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사 나름 요점정리
1492년 Christopher Columbus의 아메리카 대륙발견
1607년 Jamestown내에 영속적인 식민지 설치에 성공
1620년 Plymouth에 청교도가 Mayflower호를 타고 도착
1630년 Massachusetts 식민지 건설
1651년 항해조례(The Navagation Act;1849 년에 폐기)...농산물은 본국으로 수출하고 가공품을 수입해야하는 법
1773년까지 13개의 식민지 건설
2.미국의 탄생
1754년 인지세법(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1763년 French Indian War을 계기로 일대 전환기
1764년 Continental Congress소집
1776년 Thomas Paine's Common Sense출간
1776년 독립선언
1777년 Articles of Confederation 채택...13개 주의 집합체
1786년 Annapolis회의에서 신헌법 제정을 부르짖음
1787년 Philadelphia에서 미국헌법제정
3.국민적 자각의 탄생
Hamilton 재무장관...연방 정부의 권한을 강화, 채무 완불 주장, 국립은행 창설 및 국내 통화의 안정을 국가가 관리
그의 재정 정책은 양당 정치의 씨를 뿌림
1789년 불란서 혁명, 영불전쟁 발발
1789년1월 연방의회구성, 선거인들이 뉴욕에 모여 버지니아 출신의 조지 워싱턴을 대통 령으로 매사츄세츠줄신의 존 애덤스를 부통령으로 선출
1793년 미국이 중립정책을 선언
1807년 Embargo Act(출항금지법)fmf 발표
1812년 미영전쟁 유발...제 2의 독립전쟁
1820년 Louisiana 영지를 불란서로부터 구입 미국 국토를 2배로 증가시킴
1823년 Monroe Doctrine
1836년 반 뷰렌이 대통령으로 선출
1844년 민주당의 제임스 포크가 대통령에 당선
1836년 텍사스의 미국인들이 멕시코에 대해 독립을 선언, 산화킨토 전투에서 미국은 멕시코를 이기고 벨라스코 조약(리오그란데 강을 국경선으로 하는 텍사스 공화국을 승인한다는 내용)을 체결.
1844년 상하 양원합동회의에서 텍사스 공화국을 미국에 합병시킨다는 안이 통과
1846년 5월 미국과 멕시코 사이에 전쟁
1848년 미국은 영토를 손에 넣은 대가로 멕시코가 진 빚을 대신 갚아 주기로 합의하는 ‘고달루페히달고 조약’을 체결.
1848년 네바다산 쪽에서 금광 발견 1849년 캘리포니아가 주로 될 만큼 많은 인구가 늘어나 한 주를 형성하게 됨
1859년의 남부와 북부간의 타협을 모색했으나 결과적으로 남북간의 관계가 더욱 악화되고 맘
1852년 민주당의 프랭클린 피어스가 대통령으로 당선
미국 역사의 중심은 대서양 연안지대에 있었다. 1790년 대서양 연안지대 인구 370만명 일 때, 서부의 인구는 22만명이었다.
서부로의 이동은 Appalachian 산맥을 넘음....rifle 총, 도끼, 옥수수가 필수품
서진 운동으로 태평양 연안에 서부라는 지역이 형성되고 있을 때 대서양 연안 지역에도 New England 지방과 중부대서양 연안주를 포함한 북부와 그 이남의 남부라는 두 개의 지역이 형성
이 두 지역의 차이는 기후, 토지, 산업, 노동조직에 기인
●북부지방...토지가 척박, 산업, 금융업, 제조공업, 해운업 등이 일어나고 자유노동제가 지배적
●남부지방....농업에 적합, 담배, 쌀, 소금의 재배. 1800년 이후 면화 재배가 성행, 흑인
노예가 노동력으로 사용
북부, 남부, 서부의 세 지역은 1829년 이후부터 중요한 문제에서 대립 내지는 동일 보조를 취함. 북부 및 서부는 연방제의 우월을 지지, 남부는 주정부의 주권 우월을 지지
북부..보호무역제도지지, 남부 및 서부는 자유 무역제도지지
서부는 토지를 무상으로 농민들에게 개방할 것을 요구, 북부는 노동자의 서부이주를 유도하리라는 생각에서 또 남부는 노예제도의 확대가 불가능하리라는 견지에서 반대
북부와 서부는 동질적 사회를 이루며 경제관계에서도 상호 의존적이 됨
Mississippi강은 남부를 서부와 연결. Erie 운하는 서부와 북부를 연결
Maryland의 Baltimore와 Ohio 사이에 철도가 개설
남부에서는 1859년대에 겨우 미시시피강의 하류지대와 대서양연안의 남부를 연결시키는 철도가 나옴.
