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상거래 소비자 보호의 국제 동향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의
국제 동향
- 목 차 -
1. 국내 전자상거래 현황
2.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문제
3. 주요 국제기구의 논의 동향
4. 주요국의 정책 동향
5.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시책
국내 전자상거래 현황
인터넷 이용의 확산
국내 인터넷 이용자수 : 1900만 명
월평균 이용시간 : 15.7시간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수 : 402만 가구
인터넷 쇼핑몰 : 2,000여 개
¡Ø 자료: 한국인터넷정보센터(2000.12)
소비자의 전자상거래 이용경험
인터넷 이용자 중 12.3% 쇼핑 경험
서적,CD,컴퓨터SW/HW,식료품,의류,
장난감,유아용품, 레저용품 등
평균 지출액 33만원 추정
¡Ø자료 : 한국인터넷정보센터,한국소비자보호원,
Bzeye㈜ (2000.12)
국내 B2C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국제 B2C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제2장 전자상거래와 소비자문제
1. 전자상거래와 소비자편익
2. 전자상거래와 소비자 주권
3. 전자상거래의 특성과 소비자 피해
4.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의 증가
5.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유형
전자상거래와 소비자편익
구매의 편의성 증대
- 상품 주문 시 시간적, 지리적 제약 극복
상품선택의 폭 확대
- Global Marketplace에서 제품 구매 가능
합리적 소비문화 정착
- 충분한 정보탐색에 의한 구매의사결정
전자상거래와 소비자주권
소비자문제에 대한 전통적 접근
- 소비자와 사업자 간의 정보격차
(Information Asymmetry)로 인한 교섭력
의 차이로 대등한 거래 곤란
EC에서의 소비자주권 실현 가능성
- 쇼핑몰 평가, 가격비교정보의 활용으로
정보격차 완화,역경매, 공동구매 등
소비자의 교섭력 신장
전자상거래와 특성과 소비자피해
비대면 원격거래
- 사기기만거래, 허위과장광고
인터넷에 의한 주문-계약 이행
- 조작실수, 개인정보유출, 청약철회,
책임입증 곤란
Global Marketing
- 피해구제 곤란, 재판관할, 준거법 문제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의 증가
전자상거래 소비자피해 유형
주문한 상품의 배달 지연 혹은 미배달
배달된 상품이 표시광고와 차이
계약의 불완전 이행 혹은 일방적 변경
이중 혹은 과대 상품 대금 청구
해약거부 혹은 대음 환급 거부
주요 국제기구의
논의 동향
1. OECD : 국제 규범의 정립
2. IMSN : 국제 공동 사업의 추진
3. APEC : 전자상거래 역내 확산
4. ISO : 국제표준화를 통한 보호
OECD의 논의동향
소비자보호는 개인정보보호, 보안,암호화,
조세 등과 더불어 주요 의제
소비자정책위원회(CCP), 정보컴퓨터통신정책
위원회(ICCP)에서 주로 논의
1개 선언 및 1개의 지침 채택
-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에 관한 각료 선언
(1998.10,오타와)
-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에 관한 가이드라인
(1999.12,파리)
OECD의 소비자보호지침
회원국 전자거래 소비자보호시책의 기본원칙
공정한 영업행위 및 광고
사업자신원, 상품 및 거래조건 정보 제공
주문 확인절차, 대금지급, 피해구제
개인정보보호 및 소비자교육
- 전자거래 소비자보호지침 제정
(2000.1 공정위)
OECD의 향후 논의 의제
OECD 가이드라인의 이행
B2C 전자상거래 통계
온라인 ADR
사업자 자율규약(Codes of Conduct)
IMSN의 논의동향
OECD회원국이 중심이 되어 1992년에
설립된 비공식네트워크
부당거래 감시, 정보교류, 피해구제
국제인터넷 청소의 날
(International Internet Sweep Day)
- 일확천금, 금융피라미드, 허위과장의
건강광고 및 OECD가이드라인 준수실태
국경을 넘어선 전자상거래 피해구제
사업 개시 예정
국제전자상거래 피해구제
네트워크 구축 사업
2001년 5월말 10여 개국이 참여 설립,
미연방거래위원회 주관
한국어를 포함 5개국 언어로 지원하는
사이트(http://www.econsumer.gov)개설
일단 사업자의 자율구제를 유도하고,
실패 시 각국의 참여기관이 개입하여
분쟁해결
APEC의 논의동향
1998년 전자상거래를 위한 청사진 발표
1999년 전자상거래 운영그룹(ECSG)발족
2001년 3월 호주 캔버라에서 회의
- OECD의 논의를 APEC 역내국가로 확산
시도
- 회원국간 정보화의 격차로 효과적 논의
미흡
ISO의 논의동향
표준(Standards)을 통한 소비자보호
전자상거래 표준 – JTC1에서 주로 논의
소비자정책위원회(COPOLC)
- 전자상거래 소비자표준 솔루션 작업반
일본, 국가 표준화 작업
-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 지침’ (JIS)
주요국의 정책동향
1. 미국의 정책동향
2. 일본의 정책동향
3. EU의 정책동향
미국의 정책동향
연방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FBI, 주 사법
당국과 공조 대책 강구
연방거래위원회법, 텔레마케팅규칙 등
기존의 소비자보호법령 적용
신규 법령의 도입에는 신중한 입장
- First, Do not harm!
