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의 개념::정의, 기능, 구분 및 유형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_지역사회(Community)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Communis’에서 유래된 것으로 Communis는 Com(함께)과 munis(봉사하는 일)의 합성어로 Commune(친하게 교제한다)의 의미에 ~ity를 붙여 공동체, 공동사회라는 뜻을 가진 명사가 된 것
_중세 라틴시대에는 ‘Communis’는 ‘동료나 성곽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총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지역사회, 공동체, 공동사회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음
_지역사회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살펴보면 Hillery는 기존 지역사회의 정의를 분석하여 지리적 영역(생활권, 물리적 자원), 사회적 상호작용(사회관계), 공동의 연대감을 공통요소로 밝히면서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_① 지리적 개념의 지역사회
_② 집단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기능적인 지역사회
_③ 공통된 매개가 성립되는 지역사회로 세 가지 요소가 포함된 “일정한 지리적 영역 안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연대감이 갖추어져 있는 인간집단”으로 정의
_Fellin은 지역사회를 “공동의 장소, 이해, 정체감, 문화, 활동에 기반하고 있는 사람들”이 구성한 단일체(a social unit)로 정의하고 있으며 Longman 사전에서는 지역사회를 “동일한 지역 및 도시 등에서 생활하는 모든 사람들”로 지역성에 기반을 둔 정의와 “동일한 국적, 종교 및 유사한 영역들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사회적 동질성에 근거한 정의를 내리고 있음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_또한 NASW에서는 지역사회를 구조적인 관점과 사회.심리학적 관점으로 나누고 있음
_구조적 관점에서는 지역사회를 개인과 국가를 매개하는 구조를 보고 사회, 심리학적 관점에서 지역사회는 의미, 정체성, 비소외적(non anomic)관계, 소속감을 강조함
_현대지역사회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Wyarren은 지역사회를 “지역적인 수준에서 사람들 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주요 사회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적인 단위(Units)와 체계의 연합”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최일섭은 지역사회란 “다른 지역과는 다른 특수성과 분리 성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지리성 및 지리적 경계를 가지며, 또 다른 면으로는 문화적인 동질성, 합리성과 상호작용을 하며 공통된 매개가 성립되는 자연지역”이라고 보고 있음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따라서 지역사회(Community)는 어떤 유형의 조직이나 지역, 기관 등 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일정한 지리적 구역을 조건으로 전제 되지만 그 구성원들의 공동으로 이익을 추구하고, 이해관계를 같이 하는 개인이나 집단조직체를 의미하고 있음
_<지역사회의 의미>
_① 주민이 생활의 이해를 공동으로 함
_② 동일한 공동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회감정(Community felling)을 갖고 있음
_③ 독자적인 지역사회를 이루는 역사, 전통, 습관, 언어, 문화 등을 지님
_④ 일정한 인구 및 지리적으로 같은 지역에 사는 인간 집단으로 볼 수 있음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지역사회(Community)라는 용어는 우리나라 말로 지역사회 또는 공동체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지역사회란 특정국가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 그 지역사회에 대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관심과 이해를 공유하는 이익집단 등의 속성을 반영
지역사회 개념은 사회변화와 함께 역사성을 갖고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음
Williams에 의하면 커뮤니티라는 용어는 서구에서 14세기부터 영어권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원래의 의미는 지위가 높은 상급계층의 사람들과는 대비되는 ‘평범한 사람들’ 또는 ‘일반시민’을 의미하였고, 16세기에는 ‘공통적 요소를 지닌 어떤 특성’이나 ‘시민사회’를 의미하기도 함
19세기 이후에는 복잡한 산업사회와는 대비되는 전통사회의 지역성을 의미하거나 유토피아적 방식의 집단생활을 의미하기도 함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20세기에 들어와서 지역사회의 개념은 대체로 지리적인 경계를 기준으로 언급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다소 모호하고 가변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음
_첫째, 지역사회의 지역적 범위를 규정할 때 21세기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의미의 지역적 경계가 무너지고 있음
