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요약





















< 목차 >

1. 김치의 유래와 특징.

2. 김치의 종류.

3. 배추 김치와 열무 김치.

4. 겉절이와 파 김치.

5. 각 지방의 김치.

6. 김치의 성분(1).

7. 김치의 성분(2).

< 김치의 유래와 특징 >

( 김치의 유래 )

김치의 역사는 아주 오래 되었다.

김치는 기원후 1600년대에 고추가 상용화 되면서 나타났다.

하지만, 실제 김치의 시작은 삼국시대 부터 이다.

( 김치의 특징)

한반도는 탄수화물이 주  성분인 쌀을 주식으로 하는 농경사회였기 때문에,비타민과 각종 미네랄을 김치를 통하여 섭취했다.


또, 겨울에 부족하였던 채소 성분을 김치를 통하여 섭취하였다.

< 김치의 종류 >

< 배추김치와 무김치 >






배추김치는 배추를 소금에 절여 만든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다.

무 김치는 무를 통째로 소금에 절인 다음 젓갈에 무쳐먹는 우리나라의 유명한 전통 음식 중 하나이다.

또, 배추김치와 마찬가지로 발효식품이기 때문에 몸에도 좋은 음식이다.

< 겉절이와 파김치 >

< 겉절이 >

겉절이는 한번에 먹을 만큼씩 바로 손쉽게  만들어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겉절이도 파김치와 마찬가지로 소금에 절이지 않고 바로 무쳐먹을 수 있어 편하다.

< 파김치 >

파김치는 소금에 절이지 않고 바로 무친다.

또, 파의 매운맛이 파김치의 맛을 한층 더 높여 준다.

소금에 절일 필요가 없어서 만들기가 더 편하다.

< 각 지방의 김치 >

서울,경기도:숙 깍두기,장 김치.

강원도:석류 김치.

충청도:비늘 김치.

전라도:콩잎 김치.

제주도:더덕 소박이.

황해도:우엉 김치.

평안도:가지 소박이.

함경도:상추김치.

< 김치의 성분 (1) >

김치의 배추나 무의 녹색 잎, 고추에는 비타민A가 많이 들어있다.

또, 고춧가루에는 비타민C가 풍부하고, 오이에는 엘라테린 이라는 소화를 돕는 쓴맛도 들어있다.

그리고 마늘에는 알릴설 파이드 라는 살균력이 높은 성분이 들어있다.

김치는 발효식품 이어서 겨울철에도 채소의 영양분을 얻을 수 있다.






Posted by MSNU