서부의 신주들이 남자보통선거권을 성립시킨 것이 북부에 있어서의 참정권확장을 자극.
정치의 교육화는 교육의 민주화를 또한 낳게 되어 1849년까지 북부에서는 공립학교제도의 전면적인 실시가 이루어짐.
참정권은 여권확장운동도 일으켰는데, 여권운동은 일체의 사회악과 부정을 시정하고 남부의 노예제도에 대해 특히 반대함.
New England에서는 개인주의를 높이 내걸며 인간의 존엄성을 설파한 Emerson을 필두로 문학운동에도 중심적 세력을 이룸. 또한 노예제도 반대 운동도 일어남.
이와 아울러 미국의 영토는 계속 확장되어 감
V.남북전쟁
자유주와 노예 제고의 정치 세력은 미국 상원의 의원수로 좌우
노예주의 증가는 항상 그 증가가 자유주에 뒤떨어질 위험이 내재
1854년 Kansas Nebraska Act발표. 서부의 주민들은 3당인 공화당을 결성
1856년 대법원의 Dred Scott Case
1857년 미국 상원의 관세율 인하 및 Homestead Act 부결
1861년 남북전쟁발발
1865년 남북 전쟁의 종결
1877년 남부의 주가 연방정부에 완전히 복귀
VI. 미국 경제의 비약적 발전
남북 전쟁은 미국사에서 하나의 분수령. 전원적인 미국이 도시적인 미국으로 변질
공업이 비약적으로 발전, 미국 자본주의를 독점단계로 끌어 올림...Trust
공업의 발전은 대도시를 발생케 하고 도시에 인구를 집중
도시 인구의 대부분이 노동자
1866년 전국노동자동맹 결성, 1869년 노동기사단 조직,
1886년 아메리카 노동총연맹(A. F. L.)을 결성 노동조합의 정치운동 배격 및 노동 대중의 이익을 옹호
1862년 Homestead Act 제정하여 광대한 미개지를 개방....California의 금광 및 광물자 원의 발굴이 이루어짐
서부 이주는 철도의 건설로 급속하게 진행
농업의 발전도 눈부심...농기계의 사용, 과학적 영농방법 도입,
농민들도 농민조직운동을 전개하여 1867년에 시작된 Granger Movement가 각주에서 발전 이 운동은 일종의 협동조합운동으로서 1890년에는 약 200만의 조합원을 갖게 됨.
농민이나 소자본 소유자의 복지에 대해 공화당과 민주당이 신경을 쓰지 않자 제 3당인 인민당이 출현됨. 그러다가 1896년 인민당은 민주당에 흡수되고 맘.
1897년 William McKinley 대통령은 평균율 57%에 달하는 보호관세를 제정하고 더 나아가서 1896년 Cuba 문제로 일어난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Cuba를 미국의 세력하에 집어넣고 Puerto Rico와 Guam 및 필리핀 군도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고 하와이 군도를 합병하였다. 필리핀을 미국의 기지로 하여 중국시장으로의 발전을 도모한 것이 1899년 국무장관 John Hay의 유명한 문호개방정책(Open Door Policy)으로써 표시됨.
