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wer to surprise.

블로그 이미지

MSNU

EV, BCWS, ACWP, BCWP, SV, CV, CPI, EAC 용어 해설

시리즈 2014. 6. 20. 00:05

. EV(Earned Value)

획득가치(EV)는 프로젝트 관리의 객관적인 평가 툴이다.
획득가치(EV)를 사용하여 변경을 평가하고, 어떤 변경사항이 발생하였는가를 살펴볼 수

있으며, 미래의 변경을 관리할 수 있다.

 

[PMBOK 내용]

다양한 형태의 기성고 분석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과측정 방법이다.

이 방법은 프로젝트 관리 팀이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되는 범위, 원가(혹은

자원), 일정들을 통합하는 기법이다. 기성고는 각 활동에 대해 다음 세 가지 주요 값를

계산해 내는 것이다.

 

2. BCWS(Budgeted Cost of Work Scheduled)

계획된 작업에 편성된 비용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주어진 기간 동안 수행될

활동에 지출할 것으로 계획한(planned) 승인된 예산의 일부분을 말한다.

계획된 예산(Planned Value)라고도 불린다.


3. ACWP(Actual Cost Of Work Performed)

이전에는 수행된 작업에 대한 실제비용(Actual Cost of Work Performed: ACWP)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주어진 기간 동안 활동상에서 수행중인(accomplishing) 작업에

발생된 비용의 총합이다.

이 실제 비용은 PV 및 EV를 위한 예산집행이 무엇이든지 간에 부합되어야 한다.

(예, 직접 시간만 계산, 직접 비용만 계산, 간접 비용을 포함한 모든 비용)

 

4. BCWP(Budgeted Cost of Work Performed)

이전에는 수행된 작업에 편성된 비용(Budgeted Cost of Work Performed: BCWP)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승인된 총 예산 중) 실제 완료된(completed) 작업의 비용.

 

5. SV(Scheduled Variance)

  일정 편차라 불리며 SV = BCWP – BCWS(SV = EV-PV)

음의 값이 나타나면 프로젝트가 계획에 못 미쳐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양의 값은 프로

젝트가 계획된 일정보다 앞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6. CV(Cost Variance)

비용 편차라 불리며 CV = BCWP – ACWP(CV = EV-AC)

음의 값은 비용(Budget)이 과다 지출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양의 값은 비용이 절감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렇다고 양의 값이 나타나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니며 비용-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원가차이는 회사가 미리 계산한 예정 또는 표준제조원가와 실제원가와의 차이를 말한다.

원가계산을 행함에 있어서 계산의 신속성 등의 요청 때문에 예정원가계산(豫定原價計算)

또는 표준원가계산(標準原價計算)에 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예정원가 또는

표준원가가 계산상의 기초로 되고 그 가액과 실제원가와의 차이가 원가차이가 된다.

 

또한 실제원가계산에 의한 경우에도 일부의 제조비용에 대해서 예정원가에 의하는 경우에

실제원가와의 차이가 원가차이이다.

 

또한 배부과부족(配賦過不足)의 관점에서는 원가차이가 원가차익(原價差益)과 원가차손

(原價差損)으로 분류되며, 차이발생항목에 따라 재료비차이, 노무비 차이, 제조간접비

차이로 분류될 수 있다.


7. CPI(Cost Performance Index)

원가성과지표라 부르며 아래의 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CPI = BCWP / ACWP

= (실제 완료된 작업의 비용)/(수행중인 작업에 발생한 비용의 총합)

[수치의 해석]

ü CPI < 1 : 공사비 과다 지출

ü CPI > 1 : 공사비가 계획보다 절감되었음을 나타냄

예) CPI가 0.8인 경우 시공자는 100원의 공사비로 80원의 공사를 한 것임.

 

또한, 일정성과지표(schedule performancee index(SPI), SPI = EV/PV))는 때때로 CPI와

결합하여 프로젝트 완료 시 비용 추정치를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8. EAC(Estimate at Completion)

종료 예상비용이라 해석되며 다음의 식으로 계산된다.

EAC = BAC/CPI

= AC + ETC

= AC + BAC - EV

= AC + (BAC - EV)/CPI

 

완료시점 산정치(EAC)는 프로젝트 성과 및 리스크 정량화를 기준으로 한 예상 전채

총계값이다. 일정 활동에 대해 추정 또는 예상되는 최종합계이다.

-. 새로운 산정치를 적용한 완료시점 산정치(EAC)

  무적 실제원가(AC) + 잔영분 산정치(ETC) : 수행조직이 지정

-. 잔여 예산 적용한 완료시점 산정치(EAC) : 잔여 작업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예산

  무적 실제원가(AC) + 완료시점 예산(BAC) - 누적 획득가치(EV)  

-. 누적 원가성과지수(CPI) 적용한 완료시점 산정치

  누적 실제원가(AC) + ((완료시점 예산(BAC) - 누적 획득가치(EV))/누적 원가성과지수(CPI)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힐러리 클린턴 (Hillary Rodham Clinton) & 빠뜨리시아 에스피노사 깐떼야노(Patricia Espinosa Cantellano)  (0) 2014.07.10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  (0) 2014.07.07
프랑스어 의사소통 기본 표현  (0) 2014.05.08
독일어 의사소통 기본 표현  (0) 2014.05.03
네트워크network 용어 -2-  (0) 2014.04.12
Posted by MSNU






favicon

Power to surprise.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466)
    • VOA (3)
    • PPT (353)
    • 시리즈 (103)
      • 경제 (3)
      • 국가 정보학 (3)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