전자상거래 과정 중 개인정보침해 문제에는
적극 대응
- 1998년 어린이 온라인 프라이버시보호법
- 2001년 스팸메일의 규제에 관한 법률(안)
일본의 정책동향
인터넷통신판매의 범주에서 이해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 개정
- ‘특정상거래에관한법률’(2001.6발효)
정부 주도와 민간의 협력에 의한 시책의
추진
- 온라인마크제도(경제산업성-ECOM-
통판협회/상공회의소)
EU의 정책동향
EU의 B2C전자상거래 규모는 미국의
약13% 수준(’99말 현재)
원격계약에 관한 소비자보호지침(’97)
- 사업자의 신원,상품,거래조건에 관한 정보
제공 의무
- 7일간의 청약철회권리 인정
- 동의 없는 자동발신장치의 사용 금지
전자상거래지침(’00)
- 정보사회서비스제공자의 정보제공의무
- 광고성 전자우편에 대한 규제
- 중개자의 책임 등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시책
1. 소비자보호시책의 기본 방향
2. 소비자보호시책의 추진체계
3. 법령의 정비
4. 소비자의 권한 강화
5. 사업자의 자율규제 유도
소비자보호시책의 기본방향
법령의 정비(Legal Infra Adjustment)
소비자의 권한 강화
(Consumer Empowerment)
사업자의 자율 규제 유도
(Business Self-regulation)
국제협력 확대
(International Co-operation )
소비자보호시책의 추진체계
법령의 정비
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 개정 추진
- 공정위, 전자거래및통신판매에관한
법률로 별도 입법 추진 중이나,
관련 부처에서 이견제시
전자자금이체법 제정 추진
- 인터넷 뱅킹의 급속한 성장 및 다양한
전자대금결제 수단의 출현에 따라 전자
자금이체법의 제정을 포함한 전자금융
거래에 관한 규제입법의 필요성 제기
소비자의 권한 강화
소비자정보제공-www.econsumer.or.kr
소비자교육-온라인매체 활용, ECRC
피해구제-ADR확대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 전자거래분쟁조정위원회
-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사업자의 자율규제 유도
행동규약의 제정 유도
- 전자거래소비자보호지침,
개인정보보호지침
인터넷 신뢰마크제도 도입
- iSafe마크(개인정보보호, 시스템보안)
- eTRUST마크(소비자보호)
사업자의 인식 미흡
국제협력의 확대
국제기구 논의 동향 파악과 제도 개선
- OECD, IMSN, APEC, ISO 등
국제기구 논의에 있어 민간의 참여 확대
양자간 협력 증대
- 인증마크 상호인정 추진(한.일)
- 소비자피해구제 협력
- 소비자정보 DB구축 등
맺 음 말
소비자보호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 소비자의 자율 역량 강화
- 사업자의 자율 규제 유도
- 시장경쟁 및 기술의 발전 활용
- 국제협력의 확대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Möglichkeiten, Ihren Blutdruck normal zu halten (0) | 2019.11.15 |
---|---|
Letharmonische Alltags-Fünf Wege, die Lebenskraft zu finden (0) | 2019.11.13 |
환율 결정의 원리, 환율 변화에 따른 국내 경제 영향 (0) | 2019.10.31 |
口臭なくす5つの方法 (0) | 2019.10.26 |
3분(또는 4분)을 기다린 컵라면이 가장 맛있을까? (0) | 2019.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