19세기후반의 미국의 자본주의적 경제 발전은 실로 경이적이었으나 반드시 낙관적인 것은 아니었다. 독점단계에까지 올라간 미국의 자본주의는 빈부의 엄청난 격차를 낳았다. 이것은 경제적 평등을 부인하는 것이어서 경제적 발전과 미국민주주의와의 새로운 조정이라는 것이 하나의 과제로서 미국 국민앞에 놓이게 되었다. 앞에서 말한 인민단 운동이나 자본주의의 독점적 형성을 금지하기 위한 Sherman Anti-Trust Act이 그 해결책의 하나였다. 이런 것에 대한 전면적인 시도가 20세기에 들어감으로써 활발하게 진행되고 이런 움직임을 혁신운동(Progressive Movement) 또는 혁신정치(Progressive Politics)라고 한다. 이 운동은 여러 저명인사들의 참가하에 전개되었는데 이들 중 폭로가(Muckrakers)라고 불리워지는 양식있는 언론인들은 독점자본주의의 해독과 정치의 부패를 실증적인 풍부한 자료를 제시해가면서 백일하에 폭로하였다. 또한 언론인들 예를 들면 Upton Sinclair, Theodore Dreiser, Jack London, Frank Norris 등의 작가들이 이런 운동에 가담하여 국민을 환기시키고 위정자들로 하여금 현실에 대한 작시를 불가피하게 하였다. 이 운동의 전국적 규모의 확대는 공화당의 혁신적 세력을 대표하는 대통령 Theodore Roosevelt에 의해 비롯되었다. 그는 기업활동에 대한 정부의 감독 내지 간섭을 강화하는 반(反)Trust법을 강화하고 철도회사의 공정한 운임을 산출하도록 기준을 세웠다. 또한 부정식료품 및 약품법을 제정하고, 천연자원보존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원을 보존하도록 힘쓰게 하였다. 그의 뒤를 이은 공화당의 Taft 대통령도 소득세에 대한 누진과세를 적용한 수정헌법 제16조, 연방상원의원을 주의회가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민선하도록 한 수정헌법 제17조를 통과하였다. 1912년 민주당 출신의 Woodrow Wilson도 반Trust법을 강화하여 실제적으로 Trust를 유지하고 있는 업체나 동종기업의 주를 소유하고 있는 회사에 대해서는 해산을 명령하였다. 또 고율 관세를 인하하고 면세품의 한계를 확대시키고, 연방 농장 대부법을 제정하고, 선원노동자의 노동조건개선, 정부관리에 대한 노무보상, 철도종업원들에 대한 8시간 노동제 등도 실시하였다. 이 운동의 의의는 루즈벨트나 윌슨 양 대통령이 나서서 사회악에 대한 과감한 공격을 지휘함으로써 미국국민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신념을 북돋아 주었다는데 더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혁신운동은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지 않을 수 없어 일단 중지되지 않을 수 없었다.
VIII 현대의 미국
제1차 세계대전은 미국의 국제적 지위를 다시 한번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연합국 승리에 대한 미국의 주도적 역할은 전후문제 처리에 있어 미국의 발언권을 강대하게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Versailles의 강화회의는 Wilson 대통령의 유명한 14개 조항을 토대로 하여 진행되었고 그가 누구보다 열망했던 세계평화의 기구로서 국제연맹이 창설되었다. 그러나 미국내의 민주당과 공화당과의 당파 싸움은 국제연맹 창설안을 거부함으로써 전쟁으로 얻게된 세계지도자국가로서의 지위를 포기하고 다시 전통적인 고립주의정책으로 돌아갔다. Wilson의 대외문제에 있어서의 정치적 패배와 더불어 정권도 민주당에서 공화당으로 넘어갔다.
공화당 집권하에 시작된 1920년대는「영원의 번영」(Eternal Prosperity)을 자랑했다. 정부의 기업활동에 대한 불간섭을 원칙으로 하는 경제적 자유주의정책과 미국의 산업보호를 위한 고율 관세정책이 대외적 고립주의의 정책과 더불어 돌아왔다. 이와 더불어 미국의 자본주의 경제는 장기간의 호경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자동차산업, 전력의 공급, 전기기계의 제작, 가정용 전기용품을 포함하는 전기관계공업도 새로운 산업으로 발전하여 총생산액은 1919년 약 9억불로부터 1929년에는 23억불로 증가하였다. 호경기는 기업의 확장과 고용을 증대시켜 공장, 주택의 건축열이 일어나서 1929년까지에 건축업에 투자된 자본은 100억불에 도달했다. 또한 미국의 거대한 생산력이 홍수같이 흘러내 보내는 상품을 소비시키기 위해 Salesman이 화려한 직업인으로 등장하고 광고업이 그 전도를 무시할 수 없는 새로운 기업으로 나타났다. 라디오공업, 영화제작 및 항공산업이 그 기초를 닦은 것도 이 시기였다.
