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인의 건강한 생활관리
당뇨병과 심리적 적응
당뇨병과 스트레스
당뇨인 가족의 역할
당뇨인의 생활관리
당뇨병의 생활요법
목표 : “ 당뇨병과 함께 건강하고
즐겁게 생활하는 것 ”
1) 당뇨병과 관리방법에 대한 공부
2) 당뇨병의 수용 및 관리 의지
3) 구체적인 생활실천 계획 세우기
4) 생활 속에서 실행
질병에 대한
심리적 적응 단계 (I)
1) 부정 : 마치 당뇨병이 없는 사람처럼
생활하는 것
2) 분노 : 늘 속상하고 불만스러워 하는 것
3) 불안 :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질병에 대한
심리적 적응 단계 (II)
4) 우울 : 무기력, 무의욕
5) 협상 : 내 생활과 당뇨병 관리의 조율
6) 수용 : 당뇨관리의 자각과 실천
심리적 적응을 위해서는 ...
당뇨병과 친구가 된다고 생각하세요
당뇨병을 숨기거나 부끄러워하지 맙시다
내가 치료의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자기관리의 필요성을 알고 끊임없이
나의 의지를 점검합시다
스트레스와 당뇨병
스트레스 (STRESS) 호르몬에 영향
인슐린 작용 방해 혈당 증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체적 신호, 감정적 신호
행동적 신호
스트레스의
증상 및 단계 (I)
1) 경고 단계
: 심장박동증가, 호르몬 방출,
근육의 긴장 등 반응이 빨라지고
활동이 증진되며 생산성이 증가한다
2) 에너지 소비 단계
: 신체의 에너지 소비가 시작된다
스트레스의
증상 및 단계 (II)
3) 근육과 정신의 반응 단계
: 방출구가 없을 때 질병으로 발전 가능하다
4) 저항 단계
: 상황에 적응하며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이다
5) 고갈 단계
: 상황의 호전 없이 유지될 경우 지친다
나의 스트레스 신호 (I)
나의 스트레스 신호 (II)
나의 스트레스 정도 1
나의 스트레스 정도 2
스트레스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스트레스는
어떻게 해결할까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이완요법
신체적 긴장 및 피로 제거
자기 통제기술 습득
신체활동에서 정신활동으로의 전이 경험
신체에 대한 감각과 인식의 증진의 효과
당뇨인 가족의 특성
부정 (질병에 대한 이해 부족)
과보호
죄책감 (지나친 책임감)
완고함 (강박관념)
지나친 방임
당뇨병과 부부관계
긍정적 관계
대화 시간의 증가
감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의 증가
부정적 관계 (갈등적 관계)
서로의 무관심을 비난
남성 : 성기능장애 / 여성 : 비만으로 인한
매력상실 부부관계의 위축
당뇨인 가족의 역할
당뇨병에 대한 기초 지식을 터득해야 합니다
가족은 도움을 주지만 당뇨인 보다 더 열심히
하지는 않습니다
감시자가 되지 말고 조력자가 되십시오
당뇨인과 함께 감정을 나누고 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 교육 모임에 참석하여 다른 가족과
의견교환을 합니다
생활습관 변화를 위한 질문
당뇨병을 알게 된 후, 생활에 변화가 있었나요?
- 있었다면, 어떤 변화였나요?
- 없었다면, 왜 없었나요?
앞으로 변화가 필요하나요?
그렇다면 어떤 점을 바꾸실 것인가요?
나에게 기적이 일어난다면?
생활습관의 변화
생활에서의 문제? 그 원인?
문제해결의 방해요소는?
1)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2) 구체적인 목표를 세웁니다
3) 생활 변화를 위한 계획을 세웁니다
- 언제 목표를 달성했습니까?
- 목표 달성은 어느 정도 되었습니까?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SCO (0) | 2014.06.22 |
---|---|
한국의 현대 디자이너 (0) | 2014.05.20 |
여러 가지 피임법 (0) | 2014.04.24 |
아동복지의 의의::개념 ,이념,목표,철학,기본전제 (0) | 2014.04.18 |
영국의 대중음악 (0) | 201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