_현대사회에서는 사이버 공동체, 네트워크 공동체 등 새로운 지역사회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지구촌(global community)의 형성으로 최광의 지역사회의 개념이 등장하였기 때문에 단순한 지역성을 강조하는 지리적 의미의 지역사회는 점차 그 의미를 상실하고 있는 것이 오늘날 정보사회의 실정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둘째, 지역사회가 함축하고 있는 지리적 근접성에 기초한 연대감에 있어서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_예를 들면 같은 지역의 동일한 아파트에 거주하더라도 전혀 대인관계의 접촉이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을 지리적 근접성만으로 주민들의 생활공동체로서 연대감을 갖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므로 지역사회라는 개념을 지리적 의미에 한정하여 정의를 내 리기는 어렵고 애매한 점이 있음
_셋째, 지역사회의 또 다른 용어로 공동체라는 말은 공동의 관심과 이해관계를 기준으로 언급되며 이러한 의미의 공동체는 직업, 취미, 활동영역 등 기능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형성되며 동질적 정체성에 기초한 강한 정서적인 뉘앙스를 갖고 있음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_따라서 현대사회에서 지역사회의 의미는 지리적 특성을 넘어 기능적 특성이 강조되고 있음
_지역사회는 크게 ‘지리적인 지역사회(geographic community)’와 ‘기능적인 지역사회 (functional community)’로 구분할 수 있음
_‘지리적인 지역사회’는 한 지역의 지리적인 토대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활동범위로 시, 도, 군, 구, 읍, 면, 동 등 행정구역이 해당됨
_‘기능적인 지역사회’는 복지, 교육, 농업, 종교 등에서 공동의 관심과 기능을 함께 하는 구성원의 집단으로 변호사회, 의사회, 사회 복지사회, 종교단체, 정당, 사회단체 등과 가상공간에서의 동아리 등이 해당됨
지역사회의 정의
____
----
_또한 지역사회는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음
_첫째, ‘지리적인 지역사회’는 한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주민들과 조직체의 지리적 분포로 이루어지는 활동영역
_둘째, ‘동질적인 지역사회’는 지역주민들 간의 합의성, 일체감, 공동양식 등 공통적인 관심사와 가치관을 강조
_셋째, ‘자연적인 지역사회’는 지리적 인 특성과 동질적인 특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개념
지역사회의 기능
____
----
_지역사회는 일정한 지역에서 지역주민들이 함께 거주하는 것 이상을 상호관계를 맺고 서로의 생활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_지역사회는 다양한 인간 활동의 주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
_지역사회가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주요 기능에 대해 길버트와 스펙트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기능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음
지역사회의 기능
____
----
(1) 생산, 분배, 소비 기능이 기능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재화(goods) 및 서비스를 생산(production), 분배(distribution), 소비(consumption)하는 과정을 말함
_이 기능은 주로 기업체가 담당하지만 정부기관, 전문기관, 종교단체, 교육기관 등에서도 경제적 기능을 담당함
_사회의 구성원들이 생활해 나가는 데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분배 - 소비 하는 경제기능은 시장제도가 담당하지만 이러한 시장제도는 개인적인 차원에서 볼 때 생산 방법과 가족의 욕구 충족 방법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지역 주민들이 어느 정도 자립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
지역사회의 기능
____
----
(2) 사회화(Socialization)는 개인들이 사회와 이를 구성하는 사회적 단위들의 지식, 가치, 행동 유형 등을 터득하는 과정을 말함
_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가치와 규범, 지식을 전수 하는 사회화 기능은 가족제도가 담당하지만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일반적 지식, 사회적 가치, 행동양식 등은 지역주민들을 통해 다른 사회구성원들과는 구별되는 생활양식을 터득 하게 됨
_사회화 과정은 유아기부터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유아기 때 형성된 사회화는 일생 동안 지속됨
지역사회의 기능
____
----
(3) 사회통제(Social Control)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사회적 역할, 규범, 가치 등에 순응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함
_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일정한 가치와 규범에 순응하도록 강제하는 사회통제 기능은 정부가 담당하지만 모든 지역사회도 지역주민들이 지켜야 할 법, 도 덕, 규칙, 규범 등을 제정하고 이를 집행함으로써 그 지역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해체를 막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
_사회통제를 담당하는 일차적인 기관은 정부이며, 정부는 사법권과 경찰력을 통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법을 집행함
_그러나 교육, 종교, 사회기관 등에서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기능을 담당함
지역사회의 기능
____
----