이와 같은 이 시기의 경제 발전은 미국인의 생활에까지 큰 변혁을 일으켜 일상생활의 기계화를 촉진시켰다. 자동차의 발달은 국내 도로를 발달시켰고, 대도시집중의 경향을 완화시키고 위성도시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또 전기냉장고를 사용함으로 미국식 반찬가게인 Super Market가 나오게 되었다. 전기세탁기, 청소기 등의 사용과 윤택한 생활은 여가 시간을 보낼 거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극구경이나, 라디오, 영화만으로는 만족이 안 되자 운동경기가 타산이 맞게 되었다. 미국은 1919년 수정헌법 18조로써 금주국이 되었으나 밀주가 공공연한 비밀이 되었다. 그리고 재즈 음악이 물질주의적이고 향락주의적인 미국국민의 안이한 생활을 표현해주듯이 이 시기에 유행하였다.
이미 1922년 Harold Stearns가 편집한 Civilization in the U. S. A.에서 30명의 지식인은 「현대 미국생활에서 가장 흥미있고 슬픈 사실은 정서와 미의 빈곤」이라고 지적한 바 있는데 그 문제의 해결은 그 빈곤의 추악을 들추어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20세기 초에 「폭로가」들의 수법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국식 방법이기도 했다. 작가들은 이러한 현실에서 불안과 환멸을 느끼는 지식인들을 그리기도 하고 이런 모든 것을 조롱하고 무자비하게 파괴해 버리는 필봉을 휘두르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편에 있어 폭로와 파괴, 비판과 도피의 지배적인 풍조 속에서도 진실로 미국적인 문화의 창조에 대한 진지한 노력도 또한 있었다. 미국문학에서도 그런 노력을 볼 수 있고, 철강과 시멘트와 돌의 추악한 덩어리로밖에 여겨지지 않았던 마천루의 고층건축물이 예술적 생명을 받게되고, 미국건축의 신양식이 개척되었다. 또 재즈 음악과 고전음악의 양식과의 사이에 다리를 놓는 일도 생겨났고 미술에 있어서도 신분야를 개척하는 화가도 나왔다. 그러나 1929년 10월 미국경제의 중심지인 New York의 Wall Street의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대폭락을 함으로써 일대경제공황이 미국에 도래하였다. 일반적원인으로는 지나치게 높아진 주식투기열이 지적되고 있으나 잠재적 원인으로서는 공업부분에 있어서의 생산과잉과 만성적이었던 공업공황이 중요시되었다. 이에 따라 1929년부터 1932년에까지 실업자의 수는150만으로부터 1500만으로 늘고 그 활기있고 명랑했던 생활은 그 자취조차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공화당의 Herbert Hoover대통령이 미국경제의 자동적 회복을 굳게 믿을 뿐 이렇다 할 대책을 강구하지 못하자 미국국민은 공황으로부터의 타개와 미국경제 재건의 어려운 과업을 민주당의 Franklin Roosevelt에게 맡기게 되었다. Roosevelt 대통령은 취임시 「우리들이 두려워해야 할 것은 두려움 바로 그 자체이다」라고 말함으로써 우선 국민들에게 기운을 낼 것을 요청하고, 국가재정의 대규모 소비를 기반으로 하고 구제(relief), 부흥(recovery), 개혁(reform)을 3대안으로 하는 이른바 New Deal 정책에 착수하였다.
구제정책으로서는 민간하천삼림관리단(CCC)을 조직하여 토목사업에 실직자를 동원하고 연방긴급구제법(FERA)으로서 주정부의 구제사업에 대해 연방정부의 재정적 보조를 약속하고 민간작업촉진행정처(CWA)를 설치하여 18만종의 작업계획을 세워 노동자, 농민만 아니라 실직한 지식인, 사무원, 예술가 등에게도 그들에게 알맞은 작업을 주선하도록 하였다.
