
, 구조와
성과를
연구하는
분
야: 균형, 특히
일반균형이
기본적
도구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1) 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가
?
-거시경제의
성과는
일자리창출
(고용), 근로자임금
(임금), 근로자
들이
지불하는
가격
(물가), 저축수익률
(이자율) 등에
영향을
미침
=>모든
사람에
영향
=>거시경제학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유용
=>거시경제의
움직임에
대해
잘
알아야
미래에
대처가능
=>일상생활(자산관리, 소비활동
등
), 정치적
토론의
이슈
-전문적으로
거시경제학을
배우는
이유
:
거시경제학은
경제정책지향적이므로
거시경제현상을
설명하고
정
책처방을
하기
위해
(기업, 정부, 학교, 정당, 시민단체
등
모든
분야
에서
필요
)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2) 거시경제학에서
다루는
주요내용
-경제성장의
문제
-장기문제
-경기변동의
문제
-단기문제
-실업의
문제
-장기문제와
단기문제
-인플레이션의
문제
-장기와
단기문제
-국제경제문제
(국제수지
, 환율)
-경제정책의
문제
: 왜
금융위기가
발생하며
어떻게
대처
대공황의
원인
-주가폭락, 자본주의경제의
내재적
불안정성
, 서툴
렀던
경제정책
(경제에
대한
이해부족
) 등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2) 거시경제학에서
다루는
주요내용
*경제학의
시조
: Adam Smith, 국부론
(1776)
-기본
개념
=보이지
않는
손
(invisible hand)= 합리적
선택
+경제적
동기
-자유시장경제는
기본적으로
안정적
자유시장에서
경제적
이익을
합리적으로
추구한다면
상호간에
이
익이
되는
상품의
생산과
교환의
모든
기회를
활용하게
되어
저절로
완전고용이
달성됨
-> 정부의
간여나
개입은
불필요
*거시경제학의
시조
: John Maynard Keynes, 일반이론
(1936)
-기본
개념
=야성적
충동
(animal spirit)
=비합리적
선택
+비경제적
동기
=경제에
내포된
불안정하고
일관성
이
없는
요소
(심리적
요소
) 중시
-경제는
기본적으로
불안정적
-> 정부개입이
필요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3) 거시경제학의
특징
*거시경제학자는
경제움직임을
전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과학자
=>다른
국가
, 다른
시기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설명하
기
위한
일반이론도
도출
-통제된
실험을
할
수
없다
-거시경제학은
새롭고
불완전한
과학
=>그래서
아직
분석력과
예측력이
미진
-정책
지향적
=> 현상의
설명과
정책처방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4) 거시경제정책의
한계
-거시경제정책
: 전체경제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의
정책
=통
화정책
, 재정정책
, 구조정책
(국가경제의
기반구조나
제도를
변화시
키려는
목적의
정부정책
)
-정부정책은
경제변동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언제나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매우
어렵다
①상충관계
(trade-off): 실업과
인플레이션
, 현재소비와
미래소비
②stagflation-수요관리정책의
한계
③항상
옳은
결정이냐
? 정치적
요인이
거시경제활동에
영향
-정치적
경기순환이론
(political business cycle theory)
④옳은
결정이라도
기대대로
반응하지
않음
: 연구분석대상이
사람
-합리적
기대
: lame duck 현상
=>정책운용이
어렵다
=>투명성강조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2.거시경제학은
무엇이며
왜
배우며
무엇을
배우는가
?
(5) 거시경제학에서의
미시경제학의
역할
: 구성의
오류
-미시경제학의
기본은
최적화
원칙이다
: 효용극대화
, 이윤극대화
-거시경제학의
기본은
균형
, 특히
일반균형임
*전통경제학의
철학적
기초
: 환원주의적
사고에
기인
=개인의
합이
전체가
된다고
보는
사고
-미시경제학적
결정이
경제모형의
기초를
이루지만
각
가정
및
기
업의
최적화
행위는
많은
경우
명시적이기
보다는
묵시적으로
모형
에
포함됨
.
거시경제학의
각종
함수는
미시
경제적
결정들의
종합적
표현임
즉, 미시적으로
최적화된
의사결정들을
거시적으로
집계한
것
-구성의
오류
: 대표적인
예가
절약의
역설
(paradox of thrift)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와
분석방법
(1) 경제모형
: 장난감경제학
(toy economy)-경제학자의
사고방법
-경제학자는
경제를
설명하기
위해
모형을
이용
모형=안경, 지도
-모형에는
여러
경제변수가
등장
: 내생변수
(endogenous variable)
와
외생변수
(exogenous variable)
-모형의
표현방식
: 서술식
(개념), 그림, 표, 수식, 이야기
*거시경제의
모형화의
방법
첫째, 변수를
정의하고
집계를
한다
. 재화의
집합
(GDP, 소비,투자,
수출
등
)에
관심
=> 경제전체의
움직임은
GDP 의
움직임으로
설명
둘째, 모형을
세운다
. 모형은
분석의
틀로
이용할
수
있는
현실의
추
상물로서
중요한
변수만을
포함하는
모형을
만듦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와
분석방법
(1) 경제모형
: 장난감경제학
(toy economy)-경제학자의
사고방법
*모형의
복잡성의
정도
: 목적에
달려
있다
.
*다양한
모형
: 선택이
중요
-완전한
모형은
없음
=>적합한
모형을
선택
-그러나
모형에
따라
가정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명심
*경제학은
단순히
사실의
집합을
가르치기보다는
경제에
대해
생각
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
.
-경제모형을
이용하지
않고
경제를
이해하기는
불가능
=>모형을
이용하는
훈련이
필요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와
분석방법
(2)AD-AS 모형: 거시경제분석의
주요도구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와
분석방법
(3) 거시경제학의
분석방법
: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비교정태분석
*모형이란
경제분석을
하기
쉽도록
단순화시켜
놓은
가상현실
-경제분석은
모형을
가지고
한다
정태분석
(static analysis)
동태분석
(dynamic analysis)
-주로
비교정태분석
(comparative static analysis)
이
책에서
보는
방법은
모두
이러한
비교정태분석
*경제분석의
방법
: 비교정태분석
-어떤
사건이
발생하거나
정책변화가
있을
때
이것이
우리가
관심
을
가지는
변수
(내생변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외생변수가
변화하면
이것이
함수를
이동시킴
-함수를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가
?
-새로운
균형과
현재의
균형의
비교에
의해
내생변수의
변화를
살
펴봄
제1장
거시경제학의
대상과
분석방법
3.거시경제분석의
기본도구와
분석방법
(3) 거시경제학의
분석방법
: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비교정태분석
*경제분석
*경제모형의
다양성
-거시경제모형의
주요한
가정
중의
하나는
임금
및
가격이
조절되
는
속도에
관한
것
시장청산모형
(market clearing model): 가격신축성
가정
-장기
모형-고전파모형
시장
비청산모형
(non-market clearing model): 가격비신축성가
정-단기모형-케인스(Keynes)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