(4)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이란 사회구성원 간 또는 인간사회 내의 여러 집단, 단체, 기관 들이 서로 결속력을 갖도록 해주는 것
_사회구성원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사기를 진작시키고 사회적 규범을 자발적으로 따르도록 사회에 대한 충성심을 강화하는 사회통합과 영적 개발 기능은 종교제도가 담당하게 됨
_사회통합은 사회참여의 의미로 지역사회 가 제공하는 제반 활동에 그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말함
_사회통합에 필요한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만드는 사회조직으로는 가정, 학교, 사회단체 등을 들 수 있음
지역사회의 기능
____
----
(5) 상부상조(mutual aid)는 지역주민들이 기존 사회제도에 의해 기본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 사회구성원 들이 서로 도와주는 사회적 기능
_전통사회에서 상부상조의 기능은 가족, 친척, 이웃, 친목단체나 자선단체 등과 같은 일차적인 집단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정부, 민간사회단체, 종교단체 등에서 이루어짐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_일반적으로 지역사회는 인접성을 기초로 하여 약 500세대를 이루고 있는 인구수를 보고 있으며, 도시학교는 수백 세대의 인구가 상주하는 학교지역으로 3천 명 정도를 보고 있음
_초등학교 지역의 중심개념은 아동들의 도보거리에 초점을 두고 있음
_던햄(Dunham)은 지역 사회의 영역을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음
_① 인구 분포에 따른 구분:대도시 중, 소도시, 읍, 면, 동 등과 소규모 부락으로 구성된 지역사회의 형태
_② 경제적 기반에 따른 구분:산촌, 어촌, 광산촌 등으로 형성된 지역사회의 형태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_③ 행정의 구역에 따른 구분: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 읍, 면, 동 등으로 구성된 지역사회의 형태
_④ 사회적 특수성에 따른 구분:저소득층 지역, 외국인촌, 장애인 밀집지역, 슬럼지역, 미국의 할렘(Harlem)가, 차이나타운(Chinatown) 등에서 볼 수 있는 지역사회의 형태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린데만(Lindeman)은 지역사회복지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지역사회를 구분함
_① 대도시(metropolitan centers)지역:인구 50만 명 이상인 지역으로서 산업, 상업, 문화 등이 밀집된 지역
_② 산업(industrial cities)지역:광업, 제철, 수출산업, 자동차공장 등 산업이 집중된 지역
_③ 상업(commercial)지역:상가, 백화점, 주유소 등이 밀집된 지역
_④ 행정중심(governmental)지역:정부의 행정관서가 집중된 지역
_⑤ 교육중심(educational)지역:대학교, 연수원, 기타 학교시설이 중심인 지역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_⑥ 시설중심(institutional)지역:병원, 센터, 보건소 등이 형성된 지역
_⑦ 교외(suburban)지역:지역주민들이 도시로 통근하며 근교에 거주하는 지역
_⑧ 위락(resort)지역:해변, 위락지, 국립공원, 자연명소 등에 인접한 지역
_⑨ 농업중심(agricultural)지역:농산품이 거래되고 농촌 주민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
_⑩ 이념중심(ideological)지역:신앙촌, 퀘이커교, 몰몬교, 협동농장 등 종교, 이데올로기, 예술 등에 뜻을 두고 형성된 지역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_지역사회의 유형 - 지역사회의 유형은 공간적, 기능적, 개인적 의미의 지역사회로 나누어 볼 수 있음
(1) 공간적 의미의 지역사회 장소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
_① 생계욕구와 직면한 기능적. 공간적 단위
_② 정형화된 사회적 상호작용의 단위
_③ 집합적인 동질성의 상징적 단위로 규정됨
_장소에 기초를 둔 지역사회는 크기와 영역, 조밀도 등에 따라 변하며 근린지역사회, 지방지역 사회, 대도시 지역사회 등으로 언급됨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2) 기능적 의미의 지역사회 비장소적 지역사회는 동질성을 지닌 공동체(Communities of identification)나 이익공동체 (Communities of interest)로 나눌 수 있음
동질성의 지역사회는 어떤 특성이나 신앙, 민족, 종 교, 생활방식, 이념, 사회계층, 직업유형, 성적지향성, 취미활동 등을 중심으로 형성하며 이익 공동체는 전문적 집단, 직장노조집단 등 구성원들의 공동의 이익을 중심으로 형성함
(3) 개인적 지역사회(personal community)는 복합적인 구조의 지역사회 내에서 개인을 중심으로 규정한 지역사회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지리적 특성, 동질성을 지닌 특성, 이익을 중심으로 하는 특성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
지역사회의 구분 및 유형
____
----
_개인적 지역사회는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서 지역의 문제와 욕구를 사정하고, 개입의 범위와 방법을 선택하며, 자원동원의 전략을 수립함 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됨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과 염기의 반응 (0) | 2014.12.26 |
---|---|
Next Generation Streaming (0) | 2014.12.21 |
한국 경제 위치 (0) | 2014.11.28 |
오키나와의 역사 (0) | 2014.11.20 |
동아시아의 근대화운동 (0) | 201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