부흥정책으로서는 농업을 위해 농업조정법(AAA)을 제정하여 생산과잉을 막기 위한 농작지면적의 제한, 농산작물의 인상을 위한 보조금 지출, 농민에 대한 저리의 융자의 길을 열어주었다. 산업을 위해서 전국산업부흥법(NIRA)을 제정하여 생산제한을 위한 각종 산업의 통제, 고용의 증가, 노동자의 대우 개선 등을 의도했다. NIRA는 1935년 5월, AAA는 1936년 1월 각각 대법원으로부터 위헌 통고를 받아 New Deal 정책의 전도가 우려되었으나 NIRA중 노동자의 단체 규약권을 보장한 조항을 수정하여 새로이 제정된 전국노동관계법(NLRA)은 노동자의 헌장이라고도 말해진다. 이 법으로 말미암아 종전부터 있었던 AFL에 대항해 산업별주의의 노동조합인 CIO(Congress of Industrial Organization)가 탄생하게 되었는데, 이런 노동세력은 Roosevelt대통령의 경제 시책에 적극적인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개혁정책으로서는 사회 보장법(SSA)이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실업보상, 상패노동자 및 퇴직자에 대한 수당을 법으로서 보증하고 이에 필요한 기금은 연방정부와 주정부, 고용자와 사용자 양편에서 공동으로 부담하기로 했다. 그러나 가장 뜻깊은 시책은 Tennessee계곡개발공사(TVA 1933년 5월)의 사업이다. 정부의 출자로서 설치된 TVA는 Tennessee계곡 일대의 개발을 통해서 인접 7개주에 값싼 전력을 공급하고 농토를 비옥케 하고 이와 아울러 농촌문화의 향상을 그 사업의 목적으로 하였는데 New Deal 정책이 내걸은 이상을 전부 내포하고 있으며 한편 미국민주주의의 장래의 방향을 시사하는 거대한 사회적 경제적 실험이라고도 말해진다. 이 정책에 대한 국내의 비판도 만만치 않고 또 이 정책의 성과도 기대한 바와 같이 미국의 경제를 급속하게 회복의 길로 이끌지 않았다. 그러나 노동자, 농민, 지식층의 이 정책에 대한 지지는 의외로 커서 1936년 Roosevelt를 대통령에 재선시켰다. 그러나 1937년 7월 일본은 중국에 대한 침략을 개시하고 나치독일은 1938년부터 유럽의 질서를 교란하기 시작하다가 1939년 9월 폴란드를 침공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을 발발하게 하였다. 미국은 전쟁이 일어나자 중립을 선언하였으나 이와 같은 국제정세의 급변은 대통령의 관심을 국내정책으로부터 대외문제로 돌리지 않을 수 없게 했다.
1940년 6월 불란서의 패전, 1940년 6월 독, 소련의 개전, 동년 12월 일본해군의 진주만 공격은 미국이 참전하게 만들었다. 전쟁은 어느 의미에서는 New Deal 정책을 구해주고 따라서 미국 경제 회복에 어느 정도 이바지했다.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미국의 생산지수는 공업에 있어 96%, 운송력에 있어 106%, 농업에 있어 26%의 증가를 각각 보여주고 있다. 1943년 9월 이태리의 항복,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성공한 연합군은 최후의 승리를 위해 독일로 진격
1944년 11월 트루먼을 부통령후보로 내세운 루스벨트는 4선 대통령으로 선출됨
1945년 5월 독일의 패배, 동년 8월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끝이 났다.
미국국민들은 나라 밖으로 향했던 관심을 안으로 거두어 들여야 했는데 우선 전쟁터에서 돌아온 수백만 명의 군일들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각 가정에서는 남자들이 돌아옴에 따라 소득이 늘자 새집, 자동차, 가전제품 등이 인기가 있었다. 또한 제대군인들을 위해 조립주택을 지어 상당수의 군인들이 집을 갖게 되었다. 그러자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늘게되고 자동차 생산을 점차로 늘어갔다.
