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 center; clear: none; float: none;">
<<환율>>
※ 학습목표
1. 환율 결정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2. 환율 변화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환율>>
1. 환율
1) 의미
-외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화폐의
교환비율
(외화
1단위의
)
2) 환율의
표슺
-1000 원/달러, 1300 원/유로
등
<<환율>>
1. 환율
1) 의미
-외화
1단위와
교환되는
자국
화폐의
교환비율
(외화
1단위의
시장가격
)
2) 환율의
표슺
-1000 원/달러, 1300 원/유로
등
<<환율>>
2. 환율의
결정
1) 자유
변동
환율
제도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
2) 환율의
결정
-외환의와
이
일치하는
지점
<<환율>>
2. 환율의
결정
1) 자유
변동
환율
제도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
2) 환율의
결정
-외환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
<<환율>>
3. 외환의 수요
1) 외환 수요
-환율(↑) ⇒ 외환 수요량 ( )
-환율( ) ⇒ 외환 수요량(↑)
⇒ ( )하는 수요곡선
<<환율>>
3. 외환의 수요
1) 외환 수요
-환율(↑) ⇒ 외환 수요량 (↓)
-환율(↓) ⇒ 외환 수요량(↑)
⇒ ( 우하향 )하는 수요곡선
<<환율>>
3. 외환의 수요
2) 외환 수요 요인
⇒ 우리는 언제 외화 (달러)가
필요할까?
: ( )
( )
( )
외국 상품의 수입 등
⇒ 외환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
수요증가
수요감소
<<환율>>
3. 외환의 수요
2) 외환 수요 요인
⇒ 우리는 언제 외화 (달러)가
필요할까?-환율(↑)
: (한국인이 외국에 투자 )
(차관 이자 지급 )
(한국인의 해외 여행 )
외국 상품의 수입 등
⇒ 외환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
수요증가
수요감소
<<환율>>
4. 외환의 공급
1) 외환 공급
-환율(↑) ⇒ 외환공급량 ( )
-환율( ) ⇒ 외환 공급량(↓)
⇒ ( )하는 수요곡선
<<환율>>
4. 외환의 공급
1) 외환 공급
-환율(↑) ⇒ 외환공급량 (↑)
-환율(↓) ⇒ 외환 공급량(↓)
⇒ (우상향)하는공급 곡선
<<환율>>
3. 외환의 공급
2) 외환 공급 요인
⇒ 국내로 외화 (달러)가
들어올 때는 언제인가 ?
(외국인들이 원화가 필요할 때는 언제인가 ?)
: ( )
( )
( )
국산 상품의 수출 등
⇒ 외환 공급곡선 자체가 이동
공급 감소
공급 증가
<<환율>>
3. 외환의 공급
2) 외환 공급 요인
⇒ 국내로 외화 (달러)가
들어올 때는 언제인가 ?
(외국인들이 원화가 필요할 때는 언제인가 ?)
: ( 외국인의 국내 투자 )
( 한국인의 해외 근로 )
( 외국인의 국내 관광 )
국산 상품의 수출 등
⇒ 외환 공급곡선 자체가 이동
공급 감소
공급 증가
<<환율>>
5.환율의
변동요인
외환
수요의
환율의
증가
상승
요인
외환
공급의
( )
한국인이
외국에
투자( )
차관
이자
지급( )
한국인의
해외
여행( )
외국
상품의
수입( )
외국인의
국내
투자↓
한국인의
해외
근로↓
외국인의
국내
관광↓
국산
상품의
수출↓
<<환율>>
5.환율의 변동요인
외환 수요의
환율의 증가
상승
요인
외환 공급의
(감소)
한국인이 외국에 투자(↑)
차관 이자 지급(↑)
한국인의 해외 여행(↑ )
외국 상품의 수입(↑)
외국인의 국내 투자↓
한국인의 해외 근로↓
외국인의 국내 관광↓
국산 상품의 수출↓
<<환율>>
5.환율의
변동요인
외환
수요의
환율의
()
하락
요인
외환
공급의
( )
한국인이
외국에
투자()
차관
이자
지급()
한국인의
해외
여행( )
외국
상품의
수입( )
외국인의
국내
투자( )
한국인의
해외
근로( )
외국인의
국내
관광( )
국산
상품의
수출( )
<<환율>>
5.환율의
변동요인
외환
수요의
환율의
(감소)
하락
요인
외환
공급의
(증가)
한국인이
외국에
투자(↓)
차관
이자
지급(↓)
한국인의
해외
여행(↓
)
외국
상품의
수입(↓)
외국인의
국내
투자( ↑
)
한국인의
해외
근로(↑)
외국인의
국내
관광(↑)
국산
상품의
수출(↑
)
<<환율변동의
영향
>>
<<환율변동의 영향 >>
*환율이 하락하면 ???
1)수출( ). 수입( )→경상수지 ( )
2)수입상품가격( )→국내물가 ( )
3)원화환산외채( )→외채상환부담 ( )
4) 수출( ) → 생산 ( )
<<환율변동의 영향 >>
*환율이 하락하면 ???
1)수출(↓).수입(↑)→경상수지 (악화)
2)수입상품가격(↓)→국내물가(↓)
3)원화환산외채(↓)→외채상환부담(↓)
4) 수출(↓) → 생산(↓)
<<환율변동과
경상수지의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