2차 세계대전후의 미국은 1차대전후의 미국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어 새로운 세계평화의 기구로서 국제연합을 창설하는데 산파의 역할을 서슴치 않았다. 또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는 공산주의의 팽창을 막아야 하는데 그렇기 위해서는 미국이 세계 곳곳에서 공산주의에 대항하여 투쟁하고 있는 나라들을 적극 지원해 주어야한다는 “트루먼 독트린‘을 발표하였다. 또 전쟁으로 황폐한 유럽의 경제 재건을 위해 Marshall Plan 등에 의한 경제원조의 손을 뻗쳤다. 특히 전후 세계의 대립,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과의 분열은 미국의 전통적인 고립주의는 국제협조주의로 바뀌어져갔다. 이런 것들에 영향을 받아 1948년 트루먼은 대통령에 재선되었다. 트루먼 독트린과 마셜 플랜이 발동된 이후 미소간의 대립은 냉전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1947년 3월에는 ’충성심사국‘을 설치하여 연방정부 직원의 충성도를 조사하도록 하였다. 이런 가운데 정부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스미스법‘을 위반한 혐의로 11명의 미국 공산당 지도자들이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9월 의회는 국내 치안을 목적으로 공산주의 단체 등록제를 실시하고 공산주의자들의 입국을 금지하는 법도 만들었다. 반공체제가 한참 강화되고 있었다. ’우리 가맹국들은 가맹국 중 어느 한 나라에 대한 무력 공격도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한다.‘ ’미주기구‘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간에 발생될지도 모를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경제, 사회개발을 촉진시키며, 동시에 서로를 지켜준다는데 목적이 있었다.
9. 노력과 인내의 시대
닉슨은 미국 내에서 강하게 일고 있는 반공산주의 문제를 교묘하게 이용하여 또 다른 지지기반을 다져 나갔다. 매카시 선풍은 그 당시 미국인들이 공산주의를 얼마나 두려워했던가를 잘 보여주는 사건이기도 했다.
흑백 차별을 철폐하라. 1954년 5월 연방 대법원이 내린 판결이 주목을 끌었다. <공립학교에서 흑인과 백인의 공학을 금지하는 남부의 법은 위헌이다.> 이는 분명 흑인의 민권을 한차원 높인 아주 의미있는 판결이었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흑백차별 폐지운동을 이끌었다. 그의 해방정책에 힘입어 세계 곳곳에서도 “공산주의 세력을 막는 일에 더 적극적으로 앞장 서자”라고 다짐을 하게 되었다. ‘핵무기의 사용’ ‘최소의 비용으로 더 많은 공격력을 갖게 된다’ 덜레스는 트루먼이 하던 대로 모든 비공산세계를 하나의 상호 방위협정체제로 통합시키는 데 더욱 힘을 썼다. 그 밖에도 유럽의 나토를 모방한 동남아시아 조약기구를 조직하고 중동조약기구, 즉 바그다드 협약을 체결하는 데 앞장섰다. 국제정세가 점차 냉전시대로부터 해빙의 시대로 옮겨가고 있는 듯이 보였다. 덜레스의 적극적인 ‘해방정책’도 다시 소극적인 ‘포위정책’으로 되돌아 가고 있었다. 1957년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던 것이다. 1958년 흐루시초프가 수상 겸 공산당 서기장이 되었다. “자유진영과 공산진영 사이에 평화공존” 냉전을 푸는데 모든 힘을 쏟기 시작하였다. 우리에게는 선택의 권리가 있다. 미국측은 소련이 요구해 온 핵실험금지회담 개최에 동의하였다. ‘캠프 데이비드 정신’으로 표현되는 화해정신이 두 갈래로 갈라진 세계를 평화 속으로 이끌어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찬물:1960년에 일어난 U-2기 사건이 바로 그것이었다. 미국은 쿠바와의 모든 경제관계를 중단하는 조치로 맞섰다.
10. 개혁과 진보의 시대
젊은 대통령 존 에프 케네디가 등장한다. 명문가 출신으로 뛰어난 용모와 재능을 갖추었다. 로드 아일랜드 명문가의 딸 재클린 리이 부비어와 결혼했다. 국내외에서 미국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는 것을 뜻했다. 도시 빈곤지역의 실업자들과 가난한 노인들이었다. 빈민을 돕기 우해 그들이 교육받을 때 연방정부가 보조를 해주도록 했다. ‘노인 의료 보험’ ‘평화봉사단’을 창설. 미국의 젊은이들을 저개발국에 파견하여 교육, 기술 개발, 의료 등 개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게 한 그것이었다. 1961년 4월에 소련은 유리 가가린이라는 우주 비행사를 태운 최초의 우주선을 쏘아올렸다. ‘아폴로 계획’을 발표. 1969년, 당시 미국인들에게 꿈을 주었고 새롭고 무한한 세계를 향해 진취적인 자세를 갖게 하는 데 한 몫을 하였다. 케네디의 개혁 의지는 민권 운동에서도 잘 나타났다. 인권신장을 위한 노력. 앨라배마 주 버밍햄에서 심한 인종 차별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광범위한 비폭력 시위였다. 공공시설, 가게, 식당, 극장, 호텔 등에서 인종에 따른 차별 대우 및 차별 고용을 금지하였다. 학교 통합에 있어서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법안들을 제출하였다. 미국이 터키에 있는 기지를 철수하는 대신 소련은 쿠바 기지를 철수하겠다는 협상이 어렵게 이루어졌다. ‘핵실험 금지조약’이 체결되고 워싱턴과 모스크바 사이에 직통전화가 가설되는 등 우발적인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 텍사스의 존슨시티. 역사상 가장 활동적인 부통령 역할을 하였다. 빈곤을 추방하기 위한 개혁을 시작했다. ‘경제 기회법’에 따른 ‘경제 기회청’의 활동이었다. 각종 직업 교육과 특수 교육 등에 빈민 자신들을 참여시켜 빈곤을 추방하려는 지역사회 활동이 이루어졌다. 미국내 빈민은 1959년과 1969년 사이에 전체 인구의 22.4%에서 12%로 줄었다. 월남 사태. 연간 200억 달러에 달하는 돈을 이 전쟁에 쏟아넣었다. ‘빈곤 퇴치’사업도 더 이상은 어렵게 되었다. 1960년대는 젊은이들의 반항적인 분위기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등장하였다. 학교 건물을 점거하고 동맹휴학. 사회로부터 이탈하는 ‘이탈 행위’로써 기존 체제에 반대하는 젊은층들도 있었다. ‘히피족’ 교육 수준도 낮고 사회에서도 하층 계급에 속했다. 머리와 수염을 길게 기르고 목걸이와 팔찌를 하고 그들끼리만 공동체 생활을 했다. 고도의 기술 문명 사회 속에서 인공과 가식이 없는 자연 발생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만족감을 얻으려는 새로운 계층이었다.
11. 화해의 시대
세력균형이나 철저한 국익에 중점. 화해의 분위기로 점점 바뀌게 되었다. 중공에 대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 전략무기 제한 협정을 완결. 공격용 전략 미사일을 더 이상은 늘리지 않기로 하고 각국의 방어 미사일망을 2개로 제한한 것. 20여 년간 계속되어 온 소련과 서방과의 긴장관계도 완화되어 이른바 ‘데탕트’, 즉 화해의 토대가 마련되었다. 캄보디아 공격을 명령. 키신저를 내세워 월남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을 시도하였다. 제럴드 포드 그의 최우선 과제는 대통령직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나아가 미국의 안정된 번영을 되찾는 것이었다. 자신을 정식과 성실의 상징으로 부각시키려고 노력하였다.
12.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는 미국
지미 카터, 근면 검소함과 소박함이 몸에 밴 사람. 지적이고 재치있는 사람 중의 하나. 의사결정 방법으로 광범위한 여론 조사를 거의 매일 사용하다시피한 최초의 행정부였다. 석유의 횡포를 둘러싼 경제문제. 1973년에 석유수출 금지조치를 단행. 1979년 여름에 이르러 중동 사정은 더욱 악화. 대외 정책에 있어서는 ‘인권 정책’을 내세웠다. 세계 각국의 양심수들을 지지.
미국문화의 물질주의적인 경향이 아직도 미국을 문화적 빈곤상태에 두고 미국에는 철학이 없고 미국은 카르타고(Carthage)가 될 위험성이 있는 것이 아닌가하고 식자들로 하여금 탄식하게 한다할지라도 새로운 미국문화의 창조에 대한 진지한 노력과 성과가 있음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P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의 대중음악 (0) | 2014.03.29 |
---|---|
유분증과 변비 (0) | 2014.03.07 |
I Swear-올포원(All-4-One) (0) | 2013.12.27 |
Christmas Time - Backstreet Boys (0) | 2013.12.24 |
Change the World-Eric Clapton (0) | 2013.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